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1919 김지홍의 수상 내역 및 감독 경력}}}''' || ---- ||<-3>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 || '''[[1997-98 KBL 챔피언결정전|{{{#fed300 1998[br](선수)}}}]]''' || '''[[1998-99 KBL 챔피언결정전|{{{#fed300 1999[br](선수)}}}]]''' || '''[[2001-02 KBL 챔피언결정전|{{{#ffff00 2002[br](코치)}}}]]''' || ---- [include(틀:서울 SK 나이츠 역대 감독)]|| ||<-2>
[[파일:SK 김지홍 코치.jpg|width=450]] || || '''이름''' || 김지홍(金智洪) || || '''생년월일''' || [[1969년]] [[4월 13일]] ([age(1969-04-13)]세)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출신학교''' || 신광초등학교 - [[송도중학교(인천)|송도중학교]] - [[송도고등학교]] - [[고려대학교]] || || '''포지션''' || [[가드(농구)|가드]], [[포워드(농구)|포워드]] || || '''신체사이즈''' || 187cm, 87kg || || '''실업입단''' || 1991년 [[전주 KCC 이지스|현대전자]] 농구단 입단 || || '''소속팀''' || [[전주 KCC 이지스|현대전자/대전 현대 다이넷]] (1991~1999) || || '''지도자'''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대구 동양 오리온스/오리온스]] 수석코치 (2001~2007)''' [br] [[서울 SK 나이츠]] 코치 (2007~2009) [br] [[서울 SK 나이츠]] 감독대행 (2009) [br] [[수원대학교]] 감독 (2013~2015) || || '''수상경력''' || [[농구대잔치]] 신인왕 (1992) || || '''국가대표''' || U18아시아농구선수권대회 (1986) [br] 유니버시아드대회 (1991) [br] 동아시아경기대회 (1993) [br] FIBA 아시아선수권대회 17회 (1993)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농구인. 현역 시절 송도고-고려대 출신의 가드,포워드로 수비전문 선수였다. 고려대와 실업 현대전자를 거쳐 프로농구 대전 현대(현 전주 KCC)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현역 시절 국가대표를 지냈다.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대구 동양 오리온스]]의 수석코치와 [[서울 SK 나이츠]]의 코치와 감독대행을 역임했다. == 선수시절 == === 고교-대학 시절 === 1987년 고려대 경영학과 재학 당시 농구부 멤버로 수비 전문 선수였다. 스토퍼로 보면 이해하기 쉽다. === 실업-프로 시절 === 현대전자에 입단한 이후 프로에서도 현대 다이넷에서 활약을 했으며 주로 [[조성원]]과 [[추승균]]의 뒤를 받쳤던 식스맨이었다. 이 시절에는 선배 [[유도훈]]과 후배 [[이상민(농구)|이상민]]이 있었고, 대학 후배인 [[이지승]]과도 포지션 경쟁을 하기도 했다. 전성 시절 뚝심이 좋아 황소 로 불리면서 특히 수비에 일가견을 지녀 고려대 시절 이후 늘 상대팀 골게터를 전담 수비해왔다 180 후반이 빅맨을 보던 90년대 초반에 단연 돋보였던 장신 가드로, 대학시절부터 전천후 수비수로 유명했고 실업 현대전자 시절에는 전담수비수 역할은 물론 때에 따라 [[정경호(농구)|정경호]]의 파트너로 나서 4번 수비까지 커버할 정도였다. 현대전자 입단 초반의 맹활약을 바탕으로 1991-92 농구대잔치에서 신인상을 받았고, 1992-93 농구대잔치에서는 [[이충희]]의 은퇴 공백을 커버하며 득점에도 가세, 이 활약을 토대로 1993 자카르타 ABC 대표팀에 선발되기도 했다. ||
[[파일:체력 빠른 발 두뇌 세박자 김지홍.jpg |width=600]]|| 94년 훈련 중 오른쪽 무릎과 발목에 잇달아 부상을 입고 중환자실에 입원, 4시간에 걸쳐 38바늘을 꿰매는 대수술을 받았다. 무리하면 선수 생명이 끝장날지도 모른다는 의사의 소견에 따라 팀에선 몸조리나 잘 시키다가 내년 봄에 명예 은퇴 시킬 예정이었다. 하지만 감독 몰래 매일 4시간의 재활훈련을 강행하면서 몸만들기에 성공, 팀에 합류해 까다로운 상대와의 경기 땐 전문 수비수로 나섰다 97-98, 98-99 시즌 이-조-추 트리오에 조니 맥도웰까지 합류하며 막강해진 대전 현대의 일원으로서 팀의 2년 연속 우승을 함께했다 == 지도자 경력 == 1998-99 시즌 우승을 끝으로 은퇴, 이후 [[김진(농구인)|김진]] 감독의 부름을 받고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대구 동양 오리온스/대구 오리온스]] 수석코치로 합류하면서 2001-2002 KBL 통합우승을 선수-코치로 모두 우승을 했으며, 김진 감독과 함께 물러난 2006-2007시즌까지 6년 연속 팀을 플레이오프에 진출시켰다. 김진 감독과 오리온스를 떠나 [[서울 SK 나이츠]]로 이적했을 때 [[강양택]] 수석코치와 함께 자신은 뒤에서 코치를 맡았으나, 2009-2010 시즌 성적부진과 함께 [[김진(농구인)|김진]] 감독이 자진사퇴를 하면서 [[강양택]] 수석코치도 함께 사퇴했는데 김진 감독과 강양택 수석코치의 요청으로 3경기를 감독대행으로 지휘했지만 자진사퇴를 하게 되았다. 후임으로 현대 다이넷 시절 스승이었던 [[신선우]] 감독이 맡게 되었고 경쟁을 했던 후배인 [[이지승]] 코치도 함께 합류했다. KBL 지도자를 떠난 이후 [[수원대학교]] 여자부 감독을 맡기도 했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부산 KCC 이지스/선수단]] * [[1991-92 농구대잔치]]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1969년 출생]][[분류:1991년 데뷔]][[분류:1999년 은퇴]][[분류:슈팅 가드]][[분류:스몰 포워드]][[분류:전주 KCC 이지스/은퇴, 이적]][[분류:송도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