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김익수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99번}}}''' || || 결번 || {{{+1 →}}} || '''{{{#fab93d 김익수[br](1999~2001)}}}'''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익수.jpg|width=100%]]}}} || ||<-2> {{{#ffffff '''KBO 리그 심판위원 No.36'''}}} || ||<-2> '''{{{+2 김익수}}}''' [br]'''金益守[* 2009년 KBO 가이드북 240쪽] | Kim Ik-Soo''' || ||<|2> '''출생''' ||[[1981년]] [[2월 25일]][*빠른년생] ([age(1981-02-25)]세) || ||[[전라북도]] [[전주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전지중 - [[전주고등학교 야구부|전주고]] || || '''신체''' ||178cm, 81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99년 [[육성선수|신고선수]] ([[현대 유니콘스|현대]]) || || '''소속팀''' ||[[현대 유니콘스]] (1999~2001) || || '''경력''' ||[[한국야구위원회|KBO]] [[심판/KBO 리그|심판위원]] (2006~)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 現 [[KBO 리그]]의 [[심판/KBO 리그|심판]]. KBO 심판위원으로 활동한 김준표 심판[*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심판위원 역임]의 아들로 황석중[* 프로야구 원년부터 활동한 심판으로 1996년부터 1997년까지 KBO 심판실장(현 KBO 심판위원장)을 역임했다.]-황인태 심판과 같이 부자가 야구 심판인 보기 드문 사례이다. 2013년 3년간의 열애 끝에 결혼하였다. == 선수 경력 == [[전주고등학교]] 졸업 후 프로 지명을 받지 못하였으나 1999년[* 아래 팬북에는 1997년으로 잘못 나와있다.] [[현대 유니콘스]]에 신고선수로 입단하였다. 그러나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2001년 방출당하였다. 2001년 현대 유니콘스 팬북에 그의 이름이 실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https://blog.naver.com/kodori1/222091850794|#]] == 심판 경력 == 현대에서 방출된 이후 2006년 4월 [[KBO 리그|KBO]] 심판위원으로 입사하였다. 1군에서 심판을 보기 시작한 초반에는 판정에 관해서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해가 갈수록 이상한 스트존이 나타나기도 한다.[* 타이트한 존이 일정하지 않을 때가 있다.] 다만 그 이상한 스트존이 자주 나오지 않고 평소에 그다지 거론이 되지 않는 만큼 그날의 스트존에 일관성이 좋은 편이라 다소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 스트라이크 존 자체는 타이트한 편으로 [[https://youtu.be/5sAvSraqq7I|2022시즌 확대된 스트라이크 존에 심판들이 적응하는 훈련]]을 할 때 스트라이크존이 타이트한 심판으로 제일 먼저 호명되기도 했다. [[2023 KBO 포스트시즌]] [[준플레이오프]] 4차전 NC 다이노스 대 KT위즈 경기에서 1루심으로 나왔는데 오윤석 타석에서는 세이프를 아웃으로 조용호 타석에서는 아웃을 세이프로 선언했는데 비디오판독 후 번복이 되긴 했지만 큰 경기에서 판독률이 아쉽긴 하다 == 오심 논란 == 기본적으로 편파적이고 악질적인 심판은 아니지만 이해가 안가는 오심은 몇 가지 있다. [[kt wiz|kt]]와 [[롯데 자이언츠|롯데]] 간 경기에서 [[고영표]]의 떨어지는 공을 [[스트라이크]]로 판정했다. 4월 22일 [[NC 다이노스|NC]]와 kt 간 경기에서는 [[드류 루친스키]]를 상대로 스트존에 걸치는 공도 볼로 판정하고,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 상대로는 2칸 빠지는 공도 스트라이크로 판정하는 기행을 저질렀다. 과거 [[한화 이글스]]의 에스밀 로저스 등판 때도 비슷한 전력이 있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3145196|참고]] 2020 시즌 이후 한동안 스트존으로 그다지 언급이 되고 있지 않다가 2022 시즌 들어 이상한 스트존 판정이 몇번 있었다. [[https://strikes.zone/game/220607KTWKWH|2022년 6월 7일]] kt와 키움 경기, [[https://strikes.zone/game/220619LGTKWH|2022년 6월 19일]] LG와 키움 경기 등이 있는데 특정팀을 편파하지는 않지만 양팀에게 의아한 스트존 판정을 내리곤 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심판/KBO 리그]] [각주] [[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KBO 리그 심판]][[분류:1981년 출생]][[분류:전주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