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원 삼성 블루윙즈/로스터/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주원의 역임 직책'''}}}}}} || || {{{#!folding ▼ [include(틀:전남 드래곤즈/역대 주장)]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수원 삼성 김주원.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194996 70%, #194996 80%, #FFFFFF 80%, #FFFFFF 90%, #E71A0F 90%, #E71A0F);font-size: 0.95em" '''{{{#ffffff 수원 삼성 블루윙즈 No. 66}}}'''}}} || ||<-2> '''{{{#074ca1 {{{+1 김주원}}}}}}''' [br] '''{{{#074ca1 {{{-2 金俊洙[* 개명 전 이름은 김준수.] | Kim Juwon}}}}}}''' || || '''출생''' ||[[1991년]] [[7월 29일]] ([age(1991-07-29)]세) [br] [[경상북도]] [[영주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85cm, 78kg || || '''포지션''' ||[[센터백]][* [[라이트백]]도 가능하다.] || || '''유소년''' ||풍기초 - [[포항제철중학교|포철중]]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포철공고]] - [[영남대학교|영남대]] || || '''소속팀''' ||'''[[포항 스틸러스]] (2013~2016)''' [br] [[전남 드래곤즈]] (2017~2020) [br]→ {{{-1 [[아산 무궁화]] (2018~2019 / ^^군 복무^^)}}}[br] [[제주 유나이티드 FC]] (2021~2023)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3~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축구선수]]로 포지션은 [[수비수(축구)|수비수]]. == 선수 경력 == === [[포항 스틸러스]] === 포항 스틸러스 유스인 포철중-포철공고 출신으로 포항 유스 출신이 늘 그렇듯이 (…) 우선지명을 받고 영남대로 진학, 3학년까지 재적하다가 2013년 포항에 입단했다. 센터백으로 입단했지만 그 자리에는 [[김광석(축구선수)|김광석]], [[김원일(축구선수)|김원일]], [[김형일(축구)|김형일]]등이 주전이었기 때문에 백업으로 시작했지만 좋은 체격과 괜찮은 센스로 점점 입지를 넓혀가고 있었다. 리그 7경기 1골을 기록했다. 비록 후보 선수이긴 했지만, 팀이 리그 & FA컵 더블을 달성하는데 기여했다. 비록 팀이 지는 것은 막지 못했지만 2014시즌 하반기에 포항이 3백으로 나올때마다 꼬박꼬박 나오면서 김광석의 유력한 후임으로 떠올랐다. 2014시즌 리그 10경기에 출전했다. 하지만 2015시즌 2라운드 울산과의 홈 경기에서 치명적인 실수를 거듭하면서 구멍으로 활약, 이후에도 정신을 못차리면서 다시 백업으로 밀려났다. 여기서 [[황선홍|황새]]의 신의 한수가 나오는데 6월부터 [[김준수]]를 아예 오른쪽 풀백으로 포지션 변경한 것. 안그래도 그 자리에서 뛰던 [[박선용]]이 제대로 활약하지 못해서 수비에 약점을 보이고 있었는데 [[김준수]]는 포지션 변경을 하자마자 그 틈을 노려 [[박선용]]을 밀어내버렸다. 그리고 이후 부동의 주전으로 떠올랐고 [[김준수]]의 포지션 변경은 2015시즌 포항의 최대 성과 중 하나로 기록됐다. 2015시즌 리그 18경기에 출전해 2골을 기록했다. 2016 시즌 감독이 [[최진철]]로 바뀌었지만, 그래도 리그 22경기에 출전하면서 꾸준히 기회를 받았다. 하지만, 팀 사정이 워낙 심각해 크게 빛을 보지 못했다. === [[전남 드래곤즈]] === [[파일:ㅈㄴㄱㅈㅇ.png|width=450]] 결국 시즌 종료 후인 12월 28일 [[전남 드래곤즈]]로 이적해 리그 13경기를 뛰었다. 2018년을 앞두고 [[아산 무궁화]]에 합격하면서 2년간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2018 시즌 팀이 K리그2 우승을 차지하는데 기여했다. 2019년 8월 3일 [[아산 무궁화]] 에서 전역하자마자 바로 첫경기 선발출장을 가졌다. 본인의 이름도 '''김준수'''에서 '''김주원'''으로 개명하였다. 후반기만 뛰었지만, 12경기를 뛰며 팀 수비의 핵심 자원으로 분류되었다. 2020시즌 시작 전 팀의 주장으로 선임됐다. K리그2 2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전에서 임창균의 프리킥을 헤딩골로 연결시키며 결승골을 기록했고, 2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이후 11라운드에서도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리그 26경기를 출전하며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계약만료로 풀려났다. [[중국 갑급 리그]]의 베이징 BSU 이적이 유력하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109/0004357776|#]] 2021년 3월 24일 베이징 BSU가 아닌 K리그1 승격팀 [[수원 FC]]로 이적한다는 단독보도가 나왔다. 그런데 이틀만인 3월 26일에는 수원 FC가 아닌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한다는 단독 보도가 나왔다. [[송주훈]]이 여름에 [[김천 상무]]에 지원할것을 대비해 대체 자원을 영입하려는듯 하다. === [[제주 유나이티드 FC]] === 2021시즌 겨울 이적시장 마감일을 하루 앞두고 K리그 데이터포탈에 제주 선수로 등록된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3월 31일 영입이 공식적으로 발표됐다. 이로써 [[K리그1]] 무대에 2017년 이후 4년 만에 복귀하게 됐다. 등번호 36번. 2021 [[하나은행]] FA컵 3라운드 [[김천 상무]]와의 경기에 풀타임으로 뛰며 제주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2021시즌 제주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도합 3경기 출전. 2022 시즌을 앞두고 등번호를 16번으로 바꿨다. 그러나 개막 전에 장기 부상을 당하며 시즌 내내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다가 리그 최종전 울산과의 원정 경기에 선발 출전해 전반 45분을 치르는 복귀전을 치르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2023 시즌을 앞두고 국가대표 출신 임채민이 합류했고, 송주훈의 전역 및 연제운 영입 등 험난한 주전 경쟁이 시작될 전망이다. 그러나 임채민이 2라운드 만에 부상으로 이탈했고, 정운도 4라운드 서울전에서 햄스트링으로 아웃된데 이어 후보 자원 중 김주원보다 우선 순위에 있는 송주훈, 연제운 등이 줄줄이 부상을 당했다. 게다가 김봉수는 미드필더로 잠시 올라가는 바람에 김주원은 기회를 받게 됐다. 4라운드 [[FC 서울]]와의 홈경기부터 기회를 받았고, 4월 중순 원정 3연전에서 전승을 거두는데 일조하는 등 제주가 4월에만 5승을 거두는데 기여했다. 10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 원정에서 21분에 코너킥 상황에서 이창민의 크로스를 머리로 받아 [[김오규]]에게 떨궈주며 선제골을 어시스트하며 제주에서 첫 공격 포인트를 기록했다. 6월 16일 영남대학교 시절 감독이자 [[김병수(축구인)|김병수]] 감독이 있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한다는 [[https://naver.me/xdkRU8iE|단독 보도]]가 나왔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23년 6월 23일 수원은 김주원 영입을 공식발표했다.[[http://www.bluewings.kr/news/883638|오피셜]] 이른바 병수볼의 1호 영입으로서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 김병수 감독과는 영남대 3학년이던 2012년 이후 약 11년 만에 한 팀에서 재회하게 됐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3년|2023 시즌]] ==== 제주에서 달았던 16번은 이종성이 쓰고 있기 때문에 전남 시절 달던 등번호 66번을 배정받았다. 이적 오피셜 다음 날 열린 [[슈퍼매치]]에서 곧바로 선발 출전하며 수원 데뷔전을 치렀다. 하지만, 전반 30초만에 백패스를 잘못 줘서 자책골을 넣을 뻔한 실수를 하고 후반전 [[박동진(축구선수)|박동진]]과의 경합으로 퇴장당할뻔 하는 등[* VAR판독 이후 옐로카드로 정정, 단 5회 누적으로 대구전에는 뛰지 못했다.]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다. 단 이는 박동진의 오버액션이 맞다고 당사자도 인정했지만, 반칙은 반칙. 다만, 경기 내내 공중볼에 머리부터 갖다대는 등 제공권 장악을 충실히 이행하고, 이 과정에서 출혈이 발생하여 붕대를 감고 뛰는 투혼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리고, 라인 컨트롤을 훌륭히 수행하며 [[박대원(축구선수)|박대원]], [[고명석]] 등 몸축구하는 센터백들을 깔끔히 잘 리드하는 리더십도 보여줬다. 팬들도 앞서 아쉬운 모습을 보이긴 했으나, 이 경기에서의 활약에 대체로 만족하는 분위기다. 23R [[울산 현대]]와의 홈경기에선 주장 완장을[* 이기제, 고승범이 체력 안배 차원에서 교체로 시작했다.] 차고 스리백의 가운데 센터백으로 출전하며 수비 라인을 조율했다. 이 날 김주원의 리딩하에 수비진은 울산의 파상 공세를 틀어막았고, 여러 차례 오프사이드를 유도했다. 김주원의 맹활약을 바탕으로 한 탄탄한 수비를 앞세운 수원은 선두 울산을 3:1로 잡아내며 작년 10월 16일 수원더비 이후 리그 기준 첫 홈 승리를 따냈다. 24R 강원 원정경기에서는 상대 공격을 아예 틀어막으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한호강과 계속 호흡이 안 맞는 모습을 보이는 점은 우려되는 상황. 김주원 영입 후 계속 한호강의 잔실수가 늘고 있으며, 울산 이규성의 중거리슛 또한 한호강의 턴오버에서 나온 것이다. 오히려 고명석과 더 맞아 보인다.[* 아무래도 본인이 발이 빠르지 않다 보니 비슷한 스타일과는 안 맞아 보이며 일단 박대원과는 계속 잘 맞는 모습인 것은 다행이다.] 슈퍼매치에서는 리커버리 9회로 상대 공격을 틀어막았으나 팀은 그대로 패했다. 이후로도 리그에서 매번 선발 엔트리에 이름을 올리며, 수원 센터백 중에서는 제일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9월 말 김병수 감독이 경질되고 부임한 [[염기훈]] 감독 대행 체제에선 출전하지 못하고 있다. 34R 친정팀 제주 원정경기에서는 교체 명단에서 시작했으나 전반 8분만에 [[데이브 뷜트하위스|불투이스]]가 햄스트링 부상으로 쓰러지면서 교체되어 출전하여 나쁘지 않은 활약을 펼쳤으나 팀은 전반에만 2골을 먹히면서 0:2로 패배하게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센터백 출신답게 풀백으로 포지션을 변경한 이후에도 수비력이 매우 안정적이며, 오버래핑도 나쁘지 않은 수준이다. 다만, 포항의 크로스 고자 전통(…)은 어디 안가는지 크로스 정확도에서 약점을 보인다. 그런데 그런 것 치고는 반대편으로 넘겨주는 롱 패스는 또 나쁘지 않다.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크로스 정확도가 나쁘다고 했지 롱 패스 정확도가 나쁘다고 한 적은 없다.]]~~[* 둘은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둘 다 좋은 선수도 있지만 크로스만 좋은 선수도 있다.] 전남으로 이적한 후에는 스리백 체제에서 중심으로 성장해 다시 센터백으로 뛰고 있다. == 여담 == * 군 복무 후 제주로 이적하기 전까지는, 프로 데뷔 후 소속된 팀이 전부 [[포스코]] 산하 팀이었다. * 원래 이름은 '''김준수'''였으나 이후 '''김주원'''으로 개명했는데, 개명 전의 이름은 [[김준수(JYJ)|유명 가수]]와 같고, 개명 후의 이름은 [[김주원(발레리나)|유명 발레리나]]와 같아서 이름만으로 검색했을 때는 원하는 검색 결과를 찾기 어려울 수 있다. * 경기에 출전할 때 왼손에는 손등과 손목 전체를 감싸는 붕대를 감고, 오른손에는 손목과 새끼손가락을 덮는 테이핑을 두른다. * [[영남대학교]] 재학시절 [[김병수(축구인)|김병수]] 감독의 제자였다. * 개인 SNS 계정은 없지만, 대신에 자신이 딸 사진을 올리는 계정이 있다. 그래서, 리그 베스트11에 선정되었을 때도 수원 구단은 이 계정을 태그한 바 있다. * 프로 무대에서 6이 들어간 등번호를 단 적이 많은데, 이는 별다른 의미는 없는 대신, 대학무대에서 6번을 배정받아 본인이 익숙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MBTI]]는 [[ISTJ]]다.[* 여담으로 동명이인 NC 다이노스 소속 야구선수 김주원의 유형도 ISTJ이다.] * 개신교 신자로 보인다.[[http://www.sports-g.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451|#]] == 둘러보기 == [include(틀:수원 삼성 블루윙즈/로스터)] [각주] [[분류:1991년 출생]][[분류:영주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포항 스틸러스/은퇴, 이적]][[분류:전남 드래곤즈/은퇴, 이적]][[분류:경찰 축구단/전역]][[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현역]][[분류:개명한 인물]][[분류:수비수]][[분류: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영남대학교 출신]][[분류:전남 드래곤즈/역대 주장]][[분류:센터백]][[분류:라이트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