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일환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br][[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1.svg|width=5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2.svg|width=5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3.sv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83년 한국시리즈|{{{#ffffff 1983}}}]]''' || '''[[1986년 한국시리즈|{{{#ffffff 1986}}}]]''' || '''[[1987년 한국시리즈|{{{#ffffff 1987}}}]]''' || ---- ||<-5>
'''{{{#ed1c24 [[롯데 자이언츠|{{{#ed1c24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1번}}}''' || || 창단 || {{{+1 →}}} || '''{{{#ed1c24 김일환[br](1982)}}}''' || {{{+1 →}}} || [[최동원]][br](1983~1988)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4번}}}''' || || 결번 || {{{+1 →}}} || '''{{{#ff0000 김일환[br](1983~1988.6.19.)}}}''' || {{{+1 →}}} || [[김태완(1966)|김태완]][br](1989~1991) || ||<-5> '''{{{#ff9933 [[태평양 돌핀스|'''{{{#ff9933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36번}}}''' || || [[김상기(야구)|김상기]][br](1983~1987) || {{{+1 →}}} || '''{{{#ffffff 김일환[br](1988.6.20.~1989)}}}''' || {{{+1 →}}} || 최용철[br](1990)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일환(야구).jpg|width=100%]]}}} || ||<-2>두번째 줄 가운데에 있는 사람이 김일환이다. 윗줄은 [[김봉연]], [[김용남(야구)|김용남]], [[서정환]]. 가운데줄은 [[이상윤(야구선수)|이상윤]], 김일환, [[김종모]], 아래줄은 [[김일권]], [[김성한]], 김종윤이다.|| ||<-2> '''{{{+2 김일환}}}[br]金一煥 | Kim Il-Hwan''' || ||<|2> '''출생''' ||[[1954년]] [[1월 11일]] ([age(1954-01-11)]세) || ||[[부산광역시]] 남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대연초등학교|부산대연초]] - 동성중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 || || '''포지션''' ||[[1루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1982년 [[롯데 자이언츠]] 창단 멤버 || || '''소속팀''' ||'''[[한국화장품 야구단]] (1976~1981)''' [br] [[롯데 자이언츠]] (1982) [br] '''[[해태 타이거즈]] (1983~1988)''' [br] [[태평양 돌핀스]] (1988~1989)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육군 경리단]] (1979~1981)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한국화장품 야구단]], [[롯데 자이언츠]], [[해태 타이거즈]], [[태평양 돌핀스]] 출신 좌투좌타 내야수. 주포지션은 1루수. 특히 해태에서 우투수 전문 대타로 활약해 우승에 기여했다.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또래보다 야구를 뒤늦게 시작한 케이스로, 부산동성중 2학년 때 투수로 야구에 입문했다.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로 진학해 본격적으로 1루수로 포지션을 고정했고 그 후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에 진학했다. [[한국화장품 야구단]] 창단 멤버로 활약해 27경기 연속안타기록을 가지고 있었을 만큼 실업야구 당시부터 컨택능력이 뛰어났다. 실업야구 당시 별명은 '안타 제조기.' 일명 부채꼴 타법으로 당겨치기, 밀어치기에 능한 컨택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1979년에는 육군으로 입대해 [[육군 경리단]]에서 활약했으며, [[1980년 코리안시리즈]]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 프로 경력 === 1982년 롯데 자이언츠 창단멤버로 프로에 입단했지만, 방출되어 이듬해인 1983년에 좌타자가 부족한 [[해태 타이거즈]]로 이적했다.[* 같은 시기 삼성 원년 멤버였던 내야수 [[서정환]]도 해태로 트레이드되었다. 다시 말해 김일환과 서정환 둘다 영남권에서 호남으로 이적한 것이다.] [[해태 타이거즈]] 시절에는 1984년을 제외한 나머지 시즌 동안 주로 우투수 전문 대타로 뛰었다. 우타자로 도배가 되어있는 해태 타선이었기에 같은 좌타자인 [[송일섭]]과 함께 팀내 희소가치는 높았다. [[1983년 한국시리즈]]에서는 4할의 맹타를 휘두르며 팀 우승에 공헌했다.[* 페넌트레이스에서는 부진했지만 그의 경험을 높게 산 [[김응용]] 감독이 2번 붙박이 1루수로 기용했고 [[김봉연]] 다음으로 좋은 성적을 냈다.][* [[1983년 한국시리즈]]에서는 1번타자 겸 중견수 [[김일권]] 바로 다음 타순인 2번타자 겸 1루수로 뛰면서 해태의 창단 후 첫 우승에 기여했다. 당시 수비진은 포수 [[김무종]], 1루 김일환, 2루 [[차영화]], 3루 [[김성한]], 유격수 [[서정환]], 좌익수 [[김종모]], 중견수 [[김일권]], 우익수 [[김준환]], 지명타자 [[김봉연]], 투수 [[이상윤(야구선수)|이상윤]], [[강만식]], [[김용남(야구)|김용남]], [[방수원]], [[주동식]], 내야 유틸리티 플레이어 [[조충열]] 등이 포진했다.] [[선동열 vs 최동원#s-2.3|1987년 5월 16일, 선동열과 최동원의 맞대결로 화제가 됐던 사직 롯데전]]에서는 9회초 [[장채근]]의 대타로 나와 2루 주자 [[한대화]]를 불러들이는 동점 적시 2루타를 치면서 팀을 벼랑 끝에서 구해내기도 했다. 1988년 6월 20일, [[태평양 돌핀스]]로 현금 트레이드 이적하여 1시즌 반만 활동한 뒤 은퇴하게 된다. == 은퇴 후 == 은퇴 후 야구계를 아예 떠나 미국으로 이주했다. 2002년 [[애틀랜타]] 부근에 하얀풍차 제과점(White Windmill Bakery)을 개업하여 현재까지 경영하고 있다고 한다. 본점의 성공에 힘입어 지금은 분점 포함 5개의 점포로 늘어났다. == 기타 == * 프로 원년부터 은퇴할 때까지 446경기 1075타석에 출전하는 동안 단 한 개의 홈런도 기록하지 못하고 은퇴하며 '데뷔 후 최다타석 무홈런'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 기록은 [[강한울(야구선수)|강한울]]이 새롭게 경신했다. *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김성한]]이 뽑은 가장 보고 싶은 선배로 김일환을 뽑았다. 방망이 한 자루 가지고 외롭게 야구 생활을 했으며 꼭 만나서 식사 한 끼라도 같이 하고 싶다고 말했다. * [[마구마구]]에서는 좌투좌타임에도 불구하고 [[2루수]]로 카드가 출시됐다. 이로 인해 수비 시 송구할 때마다 상당히 기괴한 장면을 볼 수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1954년 출생]][[분류:1982년 데뷔]][[분류:1989년 은퇴]][[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내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한국화장품 야구단/은퇴, 이적]][[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