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佇 (? ~ 1389) [[고려]]의 인물. [[최영]]의 조카. 김윤명의 아들. 오랫동안 [[최영]]을 따라 권세를 부렸고 대호군, 영삼사사 등을 지냈는데, [[1389년]] [[11월]]에 [[정득후]]와 함께 황려현(現 [[여주시]])에서 [[우왕]]을 알현했다. 우왕을 복위시키기 위해 우왕의 당부에 따라 팔관일에 거사를 일으킨다는 걸 [[곽충보]]에게 알렸지만, 곽충보는 이를 거짓으로 승낙하고 [[이성계]]에 알려주면서 일이 발각되었다. 이후 정득후와 함께 이성계를 죽이기 위해 그의 자택에 갔다가 정득후와 김저 모두 현장에서 발각됐고, 정득후는 그 자리에서 목을 찔러 [[자살]]했고, 김저는 문객에게 붙잡혀 순군옥에 수감된 뒤 대간에게 신문을 받았다. 진술 중에 조방흥을 언급하고 [[변안열]], [[이림(고려)|이림]], [[우현보]], 우인열, 왕안덕, 우홍수 등과 공모해 우왕을 맞아들일 약속을 했다고 진술했다. 옥중에서 사망했고, 시신마저 큰 거리에서 참수되었는데, 김저의 진술에서 순군관에 관한 것이 많아 사람들은 그의 죽음에 의혹을 품었다. 이후 김저와 공모한 혐의를 받은 27명이 유배되었다. 후에 [[공양왕]] 때 [[정몽주]]가 죄가 있는 자가 부당하게 사면을 받거나 죄가 없는 자에게 누명을 씻도록 하는 상소를 올리면서 성헌, 형조 등에서 5가지 죄목을 들어 반박할 때 박의룡의 공술을 설명하고 우현보 등이 모의에 가담했던 사실을 김저가 벌써 명백히 말했다고 언급했다. [[용의 눈물]]에서는 지나가는 길에 우왕에게 둘렀다가 정 때문인지 과도를 선물로 받고 곽충보, 정득후에게도 과도를 돌리는데, 이방원이 곽충보를 찾아가 우왕이 환도를 내린 것으로 조작하고 일으킨 사건으로 옥에 갇힌다. 이를 빌미로 이성계 일파는 [[정적]]들을 깡그리 제거해버리고 창왕까지 폐위해버린 후에 [[공양왕]]을 옹립힌다. 이후 옥에서 입막을 위해 살해당하는 것으로 나온다. [[태종 이방원(드라마)|태종 이방원]]에서는 [[최은석]]이 연기했다. [각주] [[분류:고려의 인물]][[분류:1389년 사망]][[분류:옥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