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산교육재단)] ||<-2>
{{{#f5f5f2 {{{+4 '''김정수'''}}}}}} || ||<-2> [[파일:NISI20110715_0004834381_web.jpg|align=center&width=80%]] || || {{{#f5f5f2 '''호'''}}} || 호산(瑚山) || || {{{#f5f5f2 '''국적'''}}} || [[대한민국|{{{#00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6]]''' '''[[대한민국]]}}}]] || || {{{#f5f5f2 '''출생'''}}} || [[1922년]] [[대구부]][br](現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 || {{{#fff '''사망'''}}} || [[2011년]] [[7월 15일]] 오후 5시 45분 || || {{{#fff '''학력'''}}} ||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대구농림고등학교]] [br] 만주국립가목사의과대학 [br]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박사)^^ || || {{{#fff '''가족관계'''}}} || 배우자 이경애, 아들 이원경[* 학교법인 호산교육재단 이사장이다.], 딸 김미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의사, 교육인. == 생애 == 1922년 대구시 덕산동에서 출생했다. 대구농림고등학교와 만주국립가목사의과대학 및 경북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1946년부터 1952년까지 대구의과대학[* 現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에서 전임교수로 후학을 양성했고 1952년부터 1992년까지 내과병원을 개원해 의료봉사에 전념했다. 또한 복지사회 산업역군과 성실하고 유능한 후학 인재 양성을 위해 1981년 정동고등학교를, 1992년에는 경산1대학[* 現 호산대학교.]을 설립해 이사장과 총장을 역임했다. 2011년 7월 15일 오후 5시 45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9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3969242|#]] [clearfix] [[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1922년 출생]][[분류:2011년 사망]][[분류:호산교육재단]][[분류:중구(대구) 출신 인물]][[분류: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출신]] [[분류:경북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