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인규(동명이인))] [include(틀:역대 한국방송공사 사장)] ---- ||<-5> [[경기대학교|[[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width=35px]]]] {{{+1 '''{{{#900000,#ff6f6f [[경기대학교|{{{#900000,#ff6f6f 경기대학교}}}]] {{{#900000,#ff6f6f 총장}}}}}}'''}}} || || 제9대[br]김기언 || → || '''제10대[br]김인규''' || → || 직무대행[br]전준철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282b9, #2282b9, #2282b9, #2282b9)" [[한국방송공사|{{{#white '''대한민국 제19대 한국방송공사 사장'''}}}]][br]{{{#ffffff {{{+1 '''김인규'''}}}[br]'''金仁圭 | Kim In-kyu'''}}}}}}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imik_2011.jpg|width=100%]]}}} || ||<|2> '''출생''' ||[[1950년]] [[2월 5일]] ([age(1950-02-05)]세) || ||[[서울특별시]] || || '''학력''' ||[[경기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2 (정치학 / 학사)}}} || ||<|4> '''재임기간''' ||제19대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50]]]] '''사장''' || ||[[2009년]] [[11월 24일]] ~ [[2012년]] [[11월 23일]] || ||제17대 [[한국방송협회]] 회장 || ||[[2010년]] [[5월 11일]] ~ [[2012년]] [[8월 21일]] || || '''경력''' ||[[한국방송공사]] 보도국 정치부 차장[br]한국방송공사 보도국 정치부장[br][[한국방송공사]] 보도국 뉴욕지국장[br][[한국방송공사]] 보도국 취재1주간[br][[한국방송공사]] 보도국장[br][[KBS부산방송총국|한국방송공사 부산방송총국장]][br][[한국방송공사]] 뉴미디어센터장[br][[한국방송공사]] 특임본부장[br][[한국방송공사]] 뉴미디어본부장[br][[한국방송공사]] 이사[br][[제17대 대통령 선거]] [[이명박]] 후보 캠프 방송전략실장[br]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 회장[br]'''[[한국방송공사]] 사장 겸 [[한국방송협회]] 회장 겸'''[br]'''한국지상파디지털방송추진협회 회장'''[br][[아시아태평양방송연맹]] 회장[br]제10대 [[경기대학교]] [[총장]]||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언론인으로, 전 [[한국방송공사]] 사장 및 [[경기대학교]] 총장이다. == 일생 == [[1950년]] [[2월 5일]] 서울 출생으로,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마치고 1973년 [[KBS]] 공채 1기 기자로 입사하여 초년병 시절 사건기자로 뛰었으며, 1975년 청주방송국에서 일하다 1976년 본사로 올려져 외신부, 사회부, 정치부를 거치며 취재현장에서 뛰었다. 1984년 뉴스센터 취재1(정치) 국회정당담당(차장)에 오르면서 간부 생활을 시작한 후, 1990년 정치부장으로 승진한 뒤 1992년 미주총국으로 발령나 뉴욕특파원을 맡았다가 1993년 뉴욕지국장에 올랐다. 사실상 기자로서 밟을 수 있는 엘리트 코스를 밟은 셈이다. 1994년 귀국 후 해설위원, 1995년 정치부장, 1996년 취재1주간 등을 거치다 1997년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로 사고사한 동기 홍성현의 후임으로 보도국장에 올랐다. 1998년 박권상 사장 취임 후 부산방송총국장을 지내고 1999년 뉴미디어센터장, 2001년 특임본부장 및 뉴미디어본부장까지 지냈다. 이후 2003년 이종수 KBS 이사장 체제 출범에 따라 이사로 3년 간 재직했고, 2006년 11월 KBS 이사회에서 차기 KBS 사장 후보군에 올랐으나 정연주 사장이 연임되면서 떨어졌다. 방송계 외적으로 2002~2003년까지 한국디지털위성방송 사외이사를 비롯, 2003년 고려대 미디어대학원 석좌교수, 2007년 성균관대 언론정보대학원 초빙교수 등으로 강단에 섰으며, 2007년 [[17대 대선]] 때 [[이명박]] 후보 방송전략실장을 맡고 2008년 정연주 KBS 사장 해임 뒤 차기 사장 물망에 올랐으나, 낙하산 논란을 비롯하여 수많은 논란 때문에 응모를 포기했다. 2009년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 회장을 잠깐 지내다 현직 사장인 [[이병순]]을 이사회 표결에서 이기고 19대 사장에 취임했다. 임기 도중 [[한국방송협회]] 회장 및 한국지상파디지털방송추진협회(DTV 코리아)[* 2016년 5월부로 지상파UHD방송추진협회(UHD 코리아)로 변경되었다.] 회장도 겸임했다. 2011년에는 한국인으로서 최초로 [[아시아태평양방송연맹]] 회장을, 2012년에는 국제 에미상 공로상을 각각 받았다. == 평가 == === 긍정적인 면 === * [[김동건(방송인)|김동건]] 前 아나운서의 [[가요무대]] 복귀를 통해 노년 시청자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 전임 사장인 이병순 시기에 생긴 시청률 저조 프로그램을 여럿 날렸다. [[걸어서 세계속으로]]의 부활도 그의 업적이다. * 전반적으로 [[이명박근혜]] 시절의 [[KBS]] 사장들 중 그나마 경영은 잘했다는 평이기는 하지만 그 잘했다는것도 [[정연주(언론인)|정연주]] 사장 시절과 비슷하거나 못하다는 평을 듣는다. 2009년부터 'K뷰 플랜'을 창안해 [[지상파]] [[HD]] [[다채널방송|다채널 서비스]](MMS) 보급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KBS+|온에어 서비스]] 및 [[DMB]]에서 전부 저작권 문제로 시청할수 없었던 더빙판 외화들이 그의 임기 후반부터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DMB]]에서는 2011년에 방영한 [[닥터후]] [[닥터후/2008-2010년 스페셜|스폐셜]]부터 시청이 가능했고 [[KBS+|온에어]]에서는 2012년에 방영한 미국 [[ABC(미국)|ABC]] 드라마 [[리벤지(드라마)|리벤지]]부터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만 2TV 더빙 영화는 [[아이언맨 2]] 이후 한동안 방영하지 않다가 [[고대영]] 임기인 2016년에 방영한 [[터미네이터 제니시스]]로 최초로 [[DMB]] 및 [[KBS+|KBS my K]]로도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중간에 [[길환영]] 임기 때 방영한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와 [[조대현(언론인)|조대현]] 임기 때 방영한 [[아이언맨 3]]도 더빙 방영이 되어 [[DMB]] 및 [[KBS+|KBS my K]]로도 시청이 가능할 수 있었으나 '''KBS 자체 더빙'''이 아닌 '''외주 더빙'''로 해서 방영했다. (이 때문에 [[KBS 성우극회|자사 출신 성우]] 외에 외부 성우들도 꽤 있다.)] 정연주 이후의 사장들 중에서 더빙판 외화를 많이 편성했다. 물론 정연주와 그 이전 사장들 임기 때랑 비교하면 새발의 피 수준이다. === 부정적인 면 === * [[5공]]때 정치부 소속에 [[민주정의당]] 출입 기자([[https://www.youtube.com/watch?v=RqaZwk6sfhc|증거 영상]])였으며, 1982년 <특별입체 기획: 제5공화국 1년>에서 리포트와 나레이션도 맡았다. [[뉴스타파]]에서 이에 대해 인터뷰를 요청했으나 인터뷰를 거절했다. * [[17대 대선]] 시기 MB캠프에 몸담았던 경력 때문에 '낙하산 아니냐'는 소리까지 나왔다. 실제로 정연주 경질 이후 후임사장 공모과정에 참가하려다가 낙하산 논란 때문에 포기해야 했다. * [[정연주(언론인)|정연주]] 때 거의 없었던 [[9시 뉴스]] 큐시트를 미리 보는 관행이 다시 생기기 시작했으며[* 이병순 사장 시절에는 적어도 사장 본인이 직접 보도에 개입하지는 않았다. 이병순의 경우는 아랫사람들이 과잉충성해서 그런 느낌이 강했지만 '''김인규 부터는 그런 거 없이 직접 윗선에서 개입했다.''' 이후 [[고대영]] 후임인 [[양승동]]도 본인 말로는 [[KBS 뉴스 9]] 큐시트를 보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2010년 [[추적 60분]]의 [[4대강]] 편의 편성을 막고 진보성향 방송인 [[김미화]]까지 [[다큐멘터리 3일]] 나레이션을 문제삼아 퇴출시켰다. * 2011년에 [[이승만]] 일대기 다큐멘터리 <초대대통령 이승만>과 [[백선엽]] 다큐 <전쟁과 군인> 방영을 강행하였고 같은 해 편파 보도와 [[민주당 도청 의혹사건]]으로 인해 [[수신료]] 인상 실패로 당시 보도본부장 [[고대영]]과 콘텐츠본부장 [[길환영]]이 사표를 제출했지만 사표 수리하지 않고 계속 버티다가 [[고대영]] 당시 보도본부장이 [[현대자동차]] 골프접대 논란에 관련 되어 있자 그제서야 고대영 당시 보도본부장의 사표 수리를 하였으나[[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6&aid=0000052456|출처]] 길환영을 끌내 사표 수리하지 않고 부사장까지 승진하였고 임기 후반 [[2012년 공영방송 총파업]] 이후에 연임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2012년 11월 끝으로 사장 임기가 끝나고 후임으로 당시 부사장 [[길환영]]이 사장으로 임명되었다. * 2017년 8월에 다른 사장들([[이병순]], [[길환영]], [[조대현(언론인)|조대현]], [[고대영]])과 함께 '''언론부역자''' 명단에 올랐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2953417|출처]] == 퇴임 후 == KBS를 떠난 후 2013년부터 한국전쟁기념재단 이사장을 3년 지내며 2015년 [[CJ오쇼핑]] 사외이사를 맡았고, 2016년부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임기 중인 2017년부터 4년 간 [[경기대학교|경기대]] 총장으로 취임했으나 취임 과정에서도 [[http://m.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7057#Redyho|논란이 많았다.]] 2021년 5월 30일 [[경기대학교]] 총장 임기를 마치고 퇴임했고, 2022년 5월 [[길환영]], [[고대영]] 등 전직 KBS 사장 2명과 함께 '국민언론감시연대' 출범 당시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동년 6월 [[김동근(1961)|김동근]] 의정부시장 당선 후 세워진 '의정부 시민협치 인수위원회' 위원장이 됐다. == 저서 == * 지금, 녹음하자는 거요? - 한송. 1999. * 그해 겨울은 뜨거웠다: IMF 극복 금모아 수출하자 - 서해문집. 2004. * 방송인 김인규의 공영방송 특강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드라마 스캔들: KBS TV드라마를 말하다 - 페이퍼북스. 2013. == 수상경력 == * 제13회 일맥문화대상[* 2007년에 태창기업 창업주 황래성(1914~1997)의 호를 따서 제정된 상.] 사회봉사상 (2010) * 제10회 자랑스런 한국인 대상 방송발전부문 (2010) * 제8회 서울대 언론인 대상 (2011) * 제23회 중앙언론문화상 방송부문 (2011) * 제40회 국제 에미상 공로상 (2012) * 은탑산업훈장 (2013) * 제18회 관악대상 참여부문 (2016) [[분류:1950년 출생]]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분류:서울대학교 출신]] [[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 [[분류:한국방송공사 사장]][[분류:사립대학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