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퇴마록의 김윤영, rd1=김윤영(퇴마록), other2=이전에 김윤영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인물, rd2=김려은, other3=인터넷 강사, rd3=김윤영(강사))] ||<-2> '''{{{+1 김윤영}}}[br]金侖映 | Kim Yoonyou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imyoonyeong.jpg|width=100%]]}}} || ||<-2> '''[[한국여자바둑리그/2023시즌|{{{#fff 2023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br]--서귀포 칠십리 3지명--[* 건강 문제로 8라운드부터 이서영 선수로 교체]}}}]]''' || ||<|2> '''출생''' ||[[1989년]] [[4월 22일]] ([age(1989-04-22)]세)|| ||[[경기도]] [[안양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산본공업고등학교]][* [[https://m.cyberoro.com/news/news_view.oro?num=510430&agree=2|#]] 現 [[경기폴리텍고등학교]]] {{{-2 ([[졸업]])}}}[br][[명지대학교]] {{{-2 ([[바둑학과|바둑학]] / [[학사]])}}}|| || '''직업''' ||[[바둑기사]]|| || '''소속''' ||[[한국기원]]|| || '''입단''' ||[[2007년]]|| || '''단급''' ||五단|| || '''누적 우승 경력''' ||1회|| || '''SNS''' ||[[https://www.facebook.com/yoonyeongk|페이스북]]||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한국기원]] 소속의 [[프로]] [[바둑기사]]. == 상세 == [[2007년]] 여류입단대회를 통해 입단하였다. [[2010년]] [[부안군]]배 여류기성전(현재의 [[여자기성전]]과 다름)에서 [[박지연(1991)|박지연]]을 꺾고 우승을 차지한 이력이 있다. [[2010년]]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여자단체에서는 금메달을 목에 걸고, [[최철한]] 九단과 함께 나간 혼성페어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광저우 아시안 게임 우승으로 三단이 되었고, [[2014년]] 四단으로 승단하였다. [[2017년]] 하반기부터 [[한국기원]]에 아예 휴직계를 내고 [[캐나다]]로 보급사업이라는 명목 하에 [[이민]]갔다. 아예 캐나다에서 거주하며 캐나다에서 바둑대회를 개최하는 데에 후원하거나, 캐나다 바둑대회의 해설을 맡는 등의 활동을 한다. [[2019년]] 6월 2살 연하 [[캐나다인]] 마누엘 벨라스코와 결혼했다. [[2020년]] [[캐나다]]에서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이후 한국에 귀국, 다시 복직하여[* 정확히 말하면, 본인이 밝힌 바에 따르면 "1년에 1대회 이상은 참여하겠다"고 했다.]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 마스터스]]에서 본선 무대를 밟았다. 16강전에서 [[김채영]]을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 8강에서 김은선에게 패해 대회를 마감했다. [[제15회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에 본선에 올라 숙녀팀의 선봉 선수로 출전했는데 3연승([[김수장]], [[유창혁]], 이성재)을 달리다가 서무상에게 패해 대회를 마무리했다. 1국 종료 후 인터뷰에서 곧 출산을 앞두고 있어 출산하자마자 대국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선봉 출전을 자원했다고 한다. 2021년 8월 아들 라파엘을 출산했다. [[한국여자바둑리그/2022시즌|2022년 여자바둑리그]]에서 '서귀포 칠십리' 3지명으로 선발되어 5시즌 만에 여자바둑리그에 컴백했다. 복귀 시즌에 12경기에서 9승 3패로 녹슬지 않은 기량을 과시, [[조승아]]와 함께 팀의 원투펀치로 자리잡으며 정규리그 1위로 팀의 챔피언결정전 직행에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1차전은 패했으나 2차전과 3차전에서 맹활약하며 팀의 우승을 이끌며 복귀시즌에 여자바둑리그 첫 우승을 이끌었다. 12월 4일 난설헌배 결승에서 김은지에게 지며 준우승했다. 이후 8일 뒤인 12일에는 [[제6회 해성배 여자기성전]] 4강에서 다시 김은지와 두었는데 불계패를 하며 3/4위전으로 내려가게됐다. 다음날에는 김채영에게 지며 4위로 대회 마무리. 김윤영은 이 대회에서 예선을 통과해 고윤서(24강), [[조혜연]](16강)을 꺾고 8강에 올라 전기 우승자였던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까지 잡고 4강에 올라갔다. 참고로 이번이 여자기성전 첫 출전이었다.[* 캐나다 보급활동을 막 시작했을 때 여자기성전이 창설됐다.] [[한국여자바둑리그/2023시즌|2023년 여자바둑리그]]에서 보호 지명으로 '서귀포 칠십리'에서 뛰었으나 둘째를 출산 한 후 컨디션 문제로 많이 출전하지 못해 두 경기 1승 1패를 기록한 후 건강상 문제로 인해 7라운드 종료 후 시즌을 중도 하차하게 되었다.[* 서귀포는 이후 대체 선수로 이서영 初단을 영입했다.] 조금만 늦었으면 의식을 잃고 쓰러져 구급차를 탈 수 있는 상황이었다. [[파일:김윤영 입장문.png]] [[https://www.facebook.com/yoonyeongk/posts/pfbid09yhpLC6WXVXbDYtRfNHxeDNz5Jt8oBTgATK3TW8YJa94RXnjh9on6rmPtPKgczh3l|김윤영 四단의 입장문]]. 안면신경마비 증세가 심각해져서 더 이상 바둑을 둘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밝혔다. == 주요 경력 == * [[2007년]]: 입단 * [[2010년]] * 부안군배 여류기성전 우승(대 [[박지연(1991)|박지연]])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여자단체 [[금메달]], 혼성페어 [[동메달]] [[분류:바둑 기사/한국]][[분류:1989년 출생]][[분류:안양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명지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