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진혁(동명이인))] [include(틀:대구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진혁 관련 틀'''}}}}}} || || {{{#!folding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진혁의 역임 직책'''}}}}}} || || {{{#!folding ▼ ---- [include(틀:대구 FC/역대 주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진혁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5>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가로형).svg|height=40]]]] [[파일:EA Sports K League POTM.png|height=40]][br]{{{#fff '''2019 이달의 선수상 수상자''' }}} || || '''3월'''[br][[세징야]][br]([[대구 FC]]) || {{{+1 →}}} || {{{#000000,#e5e5e5 '''4월'''[br]'''김진혁'''[br]([[대구 FC]])}}} || {{{+1 →}}} || '''5월'''[br][[김신욱]][br]([[전북 현대 모터스]])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_김진혁_프로필.png|width=100%]]}}} || ||<-3> '''{{{#051d39,#ffffff 대구 FC No. 7}}}''' || ||<-3> '''{{{#ffffff {{{+1 김진혁}}}}}}''' [br] '''{{{#ffffff {{{-2 金鎭爀 | Kim Jin-Hyuk}}}}}}''' || ||<-2><|2> '''출생''' ||[[1993년]] [[6월 3일]] ([age(1993-06-03)]세) || ||[[경기도]] [[구리시]]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신체''' ||187cm, 71kg || ||<-2> '''포지션''' ||[[센터백]], [[스트라이커(축구)|스트라이커]] || || '''소속''' || '''선수''' ||'''[[대구 FC]] (2015~ )''' [br] {{{-1 →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2016 / ^^임대^^)}}} [br] {{{-1 → [[상주 상무 FC]] (2019~2020 / ^^군 복무^^)}}} || ||<-2> '''국가대표''' ||3경기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 2014~2015)^^ || ||<-2> '''응원가''' ||[[Sheena Easton]] - Modern Girl [[https://www.instagram.com/p/Cyzs3QoSO1I/|#]] || ||<-2> '''링크''' ||[[https://instagram.com/kimj1nhyuk?utm_source=ig_profile_share&igshid=vdl6m4xhc53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3> {{{#08162e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 || '''학력''' ||[[과천문원중학교]] {{{-2 (2006~2008)}}} [br] [[과천고등학교]] {{{-2 (2009~2011)}}} [br] [[숭실대학교]] {{{-2 (2012~2014)}}} || || '''종교''' ||[[개신교]][* 인스타그램에서 언급하였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센터백]]과 [[스트라이커]]를 모두 자유자재로 소화가 가능한 멀티 플레이어다. 현재 [[대구 FC]] 소속이다. == 클럽 경력 == === 프로 데뷔 전 === 초등학교 3학년에 구리 주니어 FC 축구교실 1기 출신으로 축구인생을 출발하게 된다. 하지만 구리 주니어에는 선수반이 없었기에 과천으로 가서 본격적으로 축구를 시작하게 된다. 초등학교 6학년 때 공격수로 축구를 시작하였고, 과천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숭실대학교]]에 진학하였다. 대학교 2학년 때 [[http://www.daegufc.co.kr/board_story_clubnews01/view.php?tn=board_story_clubnews01&list_count_s=6&G_state=Y&pm=4.2.1&part_part_s=&subject_s=&content_s=Y&name_s=&writedate_s=&search_word_s=%EA%B9%80%EC%A7%84%ED%98%81&sid=2630&gid=&cpage=7&spage=1|오른쪽 발가락 피로 골절]]에 시달렸다. 당시 슬럼프로 인해 힘들었으나 가족들의 헌신으로 마음을 잘 추스릴 수 있었다고 한다. 2013 카페베네 U리그 대학 선수권 챔피언십 16강전에서 결승골을 넣으며 권역 라이벌 [[건국대학교]]를 꺾고 8강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http://kusf_sport.blog.me/110187567714|제 50회 전국 춘계 대학축구연맹전 결승전에 출전]]했고, 감투상을 수상했다. 팀은 안타깝게 고려대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 시기 추계 대학연맹전, 춘계 대학연맹전, U리그 권역 준우승의 주역으로 맹활약했다. === [[대구 FC]] === ==== [[대구 FC/2015년|2015 시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김진혁/김진혁.jpg|width=100%]]}}}|| 대학을 중퇴하고 신인 자유 계약으로 입단했다. 2월 13일 리투아니아 클럽 잘기리스 빌니우스와의 연습 경기에 공격수로 선발 출전했다. 시차 적응이 완전히 되지 않은 상태였지만 활발한 움직임으로 기회 창출을 해내는 모습을 보였다. 6월 3일 [[고양 Hi FC]]와의 [[K리그 챌린지]] 13라운드 홈 경기에 교체 출전하며 K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팀은 1:2로 패배했다. 8월 16일 [[고양 Hi FC]]와의 27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투톱으로 선발 데뷔전을 치렀다. 전반 10분 중거리 슛을 시도하고, 후반 10분에는 터닝슛을 시도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으로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울산 현대미포조선]] (임대) ==== 2016년 1월 19일, [[울산 현대미포조선]]으로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411107&memberNo=4810892&vType=VERTICAL|임대]]되었다. 3월 26일 [[경주 한수원]]과의 [[내셔널 리그]] 2라운드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603280100237960016663&servicedate=20160327|경기에 선발 출장]]했다. 후반 8분 [[한건용]]에게 패스를 찔러 주며 1도움을 기록,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4월 2일 [[대전 코레일]]과의 3라운드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604040100019040001196&servicedate=20160403|경기에서 후반 6분 선제골을 기록]]했다. 팀은 2:2로 비겼고, 이 골은 김진혁의 처음이자 마지막 내셔널 리그 골이었다. 2016 시즌 최종 기록은 21경기 1골 2도움.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의 마지막을 함께 한 선수로 남게 되었다. ==== [[대구 FC/2017년|2017 시즌]] ==== 2017 시즌을 앞두고 대구로 복귀했다. 3월 19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전에서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 [[손현준]] 감독은 [[K리그 클래식]]을 대비해 [[http://v.sports.media.daum.net/v/20170420054954028|팔색조 스쿼드]]를 준비 중이다. 팀의 얇은 스쿼드를 대비해서 선수들과의 소통을 통해 여러 포지션을 땜빵하는 준비를 한 것인데, 대표적인 예로 김진혁이 꼽혔다. 움직임이 좋고, 활동량이 많아서 파이팅이 넘치는 모습이 수비수에 어울린다는 평. [[http://www.daegufc.co.kr/board_story_clubnews01/view.php?tn=board_story_clubnews01&list_count_s=6&G_state=Y&pm=4.2.1&part_part_s=&subject_s=&content_s=Y&name_s=&writedate_s=&search_word_s=%EA%B9%80%EC%A7%84%ED%98%81&sid=2967&gid=&cpage=3&spage=1|#]] 7월 1일 [[강원 FC]]전에서 '''[[http://m.sports.naver.com/video.nhn?id=322839&type=GAMEID|엄청난 초장거리 슛]]'''으로 프로 데뷔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팀은 1:2로 패배했다. 7월에만 무려 3골을 기록하는 미친 활약으로 공격수 출신임을 입증하고 있다. ==== [[대구 FC/2018년|2018 시즌]] ==== 전반기에는 주전이었지만 후반기에는 거의 출전하지 못하고 있다. 10월 28일 [[인천 유나이티드]]전에서 [[세징야]], [[에드가 실바|에드가]]의 공백으로 인해 [[스트라이커]]로 선발 출전했다. 팀은 1-0 승리. ==== [[대구 FC/2019년|2019 시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0.김진혁.jpg|width=100%]]}}}|| 안드레 감독의 지시에 따라 백업 공격수로 시즌을 준비하였다. 수비 자원은 충분하지만 [[에드가 실바|에드가]]의 백업이 마땅히 없었기 때문. 부상당한 에드가를 대신해 3라운드 [[울산 현대]]전에 선발 출전하였으나, 별다른 활약을 보여 주지 못하고 62분 교체 아웃되었다. 5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전에 선발 출전했고, 2골 1도움을 기록해 팀의 3:0 대승에 크게 일조하며 에드가의 부재를 잊게 했다.[* 특히 전반전 막판 [[황순민]]의 패스를 받은 후 [[부노자]]를 등지고 절묘하게 뽑아 낸 [[바이시클 킥]] 원더골이 일품이었다.] 이 활약으로 5라운드 베스트 11, MVP에 선정되었다. 6라운드 [[성남 FC]]전에서도 선발 출전해 후반 70분경 세징야가 띄운 공을 백헤딩으로 연결하며 동점골을 기록했다. 팀은 이 골로 승점 1점을 가져올 수 있었다. [[상주 상무]]의 추가 모집에 지원, 4월 12일 최종 합격하면서 후반기부터는 상무 소속으로 뛰게 되었다. [[http://www.sangmu.mil.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70797&siteId=sangmu&menuUIType=sub&dum=dum&boardId=O_45058&page=1&command=view&boardSeq=O_215056|#]] 8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 경기에 선발 출전했다. [[김대원]]의 크로스가 수비 머리 맞고 떨어진 것을 침착하게 슛으로 연결하며 전반 11분 만에 골을 넣었다. 마지막까지 대구에게 한 골을 선물하며 홈 팬들과 멋지게 작별을 고했다.[* 경기 종료 후 김진혁이 동료들과 함께 팬들에게 인사를 하러 나오자 팬들은 [[이등병의 편지]]를 떼창했다.] 이 경기 이후로는 [[상주 상무]] 소속으로 뛴다. '''4월 이달의 선수상(POTM)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 국적 선수로는 첫 수상이다. [[세징야]]에 이어 2연속으로 대구 선수가 선정되었다.] ||<-5>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가로형).svg|height=40]]]] [[파일:EA Sports K League POTM.png|height=40]][br]{{{#fff '''2019 이달의 선수상 수상자''' }}} || || '''3월'''[br][[세징야]][br]([[대구 FC]]) || {{{+1 →}}} || {{{#000000,#e5e5e5 '''4월'''[br]'''김진혁'''[br]([[대구 FC]])}}} || {{{+1 →}}} || '''5월'''[br][[김신욱]][br]([[전북 현대 모터스]]) || ==== [[상주 상무]] (군 복무) ==== ===== 2019 시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5176552_2404057916325296_8185347315507134464_n.jpg|width=100%]]}}}|| 7월 2일 [[창원시청 축구단]]과의 FA컵 8강전에서 [[센터백]]으로 출전하며 상주 데뷔전을 치렀고, 일주일 후 20라운드 [[강원 FC]]전에서도 센터백으로 출전하며 상주에서의 리그 첫 출전을 기록했다. 선임들이 대거 전역한 29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전부터 주전 센터백으로 뛰고 있다. 32라운드 [[FC 서울]]전에서 전반전에는 센터백, 후반전에는 공격수로 뛰었다. FA컵 4강 2차전 [[대전 코레일]]전에서 후반전 추가 시간 1분 극장 동점골을 넣었으나 팀은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탈락하고 말았다. 33라운드 [[강원 FC]]전에서도 경기 종료 직전 극장골을 넣으며 상주를 파이널 A로 이끌게 될 수 있었으나 같은 시각 [[동해안 더비]]에서 포항이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파이널 A에는 진출하지 못하였다. ===== 2020 시즌 ===== 7라운드 [[FC 서울]]전에서 [[강상우]]의 코너킥을 헤딩으로 찍어 누르며 선제골을 기록했다. 이 골이 결승골이 되어 팀은 1:0으로 승리했다. ==== [[대구 FC/2021년|2021 시즌]] ==== 2020년 11월 22일부로 군복무를 마치고 대구로 복귀하였다. 상무에서의 복무가 끝나고 무려 7팀으로부터 큰 오퍼를 받았으나, 팀동료 [[황순민]]과 [[박병현(1993)|박병현]]의 설득에 이를 고사하고 대구 잔류를 결정했다. '''등번호 7번과 주장'''을 모두 맡게 됐다. [[K리그1]] 1라운드 [[수원 FC]]와의 홈경기에서 후반 31분 동점골을 기록하였다. 2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원정경기에서 전반 15분 헤딩 동점골을 기록하였다. 3라운드 [[광주 FC]]와의 홈경기에선 전반 22분에 윤보상이 막아낸 세컨볼을 침착하게 집어넣어 선제골을 기록하며 3경기 연속골을 기록했다.[* 처음엔 오프사이드 판정이 내려졌다가 이내 골로 정정되었다.] 그동안 손가락 부상으로 치료를 받다가 10라운드 [[FC 서울]]과의 원정경기에서 공격수로 복귀하였다. 그리고 후반 28분 [[양한빈]]이 막아낸 세컨볼을 쏜살같이 달려와 [[에드가 실바|에드가]]에게 넘겨 첫 도움을 기록했다. 14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선발출장하여 전반 9분 [[세징야]]의 프리킥 세트피스 찬스에서 [[정태욱]]의 헤딩을 받아 선제헤딩골을 만들어냈다. 이 골 덕분에 팀은 3 : 0 승리 및 구단 창단 최초로 리그 5연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16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원정경기에서 선발출장하여 전반 7분 황순민의 크로스를 뒤에서 달려들며 이마로 찍어내려 선제 헤딩골을 만들어냈다. 팀은 2대1로 승리하였고, 6연승을 기록함으로서 구단 창단 연승 기록을 이어나갔다. 19라운드 [[강원 FC]]와의 홈경기에서 오랜만에 수비수로 선발되어 나왔지만 전반 20분만에 [[오후성]]이 빠지고 [[김우석(축구선수)|김우석]]이 투입되어 다시 공격수로 돌아갔다. 이후 공격수로 강원의 수비에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고, 후반 72분에는 [[세르지우 히카르두 두스산투스 주니오르|세르지뉴]]의 코너킥을 세트피스로 [[홍정운]]이 추가골을 넣게 되었는데 [[VAR(축구)|VAR]] 판독결과 득점 직전 김진혁이 홍정운에게 공을 패스하는 과정에서 강원의 [[이범수(축구선수)|이범수]] 골키퍼를 방해했다는 판단이 내려져 득점이 취소되는 헤프닝이 있었다. 팀과 함께 2년 만에 [[AFC 챔피언스 리그]]에 복귀했다. 조별리그 1차전 [[가와사키 프론탈레]] 전 최전방 공격수로 선발 출전했지만, [[김우석(축구선수)|김우석]]이 부상으로 전반 45분만 뛰고 아웃되었다. 결국 후반 시작과 함께 스리백 중 우측 스토퍼로 포지션을 변경해 남은 45분을 소화했다. 가뜩이나, [[정태욱]]과 [[김재우(축구선수)|김재우]] 선수가 [[김학범호]] 올림픽 2차 명단 소집으로 인해 아예 조별리그를 결장하는데, 김우석 마저 부상당해 남은 경기는 스토퍼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2차전 [[유나이티드 시티 FC]]전 역시 오른쪽 스토퍼로 풀타임 출전했다. 전반 추가시간, [[세징야]]의 프리킥을 그대로 헤더로 득점하며 ACL 데뷔 골을 기록했다. 또한 팀의 무실점을 이끌었다. 8월 11일에 펼쳐진 [[FA컵(대한민국)|FA컵]] 8강 [[김천 상무]]와의 홈경기에 선발출장하여, 후반 추가시간에 극장 역전골을 넣으며 팀을 FA컵 4강에 진출시켰다.--이후 인터뷰에서 트레블의 야망을 드러낸건 덤-- 26라운드 [[광주 FC]] 원정경기에서 후반 49분 [[정승원]]의 크로스를 기술적으로 방향만 돌려내면서 그대로 선제골을 기록했다. 31라운드 제주 원정에서도 수비로 선발출전하여 명수비를 펼치며 에드가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는 활약을 선보였다. 31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된건 덤. 21시즌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합쳐 45경기 출전 9골 2도움. ==== [[대구 FC/2022년|2022 시즌]] ==== 시즌 시작전 [[전북 현대 모터스]]의 오퍼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팀에 잔류했다. 지난 시즌 경기외적으로 팀이 시끄러워 고생을 많이 했다보니 주장직을 내려놓으려 했으나 이번시즌에도 결국 주장직을 맡게 되었다. [[AFC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 [[부리람 유나이티드]]전에 선발 출장해 전반은 수비수, 후반부터 연장전까지는 공격수로 종횡무진 하였다. 그리고 승부차기 2번키커로 나와 1번 키커 [[라마스]]가 잔디에 파인거 때문에 실축한걸 보고 잔디가 들리지 않게 밑으로 깔아차는 슈팅을 시도해 골을 성공 시켰다. 이후 주장 답게 다음 키커들에게 밑으로 깔아차라는 조언을 해주었고 이 작전이 성공해 이후에 찬 [[이근호]], [[스즈키 케이타|케이타]] 모두 승부차기를 성공시키기도 했다. [[태국]] [[부리람]]에서 펼쳐지는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전경기에 출장해 1, 5차전 [[산둥 타이산]]과의 경기에서 각각 1도움씩 기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6차전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전에서 후반 78분 라이언시티 골문앞에서 펼쳐진 공격상황에서 라이언시티의 수비수가 김진혁을 넘어 트리는 파울을 저질러 페널티킥을 얻어냈고, 그리고 이 페널티킥을 [[제카 카르발류|제카]]가 가볍게 넣으며 벼랑 끝에 서있던 대구의 16강 진출에 큰공헌을 했다. 14라운드 [[강원 FC]]와의 홈경기에서 전반전 43분 [[세징야]]의 코너킥을 그대로 해딩골이자 선제골을 만들어냈고 팀의 3:0 승리에 기여하였다. [[FA컵(대한민국)|FA컵]] 16강전 [[대전 한국철도]]와의 원정경기에서 선발출장해 후반 51분 동점골을 넣으며 탈락위기의 대구를 구해냈다. 부상 당한 [[세징야]]를 대신해서 [[팀 K리그 VS 토트넘 홋스퍼 FC]]의 경기에 대체 발탁되어서 후반 시작과 함께 교체 출전했다. 하지만 후반 시작과 함께 [[해리 케인]]의 크로스를 걷어내는 과정에서 팀 K리그 골문으로 자책골을 넣었다. --[[해리 케인]]에게 어시스트를 받은 2번째 한국인-- 팀 성적이 안좋아지자 결국 주장 자리를 [[세징야]]에게 넘겼다. 22시즌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합쳐 34경기 출전 3골 3도움. ==== [[대구 FC/2023년|2023 시즌]] ==== 개막전 첫번째 상대인 [[포항 스틸러스]]의 경기에 센터백으로 선발 출장하였다. 2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 센터백으로 출장하여 준수한 활약을 선보이다 후반 88분 [[이진용(축구선수)|이진용]]과 교체되었다. 3라운드 [[강원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조진우]],[[홍정운]]과 함께 3백의 일원으로 출전하여 풀타임을 뛰었다. 4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홈 경기에서 센터백으로 경기에 출장하였다. 그리고 경기시작 10분만에 기가막힌 슈팅궤적으로 선제골을 넣고 대구의 수비진을 안정적으로 만들어내며 무실점으로 대구의 시즌 첫 승리를 만들었다. 그리고 그러한 활약상을 바탕으로 경기 MOM과 함께 [[https://www.kleague.com/news_view.do?orderBy=seq&viewOption=album&seq=87610|4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 되었다. 5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 경기에서 센터백으로 선발 출전하여 좋은 수비로 인천의 공격을 막아내며 경기를 무승부로 만들어냈다. 6라운드 [[FC 서울]] 원정경기에서는 벤치에서 경기를 시작하여 후반 교체로 들어가 출전했지만 이미 3:0으로 끌려가고 있는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FA컵 천안시청과의 홈경기에서 센터백으로 경기에 출장하였다. 이 경기에서 대구는 2대1로 승리하였다. 7라운드 [[광주 FC]] 홈경기에서 센터백으로 경기에 출장하였다. 이 경기에서 대구는 4대3으로 아쉽게 경기를 마무리했다. 8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과의 홈경기에서 센터백으로 경기에 출장하였다. 대전의 공격을 잘막아내면서 클린시트와 함께 대구를 1대0으로 경기를 마무리해주었다. 9라운드 [[수원 FC]]와의 원정경기에서는 기존의 3백이 아닌 4백의 센터백으로 출전하여 1대1 동점으로 경기를 마쳤다. 10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원정경기에서 센터백으로 경기에 출전하였다. 이 경기 대구는 1대0으로 대구가 승리를 가져갔다. 11라운드 [[울산 현대 축구단]]와의 홈경기에서 센터백으로 경기에 출전하였다. 이때 대구는 3대0으로 경기에서 패배하였다. 12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경기에서 센터백으로 선발 출전하였다. 이 경기 대구는 1대1로 무승부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13라운드 [[광주 FC]]와의 원정경기에서 시즌 두번째 달빛더비가 이루어졌다. 이 경기에서 클린시트와 동시에 시즌 첫 달빛더비에서 아쉬운 패배를 뒤로하고 승리를 만끽했다. 그 뒤부터 계속 불안하더니 결국 터질게 터지고야 말았다. 26라운드 인천전에서 제르소를 제대로 마킹하지 않아 실점의 빌미를 제공하고 말았다. 정규 라운드 마지막 경기인 33라운드 수원 FC와의 홈경기에선 전반 29분에 우측에 있던 장성원의 백패스를 받아 그대로 고재현의 머리에 올려 선제골을 어시스트하며 시즌 첫 도움을 기록했다. 그외에도 후반에 로페즈의 단독 득점 찬스를 차단해내기도 하며 좋은 활약을 보여줬다. 34라운드 전북 현대와의 경기에서 조진우와 함께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99분 절묘한 슈팅을 시도했으나 김정훈이 신들린 반사신경으로 막아내었고 이에 김진혁은 뛰어올라 그대로 경기장에 누워버리며 매우 아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 기록 == ||<|2> {{{#fff 시즌}}} ||<|2> {{{#fff 클럽}}} ||<|2> {{{#fff 소속 리그}}} ||<-3> [[K리그|{{{#fff 리그}}}]] ||<-3> [[대한축구협회 FA컵|{{{#fff FA컵}}}]] ||<-3> [[AFC 챔피언스 리그|{{{#fff 대륙 대회}}}]] ||<-3> {{{#fff 합계}}} || || {{{#fff 경기}}} || {{{#fff 득점}}} || {{{#fff 도움}}} || {{{#fff 경기}}} || {{{#fff 득점}}} || {{{#fff 도움}}} || {{{#fff 경기}}} || {{{#fff 득점}}} ||{{{#fff 도움}}} || {{{#fff 경기}}} || {{{#fff 득점}}} ||{{{#fff 도움}}} || || [[대구 FC/2015년|{{{#0c4ca3 '''2015'''}}}]] || [[대구 FC]] || [[K리그 챌린지]] || 12 || 0 || 0 ||<-3> - ||<-3><|4> - || 12 || 0 || 0 || || {{{#0c4ca3 '''2016'''}}} || [[울산 현대미포조선]] || [[한국 내셔널리그]] || 21[*A 프로리그가 아니기에 합계에서 제외] || 1[*A] || 2[*A] || 1 || 0 || 0 || 1 || 0 || 0 || || [[대구 FC/2017년|{{{#0c4ca3 '''2017'''}}}]] ||<|3> [[대구 FC]] || [[K리그 클래식]] || 32 || 4 || 0 || 1 || 0 || 0 || 33 || 4 || 0 || || [[대구 FC/2018년|{{{#0c4ca3 '''2018'''}}}]] ||<|6> [[K리그 1]] || 25 || 1 || 0 || 3 || 1 || 0 || 28 || 2 || 0 || ||<|2> {{{#0c4ca3 '''2019'''}}} || 6 || 4 || 1 || 1 || 0 || 0 || 2 || 0 || 0 || 9 || 4 || 1 || ||<|2> [[상주 상무 FC]] || 9 || 1 || 0 || 2 || 1 || 0 ||<-3><|2> - || 11 || 2 || 0 || || [[상주 상무 FC/2020년|{{{#0c4ca3 '''2020'''}}}]] || 19 || 1 || 0 ||<-3> - || 19 || 1 || 0 || || [[대구 FC/2021년|{{{#0c4ca3 '''2021'''}}}]] ||<|2> [[대구 FC]] || 34 || 6 || 2 || 5 || 1 || 0 || 6 || 2 || 0 || 45 || 9 || 2 || || [[대구 FC/2022년|{{{#0c4ca3 '''2022'''}}}]] || 26 || 2 || 1 || 2 || 1 || 0 || 6 || 0 || 2 || 34 || 3 || 3 || ||<-3> {{{#fff '''통산'''}}} || '''163''' || '''19''' || '''4''' || '''15''' || '''4''' || '''0''' || '''14''' || '''2''' || '''2''' || '''192''' || '''25''' || '''6''' || * 2022 시즌 종료 기준 * [[https://portal.kleague.com/common/search/popUpPlayerDetail.do?playerDetailInfo=20150030|[[파일:K리그 로고.svg|width=20]] 김진혁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DB == 국가대표 경력 == 2012 AFC U-19 챔피언십, 2014 한일 덴소컵 정기전에 선발되었다. 2014년, [[이광종]] 감독이 이끄는 U-21 중국 4개국 친선 대회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2015년. [[신태용]] 감독이 지휘하는 AFC U-22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 태국에서 열리는 킹스컵에도 선발되었으나 장염으로 출전하지 못했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091MEScSr6U)] 신체 조건이 뛰어난 선수로 제공권, 돌파력, 득점력, 활동량이 높은것이 주요 장점이다. 본인도 적극적이고 활동량이 많은 것을 장점으로 꼽았고, 숭실대학교 시절 [[이정협]]에게 많은 것을 배웠다고 한다. 실제로 이정협과 스타일이 비슷하고 타깃 플레이에 강점을 보인다는 평. 공격수와 수비수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멀티 플레이어다. 본래는 공격수로 데뷔했지만 과거에는 대구의 스쿼드가 얇았기 때문에 선수층에 구멍이 생기면 땜빵할 선수가 부족했고, 따라서 [[손현준]] 감독이 김진혁의 포지션 변경을 시도했다. 공격수와 수비수 훈련을 같이 병행하다가 본격적으로 [[센터백]]으로 전향을 요구한 것이다. 몸싸움도 좋은데다 태클도 평균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보이며, 수비수로서의 성장 가능성에 있어서 많은 기대를 받기도 했다. 이후 주전으로 뛰었지만 2018년 주전에서 밀려났고, 2019년 다시 공격수로 회귀하며 [[에드가 실바|에드가]]가 부상으로 결장하게 되자 백업으로 출전해 에드가의 공백을 완벽히 메꾸는 활약으로 주목을 받았으나, 상주에서는 다시 센터백[* 그런데 등번호는 9번(...)이다. 대구에 돌아온 뒤로도 센터백으로 계속 뛰고 있으나 등번호는 7번을 달고 있다.]으로 뛰었다. 공격수로 뛸때의 경기 스타일을 보면, 왕성한 활동량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박스 안에서는 공이 올때마다 적극적인 슈팅 시도를 보이는 등 상대 수비수에게 부담을 줄 수 잇는 플레이를 적극 시도하는 스타일로서 좋은 공격수로서의 덕목을 갖추고 있다. 또한 뛰어난 피지컬과 슈팅 능력도 자랑하고 있다. 수비수로서의 경기 스타일을 보면, 역시 왕성한 활동량과 적극적인 몸싸움을 시도하는 파이터형 센터백의 모습을 보인다. 경기시간 내내 끊임없이 뛰어다니며 공격수를 마크하는 적극성이 장점이지만, 원래 공격수 출신으로 투박한 스타일의 수비 때문에 위험지역에서 파울을 내주는 것이 잦은 것은 흠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 수록 수비수로서의 안정감도 높아져 대구 스리백의 한축으로 당당히 자리잡았으며, 2023 시즌에는 정규 라운드 모든 경기에 출전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과감한 태클과 적극적인 블락 시도를 보여주며 성공률도 높은 편이다. 센터백으로 뛸때에 공격 상황에서 마크맨이 없을 경우 30m 이상 먼 거리에서 장거리 슛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는데 특유의 슈팅능력 덕분에 득점에 성공하거나 위협적인 슈팅이 될 때가 있다. 현대 축구에서 수비수는 수비는 물론이고 공격 가담 능력도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공격수 역시 상황에 따라 적절히 수비에 가담하는 능력도 중요하다. 따라서 김진혁 선수가 공격과 수비 모두에 능하다는 점은 분명한 이점이 될 것이다. == 여담 == * [[http://www.daegufc.co.kr/board_story_clubnews01/view.php?tn=board_story_clubnews01&list_count_s=6&G_state=Y&pm=4.2.1&part_part_s=&subject_s=&content_s=Y&name_s=&writedate_s=&search_word_s=%EA%B9%80%EC%A7%84%ED%98%81&sid=2630&gid=&cpage=7&spage=1|롤 모델]]이 [[숭실대학교]] 2년 선배인 [[이정협]]이라고 한다. * [[숭실대학교]] 축구부시절 [[김승준(축구선수)|김승준]]과 환상의 공격 조합을 이뤘다고 한다. * 과거에 프로에서 공격수 포지션으로 단 한 골도 터트리지 못한 것 때문에 2019년 4월 이전까지 축구화를 될 수 있는대로 계속 바꿔 신고 경기에 나왔다고 한다. * 2022년 12월 17일 결혼식을 올렸으며, 동년 9월 16일에 아들이 태어났다. [[분류:1993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구리시 출신 인물]][[분류:스트라이커]][[분류:센터백]][[분류: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은퇴, 이적]][[분류:상무 축구단/전역]][[분류:대구 FC/현역]][[분류:과천문원중학교 출신]][[분류:과천고등학교 출신]][[분류:숭실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대구 FC/역대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