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SK 나이츠/선수단)] ||
'''{{{#ffffff 김준성의 수상 및 영예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 || '''[[2017-18 KBL 챔피언결정전|{{{#ffffff 2018 }}}]]''' || || || || '''{{{#ffffff '''2020 3대3 농구대잔치 MVP''' }}}''' || || || || '''{{{#ffffff '''2020-21 D리그 챔피언결정전 MVP''' }}}''' || }}} || ||<-3>
{{{+1 [[서울 SK 나이츠|{{{#ffffff '''서울 SK 나이츠 No.71'''}}}]]}}} || ||<-3> {{{#ffffff '''SEOUL SK KNIGHT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준성2020-21.png|width=80%]]}}} || ||<-3> '''{{{+2 {{{#white 김준성}}}}}} [br] {{{#white Joon-Sung Kim}}}''' || ||<-2> {{{#ffffff ''' 출생 ''' }}} ||[[1992년]] [[10월 22일]] ([age(1992-10-22)]세) || ||<-2> {{{#ffffff ''' 국적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2> {{{#ffffff ''' 신체 ''' }}} ||[[키(신체)|키]] 177cm|[[체중]] 74kg || ||<-2> {{{#ffffff ''' 포지션 ''' }}} ||[[포인트 가드]] || ||<-2> {{{#ffffff ''' 학력 ''' }}} ||[[배재고등학교]] {{{-2 (졸업)}}}[br][[명지대학교]] {{{-2 (졸업)}}} || ||<-2> {{{#ffffff ''' 종교 ''' }}} ||[[개신교]][* [[http://www.fgnews.co.kr/html/2016/1113/16111310194919120000.htm|#]]] || ||<-2> {{{#ffffff ''' 프로입단 ''' }}} ||[[2016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16년 드래프트]] {{{-2 (2라운드 9순위, [[서울 SK 나이츠|서울 SK]])}}} || ||<-2> {{{#ffffff ''' 병역 ''' }}} ||[[파일:대한민국 육군기.png|width=30]] [[대한민국 육군|육군]] 병장 만기전역 || ||<-2> {{{#ffffff ''' 소속 ''' }}} ||[[파일:HmCBS7P.png|width=30]] [[서울 SK 나이츠]] (2016~)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SK 나이츠]]의 포인트 가드. 2016년 신인 드래프트 2라운드 9순위로 SK 나이츠에 지명됐다. [[가드(농구)|가드]]에서 [[센터(농구)|센터]]로 전향하는지 웨이트만 해서 몸이 완전체로 진화 완료했다. == 고교, 대학 선수 시절 == '''[[배재고등학교|배재고]]''' 시절 [[김만종]]과 함께 제 5회 고대총장배 3위, 제 47회 전국춘계남녀중고농구연맹전에서 팀을 3위에 올려놓고 수비상을 수상했다. 뛰어난 패싱 센스와 스피드를 바탕으로 잠시 제 2의 [[김승현(농구)|김승현]]이라는 호평도 받았다. 그 후 [[명지대학교|명지대]]에 진학했다. '''[[명지대학교|명지대]]''' 저학년 때는 잔부상과 선배 [[김시래]], 동기 김수찬을 향한 시선에 가려져 주목도가 떨어졌다. 포인트가드로서 센스와 스피드, 돌파, 패스 타이밍, 속공 전개 등 리딩 자체는 좋았지만 작은 신장으로 인한 수비문제와 슈팅력이 가장 큰 단점이었다. 김시래 리딩, 김수찬 마무리로 굳어진 명지대의 공격 옵션 자체도 김준성에게는 출전시간이 적을 수 밖에 없었던 요인. 김시래가 프로에 진출한 후 자리를 이어받아 주전가드 역할을 맡았으며, 졸업반 때는 주장을 맡기도 했다. 트렌지션에 능수능란하며 속공 마스터 김수찬과의 시너지는 명지대의 제1공격 옵션이었다. 덕분에 졸업반 때 [[대학농구리그]] 올스타에도 선정됐다. 그러나 현실은 냉정했다. 2014년 드래프트에서 김준성의 이름은 불리지 않았다. 높이와 압박이 강한 팀과 대결에서 고전하는 적이 많았고, 배강률(195cm) - [[주긴완]]​(192m) 센터진의 제공권 한계는 김준성의 장점을 살리기 역부족이었다. 고교시절 [[김만종]]이라는 정상급 센터와 뛰어난 플레이를 보여줬지만 대학시절에는 인사이드진이 워낙 약세라 빅맨을 살리는 플레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제일 큰 요인은 확실한 공격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졸업반 때 성적은 4.3득점(3점슛 23.1%). 같은 해 드래프트에서 선발된 [[김기윤]], [[최원혁]] 등과 비교했을 때 공격에서 확실한 경쟁력이 없었다. 대학 저학년 때 까지는 김시래에 밀려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했던 부분도 이유가 됐다. 이런저런 시선에도 불구하고 프로에 와서 조련 여부에 따라 발전성이 큰 선수라 평가받았지만 강점에 비해 약점이 너무나도 컸다. == 실업 선수 시절 == 드래프트에 낙방한 김준성은 2년간 다른 일을 하며 생계를 이어왔고 지난해에는 [[명지대학교|명지대]]에서 7개월간 코치 생활을 했다. 하지만 다시 프로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 동호회 농구팀을 전전하던 끝에 2016년 5월 신생 실업팀 '''놀레벤트 이글스'''[* 이 팀의 감독은 폭력 농구로 악명이 높은 박성근 전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 감독이다.]의 선수 트라이아웃에 참가해 다시 유니폼을 입었다. 그 후 [[몽골]]에서 열린 국제대회(제2회 칭기즈칸 컵 2016 국제농구대회)에 참가했고, [[2016년 충청남도 전국체육대회|제 97회 전국체전]]에서 놀레벤트는 1회전 [[조선대학교|조선대]]를 29점 차로 격파, 8강전에서는 2016 [[대학농구리그]] 우승팀이자 현직 국가대표 [[허훈]], [[최준용(농구선수)|최준용]] 등이 포함된 [[연세대학교|연세대]]에 승리하는 파란을 일으키면서 3위를 기록했다. [[연세대학교|연세대]]와의 경기에서 김준성은 20득점 4리바운드 4어시스트 5스틸로 맹활약했다. 가장 고질적인 문제였던 3점슛이 상당히 좋아졌고, 허훈, [[천기범]]이라는 대학농구 최고의 가드들에게 펼친 활약에 대해서 여러 언론이 주목했다. 애초 절대 안 될 것이라고 하던 평가가 반신반의하기 시작했고, 농구계 관련 기자, 스카우트들은 "잘하면 3라운드에서 뽑힐 수도 있지만 쉽지 않을 것이다"라는 평가를 내렸다. 하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드래프트 당일 [[서울 SK 나이츠|서울 SK]] [[문경은]] 감독은 김준성을 2라운드 9순위로 지명했다. 문경은 감독은 "우리 팀에 [[김선형]]의 뒤를 받쳐줄 백업 가드가 필요했다"면서 "예전 드래프트에 나왔을 때 슈팅이 약점이란 지적이 있었다. 이번에 실업팀에서 기록을 보니 매 경기 20점 이상 득점을 했더라, ~~나도 슛을 좀 쏴본 사람인데~~ 슛 실력이 연습한다고 해서 쉽게 늘 수 있는 게 아닌데 노력을 많이 한 것 같고, 하프라인을 넘어올 때 안정성도 보였다. 노력과 열정, 절실함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짐작케 한다. 그 점을 높이 샀다”며 “우리 팀은 서울팀에 화려한 농구를 하는 팀으로 알려져 있는데 김준성 같은 선수가 들어와 그런 절실함과 열정이 더해진다면 팀 분위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현장에서 가장 큰 환호성이 나온 지명이었고 뽑힌 직후 한동안 목이 메인 듯 말을 잇지 못하며 결국 눈물을 흘렸다.--박성근의 손아귀에서 드디어 벗어나게 됐으니-- == 프로 선수 == SK 나이츠 입단 후 한동안 D리그에서 뛰었다. 같은 해 동기 [[최준용(농구선수)|최준용]]이 부상을 입고 이탈한 뒤 팀이 무너져내리고 있는 상황임에도 아직은 기회를 받지 못하고 있다. 1월 10일 삼성전 이후로 꾸준히 엔트리에 이름은 올리고있으나 출전은 하지 못했다. 가비지 타임 때 출전시키려고 했지만 하필 팀이 매 경기마다 적은 점수차이로 이기거나 지는 등 개싸움을 하고 있는 탓에... 결국 3월 19일 팀이 봄농구 탈락을 한 경기까지 한 번도 1군 무대를 못 밟았다가 이미 순위가 결정된 KGC를 상대로 3월 24일 드디어 4쿼터 1분 남기고 1군 무대에 데뷔했다.(1분 4초 출전 1리바운드) 그러나 이 짧은 시간 동안 턴오버 2개가 나왔다. 좋은 데뷔전은 아니었다. 17-18시즌은 한 경기도 나오지 못했지만 D리그에서 원주 DB를 꺾고 우승을 했다. 소속팀도 챔피언결정전에서 이겼다. 17-18시즌 종료 이후 육군으로 현역 입대했다. SK와의 계약기간이 3시즌이라 군 제대 이후에 복귀한다. ||
'''2020 3대3 농구대잔치 MVP''' || || '''SK 나이츠 김준성''' || 군에서 제대한 이후 2020년 비시즌 동안 까스활명수 3대3 농구대잔치에 참가하여 SK 소속으로 참가하여 우승, MVP를 수상했다. 군대 공백기가 있었다고는해도 몸상태와 움직임이 나쁘지 않아 이번 시즌 기대해볼만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후 2020-21 시즌에도 D리그에서 뛰었으나 1월 4일에 열린 D리그 1차 결승전에서 [[상무 농구단|상무]]를 꺾으며(!)[* 상무는 D리그 179연승이 끊기게 되었다.] 우승을 차지하고 mvp에 선정되며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었다. ||
'''2020-21 D리그 챔피언결정전 MVP''' || || '''SK 나이츠 김준성''' ||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서울 SK 나이츠/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1992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포인트 가드]][[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서울 SK 나이츠/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