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前 해태 타이거즈 소속의 투수, rd1=김정수(1962), other2=다른 동명이인, rd2=김정수)] || '''{{{#000000 김정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LG 트윈스 1차 지명선수)] ---- || '''{{{#000000 김정수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00 [[MBC 청룡|'''{{{#ffff00 MBC 청룡}}}''']] 등번호 44번}}}''' || || 결번 || {{{+1 →}}} || '''{{{#ffff00 김정수[br](1983)}}}''' || {{{+1 →}}} || 결번 || ||<-5> '''{{{#ffff00 [[MBC 청룡|'''{{{#ffff00 MBC 청룡}}}''']] 등번호 47번}}}''' || || 결번 || {{{+1 →}}} || '''{{{#ffff00 김정수[br](1984~1985)}}}''' || {{{+1 →}}} || 김성준[br](1990) || ||<-5> '''{{{#ffff00 [[MBC 청룡|'''{{{#ffff00 MBC 청룡}}}''']] 등번호 44번}}}''' || || 결번 || {{{+1 →}}} || '''{{{#ffff00 김정수[br](1986)}}}''' || {{{+1 →}}} || [[양승관]][br](1990) || }}} || }}} || ---- ||<-2> [[파일:external/blog.koreadaily.com/27053235_1.jpg|width=400]] || ||<-2> '''{{{+2 김정수}}}'''[br]'''金貞洙''' || ||<|2> '''출생''' ||[[1960년]] [[10월 13일]] || ||[[서울특별시]] || || '''사망''' ||[[1986년]] [[11월 3일]] (향년 26세) || || '''국적'''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학력'''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 - [[고려대학교 야구부|고려대]] || || '''포지션''' ||[[외야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3년/신인드래프트#s-2|1983년 1차 지명]] ([[MBC 청룡|MBC]]) || || '''소속팀''' ||[[MBC 청룡]] (1983~1986) || || '''병역''' ||[[예술체육요원]][* 1978년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 준우승[[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12699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 == 선수 경력 == [[고려대학교]]를 나와서 [[MBC 청룡]]에서 활약하던 선수였다. 대학 시절인 1981년 대학야구 사상 최초로 4게임 연속 홈런을 치는 활약으로 국가대표팀 선수로 발탁되었고, 1982년 가을 서울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82년|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 국가대표로 선발]], 주전은 아니지만 간간히 대타로 나오며 짭짤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이 대회 일본과의 결승전에서는 2-0으로 뒤지던 8회말 대타로 나와 역전의 발판이 된 1타점 중월 2루타를 날렸고 [[김재박]]의 스퀴즈번트[* ''''개구리 번트''''로 알려진 그 번트] 때 홈인하는 등 여러 면에서 많은 활약을 했다.[* 이 때 홈을 밟은 1루 주자가 이후 [[롯데 자이언츠]], [[MBC 청룡]]에서 활동한 심재원. 그도 1994년 폐암으로 고인이 되었다.] 하지만 프로 무대에선 다소 부진했다가 투수로 변신[* [[심재학]]처럼 외야수이면서 강견을 갖고 있어 홈으로 직접 송구가 가능했던 당시로는 많지 않던 선수였다.]하여 재기를 노리던 [[1986년]] [[11월 3일]], 팀메이트 안언학, 김경표와 [[강남구]] [[내곡동(서울)|내곡동]][* 1988년 [[서초구]] 산하로 변경되었다.] [[예비군]] 훈련장에서 병역특례 보충역 훈련을 받고 귀가하던 중 낮 1시 30분 경 이들이 탄 승용차가 버스와 정면 충돌하는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가해차량이 [[대성운수]] 소속 버스였던 것 같다. 아래 기사를 참고.] 향년 26세.[* 동승했던 안언학과 김경표는 둘 다 기적적으로 생존했는데, 안언학은 이후 [[쌍방울 레이더스]]로 이적하여 재기를 꿈꿨지만 실패하고 은퇴했다. 김경표도 이렇다 할 활약 없이 [[1989년]] 은퇴 후 조용히 살다가 이후 다시 교통사고를 당해 사망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110400209209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11-04&officeId=00020&pageNo=9&printNo=20029&publishType=00020|당시 기사]] [[1988년]] [[6월]], 법원에서 프로야구선수는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62400329211015&ed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6-24&officeId=00032&pageNo=11&printNo=13150&publishType=00020|정년이 40살이라는 판결]]을 내리면서 아내에게 40살까지 현역으로 뛸 시 받는 연봉으로 계산한 뒤, 그 후 55세까지는 일용직 임금을 적용하여 합산한 금액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리게 된다. 이후 1989년 2월 서울고법이 항소를 기각하면서 프로야구선수의 정년을 35세로 낮추어 계산해 최종적인 배상 금액이 결정되었다.[[https://www.law.go.kr/LSW/precSc.do?section=&menuId=7&subMenuId=47&tabMenuId=213&eventGubun=060101&query=프로야구#licPrec118536|#]]공동불법행위자 중 한 명이 피해액 일부를 배상하면서 선처를 요구한 적도 있는 모양이다. 물론 판결문에 나와있듯 피해보상/배상액은 법원의 판결에 의해 결정되며 그 결정이 완료되기 전까지 일련의 비용은 법원의 청구 없는 개인적인 보상이다. 다만 지금에 와서 이 판결의 프로야구선수 정년에 대한 부분을 보면 이전 판결의 만 40세 쪽이 좀 더 미래를 빨리 보았다 할 것이다. [[https://www.law.go.kr/판례/(91다7385)|1991년 판례]]에서 프로야구선수의 가동연한을 만 40세로 대법원이 판결한 것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33366622393472&mediaCodeNo=257|#]] 정년을 40년까지 본 건 42세까지 프로로 뛴 백인천을 보고 정한 듯 한데, 80년대 당시에는 30대 초반만 해도 은퇴하는 선수가 부지기수에 김재박처럼 30대 중후반에 은퇴하는 경우가 더 드물었다. 적당한 선에서 정년을 정한 듯. == 연도별 성적 == ||<-17> {{{#ffff00 역대 타자 기록}}}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볼넷}}} || {{{#ffff00 사구}}} || {{{#ffff00 삼진}}} || {{{#ffff00 출루율}}} || {{{#ffff00 장타율}}} || {{{#ffff00 OPS}}} || || 1983 ||<|4> [[MBC 청룡|MBC]] || 97 || .240 || 67 || 12 || 2 || 5 || 34 || 32 || 7 || 33 || 1 || 58 || .317 || .351 || .668 || || 1984 || 52 || .172 || 15 || 3 || 1 || 1 || 9 || 10 || 2 || 17 || 0 || 25 || .299 || .264 || .563 || || 1985 || 32 || .220 || 20 || 3 || 2 || 1 || 7 || 4 || 0 || 7 || 1 || 23 || .280 || .330 || .610 || || 1986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3시즌) || 181 || .223 || 102 || 18 || 5 || 7 || 50 || 46 || 9 || 57 || 2 || 106 || .306 || .330 || .637 || ||<-14> {{{#ffff00 역대 투수 기록}}}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이닝}}} || {{{#ffff00 승}}} || {{{#ffff00 패}}} || {{{#ffff00 세}}} || {{{#ffff00 ERA}}} || {{{#ffff00 피안타}}} || {{{#ffff00 피홈런}}} || {{{#ffff00 볼넷}}} || {{{#ffff00 사구}}} || {{{#ffff00 탈삼진}}} || {{{#ffff00 WHIP}}} || || 1985 ||<|2> [[MBC 청룡|MBC]] || 15 || 60 || 2 || 3 || 0 || 2.70 || 50 || 0 || 38 || 2 || 25 || 1.47 || || 1986 ||<-12>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1시즌) || 15 || 60 || 2 || 3 || 0 || 2.70 || 50 || 0 || 38 || 2 || 25 || 1.47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MBC 청룡]]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정수, version=77)] [[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60년 출생]][[분류:1983년 데뷔]][[분류:1986년 사망]][[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자동차 사고로 죽은 인물]][[분류:병역특례자/야구]][[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