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20100311_88aabe1e311b85df842b694de0c9b0ed.jpg|width=100%]]}}} || || '''이름''' ||김재춘 || || '''생년월일''' ||[[1987년]] [[2월 10일]] ([age(1987-02-10)]세) || || '''출생지''' ||[[경상남도]] [[창원시]] || || '''가족''' ||2남 중 둘째 || || '''학력''' ||[[창원남산고등학교]] || || '''소속''' ||[[위메이드 폭스]](前 팬택 EX)→ [[kt 롤스터]](前 KT 매직엔스)→ 은퇴 || || '''종족''' ||[[저그]] || || '''아이디''' ||Sea.FireFist. || || '''별명''' ||'''[[거침없이 하이킥|거침없이 김재춘]]''' || [목차] [clearfix] == 경력 == * [[2006년]] 제18회 커리지매치 입상 * 2006년 e-Sports협회 주최 제7회 주장원전 우승 * [[2008년]] [[BATOO 스타리그 08~09]] 36강 * [[2009년]] Pre NATE MSL 로열로더 토너먼트 우승 * 2009년 [[NATE MSL]] 16강 *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36강 * 2010년 [[하나대투증권 MSL]] 32강 == 전적 == ||<-4> '''{{{#ffffff 김재춘의 스타1 양대 개인리그 A매치 통산 전적}}}''' || || 방송사 || {{{#white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 {{{#white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 || vs 테란 || 6전 4승 2패 (66.7%) || 8전 4승 4패 (50.0%) || 14전 8승 6패 (57.1%) || || vs 저그 || 3전 1승 2패 (33.3%) || 4전 2승 2패 (50.0%) || 7전 3승 4패 (42.9%) || || vs 프로토스 || 6전 2승 4패 (33.3%) || 6전 1승 5패 (16.7%) || 12전 3승 9패 (25.0%) || || 총 전적 || 15전 7승 8패 (46.7%) || 18전 7승 11패 (38.9%) || 33전 14승 19패 (42.4%) ||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3|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위메이드 폭스|팬택&큐리텔 큐리어스]]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2008년 9월 KTF 매직엔스로 이적, 팀의 저그 라인을 보강하게 된다. 그 후 주장직을 맡기도 했다. [[kt 롤스터]]가 '''구단 역사상 최초의 정규리그 우승'''을 했을때 주장이 김재춘이었다. [[은퇴]]한 이후 주장 자리는 [[우정호]]에게 넘어갔다가 [[2011년]] [[1월]]부터 돌아온 [[박정석]]이 맡게 된다.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최종병기 [[이영호]]의 스승 中 1명이었다'''. 당시 [[이윤열]]의 제자 기믹이 있었던 [[이영호]]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236&aid=0000017175|인터뷰]]에서 '실제로 [[이윤열]]에게 배운 건 별로 없다.'고 언급하며 김재춘, [[김성진(프로게이머)|김성진]], [[한동훈(프로게이머)|한동훈]] 등을 자신의 스승으로 뽑았다. 팬텍 시절 연습생 신분에 연습을 해달라고 요청할 수도 없었고 [[학교]] 때문에 밤이 아니면 시간이 안나던 처지에 먼저 손을 내밀어준 선수였다고 한다. == 거침없이 김재춘 == 원래 데뷔했을 때는 그냥 그런 [[신인]] 저그 프로게이머였다. 특별히 주목할 점은 없었으나... [[https://youtu.be/WCEUItbz4RM|빼냈거든요 끄집어 냈거든요 아 ~ 김재춘! 야 김재춘, 야 김재춘, 김재춘]] 엠겜중창단이 만들어낸 최고의 역작, '''김재춘 삼중창 후 돌림노래'''가 등장하면서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진다. 이 영상 하나로 수많은 [[패러디]]가 등장했고, 동영상 -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는 사람 이름이 들어갈 자리에 김재춘 합창이 자주 삽입되었다. 그런 패러디들 중 가장 히트를 친게 '''거침없이 김재춘'''. [[거침없이 하이킥]] 노래에 중창단이 합성되며 놀라운 싱크로가 나왔다. 그는 그러나 이 이후에 한동안 두드러진 활약을 보이지 못해 '''이름은 아는데 왠지 얼굴은 모르는 프로게이머'''가 되어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색다른 명성은 잊혀지지 않았는지, 이후에도 [[MBC GAME]]의 해설진들은 프로리그에 김재춘이 출전하면 환호한다든가, 김재춘이 이기고 있을 때 '야, 김재춘'을 중얼거린다든가 하면서 아쉬움을 드러냈다. 후에 [[김철민(게임 캐스터)|김철민]]이 [[스타 파이널포]]에서 "빼냈거든요 끄집어냈거든요"를 시전했다. == 선 GG사건 == 그러던 중 그는 [[MSL]]보다도 [[BATOO 스타리그 2008|바투 스타리그]] 36강에 먼저 진출하면서 양대 리그에 발을 들이게 되는데, 여기서도 사건이 하나 터져 버렸다. 첫 경기를 잡고 [[손찬웅]]과 경기를 하게 된 김재춘은 앞마당이 밀리며 손을 놓을 수밖에 없는 지경에 몰리는데, 문제는 이 상황에서 '''손찬웅이 [[GG]]를 먼저 쳐버린 것'''.[* 그것도 그냥 GG가 아닌 'zizi yO'로 쳤다. 이 때문에 무조건 GG로만 쳐야 하는 규정으로 바뀌었다.] 경기 후 인터뷰에 따르면 손찬웅은 [[용기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라군]] 죽는 소리를 김재춘이 GG 치는 소리로 착각하고 GG를 쳤다고 한다. 김재춘은 손찬웅의 GG 직후 평소대로 GG를 치고 게임에서 나간 상황이었다. --하여간 드라군이 웬수라니까!-- '김재춘 지고도 진출이냐?', '손찬웅 몰수패 아니냐?'는 논란 속에서 심판이 양측의 의견을 물었고 김재춘이 '''어차피 진 건 진 거고 [[실수]][[질 수도 있지 스갤 시발들아|로 그랬다는데 그냥 넘어가죠]]!'''라고 패배를 인정하면서 결국 이 사건은 손찬웅의 승리로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규정대로라면 손찬웅이 패배를 당할 상황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데, 이 때문에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는 '김재춘은 심판 오지 말고 판정승 처리해 주기를 기다렸을 것'이라는 추측을 하기도 했다. 만약 그렇게 됐으면 김재춘은 생애 첫 16강 진출이건만... 김재춘은 관대한 패배 인정으로 [[대인배]]의 칭호를 얻... 을 뻔했으나, 위의 주장으로 인해 [[대인배]] 칭호가 갑작스럽게 취소되었다. 이거 뭔가 이상하긴 한데 그냥 처음부터 없던 거라고 생각하면 속 편할지도 모르겠다. 결국 얻은 닉네임은 쿨재춘. 그 뒤 [[아이러니]]하게도 손찬웅은 이 이후 [[허리디스크]]로 '''16강 출전을 포기'''하면서 김재춘은 와일드카드전의 기회를 얻었으나, [[김택용]]에게 그 기회를 넘겨줘야 했으며, 그 뒤 [[김택용]]은 그 대회에서 4강까지 진출했다. 김재춘 입장에서는 억울해 해야 할지, 좋아해야 할지... == 프로리그에서의 김재춘 == KT 롤스터(이적 당시 KTF 매직엔스)로 이적할 때까지만 해도 프로리그에서의 출전 기회가 많지 않았다. 김재춘 본인이 영입된지 얼마 안 돼서 하필 [[박찬수|반찬쓰레기]]가 영입되는 바람에 프로리그에서 아예 못 보는 것 아니냐는 염려도 있었다. 그러나 4라운드부터 --박찬수--가 찬스막화되면서 간간히 출전 기회를 잡았고, --박찬수--가 서서히 찬스막에서 다시 찬스박으로 일어서기 시작하는 지금까지 좋은 성적을 내면서 팀 내에서 입지를 만드는 데 성공. 그러나 이후 --박찬수--가 다시 찬스막화되어가고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승부조작]]에 연루되어 은퇴를 하게 되어 KT의 저그라인이 아예 모두 [[잉여라인|잉여]]가 되어 버렸다. 8월 17일에 있었던 비공식전인 [[경남-STX컵 마스터즈]]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와의 대전에서는 [[진영화]], [[신동원]], [[권수현(프로게이머)|권수현]],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등을 모두 이기고 생애 첫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을 기록하기도 했다. 11월 28일. --[[박찬수]]-- 대신 [[하이트 스파키즈]]와의 경기에서 1세트에 출전, [[김상욱(프로게이머)|김상욱]]을 꺾었다. 단점이라면 요상하게 [[처두션]]만 만나면 작아진다는 것 뿐.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당시 CJ와의 경기에만 출전하면 졌다. 하지만 이는 [[이영호]]를 제외한 KT 선수들 모두가 겪는 문제인데다가 --[[마재윤]]--이 이기도록 내버려 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가 이기면 CJ는 패한다'''. 2010년 4월 13일, [[STX SouL]]의 [[김성현(프로게이머)|염색했지용]]에게 후대에 길이길이 남을 대 역전경기를 한다. [[번식지|레어]]가 날아가고, [[산란못|스포닝 풀]] 등 다 날아간 저그가 근성의 뮤짤로 다시 이기는 내용이다. 팬이라면 꼭 볼만한 경기지만, 팀은 2연패. == 개인리그에서의 김재춘 == 2009년 10월 15일 [[네이트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신상문]]을 두 번 꺾으며 사상 첫 MSL 본선에 진출했다. [[로얄로드]]를 걸을 수 있을 것인지 행보가 주목된다. 그리고 NATE MSL [[조지명식]]에서 '''[[http://gall.dcinside.com/list.php?id=hit&no=4160&page=1&search_pos=-2727&k_type=1000&keyword=%EC%9A%B0%EC%A3%BC%EB%A8%BC%EC%A7%80&bbs=|거침없이 삼중창]]'''(=거침없이 김재춘)을 테마곡으로 정하고 입장했다. 하단에는 '제작자 : DCINSIDE 우주먼지'가 떴기에 [[스갤]]러들은 스갤 방송 출연이라며 기뻐했지만, 우주먼지는 [[동영상-스타크래프트 갤러리|스동갤]]러다... 12월 10일, NATE MSL 32강전을 치뤘다. 첫 상대가 [[허영무|gjdudan]]. 매치포인트에서 벌어진 경기에서 초중반까지 운영을 잘 가져갔으나 ~~투명해서~~ 시야에 비치지 않은 [[허영무|gjdudan]]의 한 방 병력에 주요 멀티가 밀리면서 GG. 이어지는 패자전에선 '''당시 케스파랭킹 2위였던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를 [[저저전]]에서 타이밍러쉬로 한 방에 훅 보내버리고 최종전에 진출했다.[* 놀라운 사실은 비공식 전적을 포함해서 [[무려]] 4:0으로 김정우에게 앞서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어지는 전장은 [[테란]]이 그렇게 좋다던 [[얼티메이텀]]. 게다가 상대는 당시 저그전 분위기가 매우 좋던 [[민찬기]]였다. 그러나 경기는 달랑 2분만에 끝났다. 것도 '''[[4드론]]'''으로... 그리고 말 그대로 거침없이 16강에 가 버렸다. 경기가 끝난 후 지지 여론과 비판 여론이 공존하고 있다. 아무래도 [[공군 ACE]] 소속 선수가 너무 허무하게 [[광탈]]해버린 데 대한 아쉬움도 큰 듯. [[인터뷰]]에서 이 맵은 엠겜에서 저그를 죽이려고 만든 맵인 것 같다며 도저히 방법이 보이지 않아 4드론을 썼다고... 그리고 16강에서 [[이제동]]에게 1세트도 발리고 2세트까지 6분만에 시원하게 발리며 16강 탈락했다. 그리고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예선을 뚫고, 36강에 진출했다. 36강에서 [[임진묵]]을 이겼고, 김정우에게 리드하다가, 역전패 당해서 16강 진출에는 실패. 대신 3월 11일에 열린 [[하나대투증권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조병세(프로게이머)|좂]]에게 패배했으나 [[오영종]]을 잡고 조병세 리턴매치에서도 승리를 거두어 [[MSL]] 32강에 진출했다. 4월 1일에 열린 하나대투증권 MSL 32강전에서는 --[[진영수]]--, [[허영무|gjdudan]] 등에게 연속으로 털리면서 이번엔 거침없이 탈락해 버렸다(...). == 은퇴 후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이 끝나고 한 달 뒤인 2010년 9월, [[e스포츠]]병에 지원하였다. 그렇게 [[공군 ACE]]에서도 거침없이 나아가려는 줄 알았으나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개막을 나흘 앞둔 2010년 10월 12일, 돌연 [[배병우]]와 같이 [[http://m.game.dailyesports.com/view.php?ud=201010131946440033264#_enliple|은퇴하고 말았다]]. 나오는 얘기로는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은퇴했다고... 시간이 지나서 2011년 6월 10일, [[성춘쇼]] 55화에 출연했다. 은퇴한 프로게이머로서는 흔치 않은 방송 출연. 은퇴의 이유는 공군 ACE에 지원했지만, 전역 후 자신의 미래를 생각했을 때 '''다른 길을 선택하는 편이 낫겠다'''는 생각에 아예 은퇴를 결심했다고 한다. 또한 속기 공부 중이며 [[여자친구]]도 있다고 했다. [[결혼]]까지도 생각하고 있는 [[애인]]이라 군 입대해도 기다려 줬으면 좋겠다고 영상 편지까지 띄웠다. 2011년 10월에 [[속기사]] 자격증을 따고 속기 학원의 강사로 취직한 모양. [[http://www.etnews.com/201110150001|*]] 그리고 은퇴를 선언한 지 1년이 지난 2011년 11월 10일에서야 비로소 은퇴 공시가 나왔다. 은퇴 후 알려진 바에 따르면 [[서울시의회]] 사무국 의사담당관실에 속기직으로 근무했단다. [[결혼]]도 했다고... 그 사이에 [[군대]]도 이미 갔다 왔다. [[강원도]] [[홍천군]] [[제3기갑여단|3기갑여단]] 출신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8dVl-XBUkuc&ab_channel=%ED%95%9C%EA%B5%ADAI%EC%86%8D%EA%B8%B0%EC%82%AC%ED%98%91%ED%9A%8C|인터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재춘, version=34)] [[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1987년 출생]][[분류:2006년 데뷔]][[분류:창원시 출신 인물]][[분류:2010년 은퇴]][[분류:창원남산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