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김인섭}}}[br]Kim Insub''' || ||<|2> '''출생''' ||[[1973년]] [[3월 2일]] ([age(1973-03-02)]세) || ||[[대구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김해 김씨]][* 김해김씨 25세손으로 끝에 '섭'자 돌림이다.] || || '''학력''' ||[[계성초등학교(대구)|계성초등학교]][br][[계성중학교]][br][[경북체육고등학교]] || || '''종목''' ||[[레슬링]] || || '''체급''' ||그레코로만형 58kg || || '''소속''' ||삼성생명 레슬링단 || || '''신체''' ||168cm, 67kg || || '''가족''' ||부모님[br]남동생 김정섭[* 전직 레슬링 선수 출신이며,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84kg 은메달리스트이다.][br]배우자[br]아들 [[김재상(2004)|김재상]]^^(2004년생)^^[* 현재 야구 선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포지션은 내야수이다. [[휘문고등학교]]에 입학했지만 2021년 [[경기상업고등학교]]로 전학을 갔다.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년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삼성 라이온즈]]의 지명을 받았다.], 딸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레슬링]] 선수로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그레코로만형 -58kg에서 우승하며 주가를 높혔다. 그리고 이듬해 열린 1999 세계선수권마저 정상에 오르면서 단숨에 한국 레슬링의 기대주로 등극했다.[* 1998 세계선수권부터 2년 동안 45연승 무패행진을 달렸다.] == 선수 경력 == === [[2000 시드니 올림픽]] === 한국 선수단 전체에서 가장 강력한 금메달 후보로 손꼽혔지만 예선, 그것도 1회전에서 같은 체급 최고의 라이벌인 [[카자흐스탄]]의 유리 멜리첸코를 만났다.[* [[월드컵]]에서 [[FIFA 랭킹]] 1~4위 팀이 같은 조가 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월드컵 조추첨에서는 톱시드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올림픽 레슬링은 그딴 것 없다.][* 그리고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도 유력한 금메달 후보 [[김현우(레슬링)|김현우]]가 예선 첫경기에서 동급 최고의 라이벌인 러시아의 로만 블라소프를 만나 판정논란 끝에 패하여 동메달에 그쳤다.] 빨라야 준결승에서나 만났을 법한 상대를 예선 1회전에서 만났으니 초반부터 있는 힘 없는 힘 다 쏟아낼 수밖에 없었다. 천신만고 끝에 이겼지만 상대가 항의하는 바람에 재경기를 치러야 했다. 그러나 이 재경기에서 왼손 손가락이 2개나 꺾이는 부상을 당했다. 다음 날 치른 2회전 상대 역시 세계 정상급 기량의 [[우즈베키스탄]]의 딜쇼트 아리포프였다. 접전 끝에 이겼지만 상대가 항의하는 바람에 '''또''' 재경기를 치러야 했는데, 이 재경기에서 그레코로만형 선수에게는 치명적인 늑골 부상[* 그레코로만형은 상체만을 공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을 당했다. 경기 종료 직전 안아넘기기를 성공시켜 극적인 역전승으로 예선 통과를 했지만 이미 김인섭의 몸은 2번이나 재경기를 치르느라 녹초가 된 후였다. 다음 날 김인섭은 부상 부위에 진통 주사까지 맞아가는 불같은 정신력으로 8강과 4강의 벽을 넘었다. 결승전 상대는 [[불가리아]]의 강호 아르멘 나자리안[*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아르메니아]] 태생이다.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아르메니아 국적으로 금메달을 딴 강호다.]이었다. 초반에 엉치걸이로 3점을 따낼 때만 해도 좋았다. 하지만 예선전 때 입은 손가락과 늑골 부상으로 방어 위주로 갈 수밖에 없었고, 주심은 이를 놓치지 않고 김인섭에게 패시브[* 일명 '빠떼루'로 불린다. 소극적으로 경기를 운영한 선수에게 선언하는 일종의 벌칙이다.]를 선언했다. 김인섭의 투혼은 거기까지였다. 나자리안은 김인섭의 늑골을 집중 공략했다. 아무리 진통제를 맞았다고 하지만 상대가 부상 부위를 집중적으로 건드리니 그 고통이 어떻겠는가? 나자리안은 단 한번의 패시브 찬스를 잘 살려 김인섭을 두 번 연속으로 들어메쳤다. 특히 두 번째로 들어매쳤을 땐 들어메친다기보다 아예 김인섭의 어깨를 매트에 메다 꽂았다. 이 과정에서 몸이 접히는 충격으로 더이상 방어할 기력도 남아있지 않았고, 결국 폴패하여 은메달에 머무르고 말았다. 물론 김인섭의 연승행진도 [[2000 시드니 올림픽]] 결승전에서 깨졌다. 당시 인터뷰는 온 국민의 마음을 울렸다. > '''"모든 것을 다 바쳤거든요. 최선을 다 했습니다. 하늘이 저를 은메달밖에 안 만들어 주는 것 같아요."''' 그리고 [[2008 베이징 올림픽|8년 후]], [[유도|다른 종목]]에서 김인섭처럼 [[왕기춘|늑골 부상으로 결승전에서 힘 한번 못써보고 상대에게 큰 기술을 허용해 은메달에 그친 선수]]가 [[역사는 반복된다|대한민국에 또 나왔다.]]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 올림픽에 대한 미련이 남아서 한 체급을 올려 -66Kg에 출전해 금메달을 다시 차지하면서 건재를 과시했다. === [[2004 아테네 올림픽]] === 대한민국 선수단의 남자 주장을 맡았으나 8강전에서 패배하면서 결국 올림픽 금메달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참고로 시드니에서 김인섭에게 뼈아픈 패배를 안긴 장본인 나자리안은 [[2004 아테네 올림픽]] 준결승에서 [[정지현]]에게 패배하며 올림픽 3연패가 좌절되었다. 인터뷰에서 말하길 [[2000 시드니 올림픽]]과는 달리 이때는 간절함이 많이 사라졌다고 한다. 올림픽을 한 달 가량 앞두고 [[김재상(야구선수)|아들]]을 얻었는데, 아들이 눈에 밟혀 마음이 많이 흐트러져서 그렇다고 밝혔다. == 은퇴 이후 == 올림픽 이후로 삼성생명 레슬링단 코치로 일하면서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 여담 == 장남은 [[삼성 라이온즈]]소속 내야수 [[김재상(2004)|김재상]]이다. 김인섭 본인이 삼성 팬이어서 아들도 삼성 팬이었는데 삼성에 지명되었다. == 수상 기록 == ||<-3>
{{{#white 올림픽}}} || || 은메달 || [[2000 시드니 올림픽|2000 시드니]] || 58kg || ||<-3>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1998 예블레 || 58kg || || 금메달 || 1999 아테네 || 58kg || || 은메달 || 2001 파트라스 || 63kg || ||<-3> {{{#white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1998 방콕 아시안 게임|1998 방콕]] || 58kg || || 금메달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2002 부산]] || 66kg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73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레슬링 메달리스트]][[분류:2000 시드니 올림픽 레슬링 메달리스트]][[분류:2004 아테네 올림픽 레슬링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병역특례자/레슬링]][[분류:2004년 은퇴]][[분류:김해 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