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주원(2002)/선수 경력)] [목차] == 개요 == [[김주원(2002)|김주원]]의 국가대표 활약상을 서술하는 문서. == 연도별 대회 == ===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주원231007AG결승선취희생타.jpg|width=100%]]}}} || ||<-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 5%, #1E2776 10%, #A01E20 25%, #00022e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 2.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22e 75%, #A01E20 75%, #1E2776 90%, #FFF 95%)" }}} || || '''경기''' || '''타석'''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 6 || 16 || 14 || 4 || 1 || 0 || 2 || 4 || 4 || || '''사사구''' || '''삼진''' || '''도루''' || '''희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 || 5 || 0 || 1 || 0 || .286 || .313 || .786 || 1.099 || ---- [[김형준(1999)|김형준]], [[김영규(야구선수)|김영규]]와 함께 [[류중일호/2023년|아시안 게임 대표팀]]에 합류하게 되었다. 등번호는 NC에서 쓰고 있는 7번을 그대로 사용한다. 10월 1일 본선 1차전 홍콩전에서는 8회말 [[노시환]]의 대주자로 투입되어 1득점을 기록하였다. 10월 2일 본선 2차전 대만전에서는 9회초 김형준의 타석에서 대타로 투입되어 8구까지 가는 승부를 펼쳤으나 삼진 아웃을 당하면서 한국의 마지막 타자가 되었다. 팀도 0:4로 패배하였다. 10월 3일 본선 3차전 태국전에서는 7번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전하여 대회 첫 안타를 솔로 홈런으로 장식, 3타수 1안타 1타점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10월 5일 슈퍼라운드 1경기 일본전에서 7번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전하여 7회 큼지막한 2루타 등 3타수 1안타의 성적을 기록했다. 10월 6일 슈퍼라운드 3경기 중국전에서 7번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전하여 첫 타석에 선제 투런 홈런을 기록했다. 두 번째 타석에서는 좌전 안타, 세 번째 타석에서 볼넷을 얻어 내며 3출루 경기를 완성했다. 경기 성적은 4타수 2안타(1홈런) 1볼넷 2타점. 홈런직후 2회말에는 호수비도 선보였으며 9회말 [[박성한]]과 교체 아웃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neClWUGqX0, height=281, start=30)]}}} || || 2023년 10월 6일 슈퍼라운드 중국전 김주원 선제 투런홈런 || 10월 7일 결승전 대만전에서 7번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전하여 2회 1사 3루 상황에서 좌익수 희생플라이로 결승 타점을 올리면서 금메달을 본인 손으로 가져왔다. 대회 최종 성적은 14타수 4안타 1사사구 4타점 4득점. 국가대표에 발탁될 때만 하더라도 주전 유격수 [[박성한]]의 백업으로 여겨졌으나 대회 컨디션이 좋다고 판단한 [[류중일]] 감독의 과감한 주전 기용으로 기회를 받았고 일발장타력과 안정적인 수비로 이 기회를 놓치지 않으면서 큰 경기에 강한 타자이자 야수임을 스스로 증명해냈다. 2홈런을 쏘아올리며 대회 '''홈런왕'''을 차지했으며 슈퍼라운드 중국전과 결승전에서 연속으로 결승타를 기록하면서 국가대표팀의 아시안게임 4연패에 혁혁한 기여를 했다. 금메달 획득으로 팀 동기들 중 가장 먼저 [[예술체육요원|병역]]도 해결하여 커리어에 탄탄대로가 열리게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1009꽃다발전달식 (1).jpg|width=4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1009꽃다발전달식 (2).jpg|width=4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1009꽃다발전달식 (3).jpg|width=4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1009꽃다발전달식 (4).jpg|width=400]]}}} || 귀국 후 홈 관중 앞에서 꽃다발 전달식을 가지며 수상을 축하했다. ===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APBC 프로필_김주원.jpg|width=100%]]}}} || ||<-1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 5%, #1E2776 10%, #A01E20 25%, #00022e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 2.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22e 75%, #A01E20 75%, #1E2776 90%, #FFF 95%)" }}} || || '''경기''' || '''타석'''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 4 || 16 || 14 || 6 || 1 || 1 || 0 || 2 || 0 || || '''사사구''' || '''삼진''' || '''도루''' || '''희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 || 2 || 0 || 0 || 0 || .429 || .500 || .643 || 1.143 || ----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이어서 연속으로 국가대표팀에 소집이 되었다. 첫 경기인 호주전에 9번 유격수로 선발 출전하였다. 8회 동점을 만드는 행운의 동점 적시타를 비롯하여 3타수 2안타 1볼넷 1타점의 좋은 모습을 선보였다. 2경기 일본전에는 7번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장하였다. 3회와 7회에는 잘 맞은 타구를 만들었으나 상대 야수 정면에 그쳐 모두 직선타로 물러났다. 5회에는 사구로 출루하였고,[* 김주원을 맞춘 투수는 선발로 등판했던 [[스미다 치히로]]인데, 맞춘 직후에 곧바로 사과 의사를 표했고 결승전 훈련 시간에 김주원을 다시 만나서 재차 사과 의사를 전달했다.] 9회 타석에서는 삼진을 당하며 한국 대표팀의 마지막 타자가 되었다. 3경기 대만전에 7번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장, 타석에서 단타, 2루타, 3루타를 차례대로 기록하였다. 최종 성적은 4타수 3안타 1타점. 결승전 일본전에는 6번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장하여 4타수 1안타 1삼진을 기록하였다. 대회 최종성적은 14타수 6안타 OPS 1.143으로 대표팀 내 최고 성적을 기록하였다. 이후 대회 베스트 나인 유격수 부문에 선정되었으며, 한국 선수로서는 1루수 부문에 랭크된 [[노시환]]과 함께 유이하다. [[분류:김주원(2002)]][[분류:야구선수/커리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주원(2002)/선수 경력, version=66, paragraph=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