[include(틀:한화 이글스/간략(코칭스태프))] ---- ||
'''{{{#ffffff 김우석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8번}}}''' || || [[최만호]][br](2001.7.25.~2001) || {{{+1 →}}} || '''김우석[br](2002~2005)''' || {{{+1 →}}} || [[오태근]][br](2006~2010)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2번}}}''' || || [[최길성]][br](2004~2005) || {{{+1 →}}} || '''김우석[br](2006~2007)''' || {{{+1 →}}} || [[최승준]][br](2008~2009)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3번}}}''' || || 현승민[br](2006~2007) || {{{+1 →}}} || '''{{{#074ca1 김우석[br](2008)}}}''' || {{{+1 →}}} || [[김지호(1986)|김지호]][br](2009~2010)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96번}}}''' || || [[노찬엽]][br](2012~2013) || {{{+1 →}}} || '''김우석[br](2014~2022)''' || {{{+1 →}}} || [[배요한]][br](2023~)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83번}}}''' || || [[정진호(1988)|정진호]][br](2022) || {{{+1 →}}} || '''김우석[br](2023)''' || {{{+1 →}}} || 결번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83번}}}''' || || || {{{+1 →}}} || '''김우석[br](2024~)'''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김우석코치.png|width=100%]]}}} || ||<-2> '''한화 이글스 No.83''' || ||<-2> '''{{{+2 김우석}}}[br]金佑碩 | Kim Woo-Seok''' || ||<|2> '''출생''' ||[[1975년]] [[9월 2일]] ([age(1975-09-02)]세) || ||[[인천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인천석천초 - [[상인천중학교|상인천중]] -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 - [[홍익대학교 야구부|홍익대]] || || '''신체''' ||181cm, 79kg || || '''포지션''' ||[[내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s-3.2|2002년 2차 1라운드]] (전체 7번, [[LG 트윈스|LG]]) || || '''소속팀''' ||[[포스틸 야구단]] (1998~1999)[br][[LG 트윈스]] (2002~2007)[br][[삼성 라이온즈]] (2008) || || '''지도자''' ||[[충훈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09~2013) [br] [[LG 트윈스]] 3군 수비코치 (2014~2015)[* ~6월 14일][br][[LG 트윈스/2군|LG 트윈스 2군]] 수비코치 (2015~2021)[* 2015년 6월 15일~2021년 9월 12일] [br] '''[[LG 트윈스]] 1군 수비코치 (2021~2022)[* 9월 13일~]'''[br][[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2군]] 수비코치 (2023)[br][[한화 이글스]] 1군 수비코치 (2024~)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0~2001)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LG 트윈스]], [[삼성 라이온즈]] 내야수,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2군]] 수비코치. LG 팬들 사이에서는 2007년 9월 7일 잠실 SK전에서 결정적인 실책을 범하며 그나마 남아 있던 LG의 4강행 불씨를 꺼뜨린 주범으로 회자된다. == 선수 경력 == 인천석천초, 상인천중,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 [[홍익대학교 야구부|홍익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으나, 프로 지명을 받지 못해 홍대 졸업 후 실업 야구 팀인 [[포스틸 야구단]]에 입단했다. 2년간 포스틸에서 활동하다가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입대해 주전 유격수로 활동했다. === [[LG 트윈스]] === 2001년 2군 리그에 참여한 상무는 북부리그에 배속돼 같은 리그 소속인 LG 트윈스와 많은 경기를 치렀는데, 이 때 [[김성근]] 당시 LG 2군 감독이 김우석의 수비력을 높게 평가하면서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2002년 신인 2차 지명]]에서 지명하도록 지시했고, LG는 2차 1순위로 김우석을 지명했다. 수비력만큼은 좋다고 평가받았지만, 상무 시절에도 타격에서는 별다른 발전이 없었고 지명될 당시에도 만 26세로 나이가 많았던데다[* 세는 나이로는 28세. 참고로 얼리 엔트리도 없고 실업야구(사회인야구 기업팀을 말한다)가 아직도 멀쩡히 존재해서 20대 중반에 프로에 진출하는 선수가 많은 [[일본프로야구]]에서도 이 나이대 지명자는 1년에 1~2명 나올까말까한 수준이다. 물론 일본은 병역 의무가 없으니까 2년 깎아주는 게 맞지만 김우석은 군대도 상무에서 뛰었기 때문에 이 기간도 계속 야구를 한 것이므로 사실상 일본의 대졸+사회인야구에서 4년을 보낸 선수와 동일한 셈.(일본의 대졸 선수가 지명을 받지 못해 사회인야구로 간 선수는 2년 후에 드래프트 신청이 가능하므로 세는 나이 26세에 보통 입단한다.)] 김우석 바로 뒤에 지명된 선수가 '''[[조동찬]]'''과 '''[[고영민]]'''이었기에, LG 팬들은 김우석이 정말 2차 1라운드에서 지명될 정도였는지 의문을 제기했었다. 김우석을 뽑으라고 지시했던 김성근이 2002년에 1군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김우석은 1군에서 대수비로 기회를 받았고, [[2002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도 포함됐다. 그러나 한국시리즈 패배 이후 김성근 감독이 해임되면서 수비에 비해 타격이 부족했던 김우석은 2군에서 머무는 기간이 길어졌고, 이따금 기존 선수의 공백을 메울 때나 1군에 올라올 수 있었다. 2007년에는 [[궤양성 대장염]] 때문에 전지훈련에도 참가하지 못할 만큼 몸 상태가 안 좋았고, 확장 엔트리가 시행되는 9월에야 1군에 올라갈 수 있었다. 당시 5위였던 LG는 4위 삼성과 4강행 자리를 두고 다투고 있었는데,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이 좌절된 LG로서는 그야말로 매 경기가 간절한 상황이었다. '''이 와중에 김우석은 자신의 커리어 사상 최악의 실수를 저지르고 말았다.''' 2007년 9월 7일 잠실 SK전에서 선발로 등판한 [[박명환]]은 8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고 마무리 [[우규민]]으로 교체됐다. 9회초 1:2로 LG가 1점 앞서고 있었던 2사 3루 상황에서, [[정경배]]가 평범한 뜬공을 치면서 누가 봐도 LG의 승리가 유력했다. 교체 출장해 2루수를 보고 있던 김우석이 정경배의 타구를 쫓아갔는데, 잘 쫓아가 놓고는 '''[[히 드랍 더 볼|공을 잡았다가 떨어뜨리고 말았다]].'''[[https://youtu.be/u84qQNFlrwA|실책 영상]][* 2루수보다 우익수가 잡는 게 수월했던 타구였는데, 은퇴 후 인터뷰에서 김우석은 욕심이 지나쳤던 결과였다고 말했다. 2008년에 [[김재박]] 감독도 이 경기를 회고하면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20&article_id=0001969903|우익수가 잡아야 했었다고 말했다]].] 그 사이 3루 주자가 득점해 경기는 동점이 되면서 우규민은 시즌 10번째 블론 세이브를 기록했고[* 이후로도 우규민은 3차례 더 블론세이브를 범하면서 이 해 총 13개의 블론세이브를 기록했다.], 연장 10회초에 역전을 허용해 패전투수가 됐다. LG는 이날 역전패를 시작으로 5연패를 당하면서 5위로 시즌을 마쳤다.[* 공교롭게도 SK도 2위 두산과 1위 다툼이 치열했으나, 이 날 역전승을 발판으로 1위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 2군에서는 수비를 잘하는 선수로 손꼽혔지만[* 2007년 시즌 초 스포츠2.0에서 2군 코칭스태프와 심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2군 유격수 중 가장 수비를 잘하는 선수로 뽑혔다.] 서른살이 넘도록 타격은 발전할 기미가 없었고, 포스트시즌 탈락의 주범으로 낙인찍힌 김우석은 결국 2007 시즌을 마감한 후 LG에서 방출됐다. === [[삼성 라이온즈]] === 방출 통보를 받은지 불과 8일만에 백업 내야수가 필요했던 [[삼성 라이온즈]]에 영입됐다. 하지만 삼성에서도 주로 2군에서 머물다가 6월 말 [[박진만]]의 부상으로 잠시 1군에 올라왔고, 7월 초 박진만이 복귀하면서 다시 2군으로 내려갔다. 이후에는 더 이상 1군에 올라오지 못했고 궤양성 대장염이 재발하는 바람에 경기에 나오지 못하다가, 시즌 종료 후 삼성에서도 방출되면서 은퇴했다. == 지도자 경력 == === [[충훈고등학교 야구부|충훈고등학교]] === 은퇴 후 LG 시절 사제 관계였던 [[김인식(1953)|김인식]] [[충훈고등학교 야구부|충훈고]] 감독의 부름을 받아 충훈고 코치로 활동하였다. === [[LG 트윈스]] === 2014년에 LG 잔류군(3군) 수비코치로 영입됐다. 2015년 6월 1군의 부진으로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2군 수비코치로 보직이 바뀌었다. 2021 시즌 2군 수비코치로 재직하던 중, 9월 13일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1군 수비코치로 승격되었다. [[김동수(야구)|김동수]] 대신 1군 수석코치로 올라온 [[황병일]] 코치가 타격코치도 겸하면서 경기 중엔 바쁘기 때문에 황 코치 대신 심판에 선수 교체를 통보하는 등 사실상 보조 수석코치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한다.[* LG는 이미 [[김민호(1969)|김민호]]가 1군 수비코치를 맡고 있으니.] 비록 한 번의 큰 실수 때문에 현역 시절 이미지는 좋지 못했지만, [[조원우|1군 수비코치로 부임한 후에는 LG의 수비력을 리그 최강으로 끌어올렸다]]. LG의 수비코치로 있었을 때 팬들 사이에서는 별다른 말들이 나오지 않았는데, 이건 정말 코칭 능력이 좋다는 이야기다.[* 타격코치를 제외하면 나머지 보직의 코치들은 말이 안 나올수록 좋은 코치일 확률이 높다. 야구에서 가장 쉽게 보이는 것이 타격이므로 타격코치가 아주 좋은 코칭을 해서 타자들의 성적이 오르면 타격코치들에 대한 칭찬은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듯, 팀타격이 반등은커녕 침체만 지속되면 타격코치는 가장 가혹하게 욕을 먹는 자리이기도 하다.] 2022 시즌 후 [[염경엽]]이 LG의 새 감독으로 취임하면서 김우석 코치는 LG에서 퇴단하였고, 후임 1군 수비코치는 [[키움 히어로즈]]에서 옮겨온 [[김일경(야구)|김일경]]이 맡게 됐다. 하지만 [[김일경(야구)|김일경]]이 오자마자 LG는 2023년 4월에 벌써 26경기에서 실책 32개를 기록하며 리그 최악의 수비력으로 전락했다. 이미 [[염경엽]]은 SK를 리그 최고 홈런군단으로 이끈 [[정경배]]를 타 팀으로 보내고 [[김무관]]을 1군 타격코치로 앉히며 타격을 식물로 만든 전력이 있다. === [[두산 베어스]] === LG를 떠난 후, 2023 시즌을 앞두고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2군]] 수비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김일경(야구)|김일경]] 수비코치의 지도를 받는 LG의 내야 수비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면서, LG 팬들에게 그리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한화 이글스]] === 2024 시즌을 앞두고 [[한화 이글스]]로 간다는 소식이 전해졌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77&aid=0000457220|#]] == 연도별 성적 == ||<-12>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 2002 ||<|6> [[LG 트윈스|LG]] || 43 || 30 || .200 || 6 || 0 || 1 || 0 || 3 || 5 || 0 || || 2003 || 4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 2004 || 43 || 46 || .174 || 8 || 2 || 0 || 1 || 2 || 8 || 0 || || 2005 || 30 || 18 || .111 || 2 || 1 || 0 || 0 || 0 || 2 || 0 || || 2006 || 31 || 24 || .167 || 4 || 0 || 0 || 0 || 0 || 0 || 0 || || 2007 || 2 || 0 || - || 0 || 0 || 0 || 0 || 0 || 0 || 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 2008 || [[삼성 라이온즈|삼성]] || 8 || 10 || .300 || 3 || 2 || 0 || 0 || 1 || 2 || 1 || ||<-2> '''[[KBO 리그|KBO]] 통산'''[br](7시즌) || 161 || 129 || .178 || 23 || 5 || 1 || 1 || 6 || 17 || 1 || == 여담 == * 2015년 7월 2군 [[경찰 야구단]]과의 경기 이후 펑고 연습을 하는 팬 직캠이 올라왔다. [[포수]]에서 [[외야수]]로 전향한 [[나성용]]에게 펑고를 쳐주면서 "영화 찍냐", "블로킹 하지마" 등 멘트를 날리는 장면이 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gtwins&no=8330664&page=1&recommend=1|7월 15일 펑고 움짤]] [[http://youtu.be/mGu0rndvAKU|야간펑고 동영상]]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우석, version=4)]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75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2008년 은퇴]][[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상인천중학교 출신]][[분류:인천고등학교 출신]][[분류:홍익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