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김진희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20-21 wkbl 로고.jp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9em" [[틀:WKBL 라운드 MIP/2020~2025|{{{#fff '''2020-21 2R MIP'''}}}]]}}} || [[틀:WKBL 역대 어시스트상|[[파일:20-21 wkbl 로고.jp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9em" [[틀:WKBL 역대 어시스트상|{{{#fff '''2 020-21 어시스트상'''}}}]]}}} || ---- ||<-5>
'''W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 2019-20 시즌 챔피언 결정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영향으로 인한 시즌 조기 종료로 인해 미개최했으나 공식적으로 우승이 인정했으므로 기술함] || || '''{{{#ffffff 2018}}}''' || '''{{{#ffffff 2020}}}'''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진희2020-21.png|width=80%]]}}} || ||<-3> '''{{{+2 {{{#000 김진희}}}}}}''' || ||<-2> {{{#000 ''' 출생 ''' }}} ||[[1997년]] [[1월 21일]] ([age(1997-01-21)]세) || ||<-2> {{{#00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000 ''' 신체 ''' }}} ||[[키(신체)|키]] 168cm|[[체중]] 60kg || ||<-2> {{{#000 ''' 포지션 ''' }}} ||[[포인트 가드]] || ||<-2> {{{#000 ''' 학력 ''' }}} ||가양초등학교 {{{-2 (졸업)}}} [br] 월평중학교 {{{-2 (졸업)}}} [br]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2 (졸업)}}} [br] [[광주대학교]] {{{-2 (졸업)}}} || ||<-2> {{{#000 ''' 프로입단 ''' }}} ||[[2017-2018 WKBL 신입선수 선발회|2018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6순위,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아산 우리은행]])}}} || ||<-2> {{{#000 ''' 소속 '''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아산 우리은행 위비-우리WON]] (2017~2022) || ||<-2> {{{#000 ''' SNS ''' }}} ||[[https://www.instagram.com/jinhee_o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여자농구 선수. == 선수 경력 == === 고교 시절 === 2012~14 3년간 대전여상에서 활약했지만, 고교 시절 우승은 한 번도 하지 못했다. 본인도 농구를 힘들어해 그만두다시피 하고 학교에 취업계를 낸 후 [[http://naver.me/5YnNP0ei|과자공장에서 박스 포장 일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광주대학교]] 여자농구부 국선경 감독의 "농구는 그만 둬도 대학 졸업장은 있어야 하지 않겠냐"는 설득으로 대학 농구부에 진학하게 됐다. === 대학 시절 === 2015년 대학 1년차, 대학리그 정규리그, 챔피언결정전, MBC배 모두 준우승을 차지한다. 2016년 대학 2년차, 대학리그 통합우승(정규리그+챔피언결정전), MBC배, 종별선수권대회 모두 우승을 차지한다.(대학리그 역사상 첫 전관왕) 2016년 대학리그 MVP에 오른다. 2017년 1월, KUSF 어워드시상식에서 학생선수 부문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2017년 대학 3년차, 대학리그 통합우승(정규리그+챔피언결정전), MBC배 우승을 이끈다.(3관왕) 이 기간 광주대 전적 19승 0패. 2017 대학리그 어시스트상을 수상한다(7.92 어시스트). === 프로 시절 === 광주대 3학년 때였던 2017년 WKBL 신인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6순위로 우리은행의 지명을 받아 프로에 입성했다. 이후 몇 해 동안은 1군 경기에서 뛰지 못했다. 2019-20시즌은 [[십자인대]] 부상의 여파로 한 경기도 뛰지 못했다. 2020년 트리플잼 1차대회 [[박지현(2000)|박지현]], [[유현이]], [[나윤정]]과 팀을 이뤄 출전해, 우리은행을 우승으로 이끈다. 2020년 [[박신자컵]]에서 한층 더 올라온 기량을 선보이며 팬들을 기대케 하고 있다. 2020년 11월30일 삼성생명과의 홈경기, 1분36초를 남기고, 3점차에서 5점차로 달아나는 샷클락 버저비터를 터뜨렸다![[https://sports.news.naver.com/basketball/vod/index.nhn?id=743205&category=wkbl&gameId=202011300410126&date=20201130&listType=game|영상]] 20-21시즌 우리은행 선수들의 계속되는 부상과 본인의 기량발전이 맞물려 주전 포인트 가드에 가깝게 뛰고 있다. [[위성우]] 감독도 [[https://n.news.naver.com/sports/basketball/article/351/0000050050|"왜 이런 선수를 (그동안) 안 썼을까? 아직도 감독 보는 눈이 부족한 것 같다"]]며 이례적인 톤으로 칭찬했을 정도. 20-21시즌 정규리그 2라운드 [[https://n.news.naver.com/sports/basketball/article/065/0000206680|MIP(기량발전상)에 선정됐다.]] 같은 라운드 MVP는 팀 동료 [[박지현(2000)|박지현]]. 20-21 WKBL 정규리그가 마무리돼가는 2월 중순까지 30분을 상회하는 평균 출전시간과 5.4개 정도의 [[안혜지(농구선수)|안혜지]]와 리그 전체 1,2위를 다투는 경기당평균 어시스트로 커리어하이 시즌을 보내고 있다. 2021년 2월 21일 [[부산금정체육관|BNK센터]]에서 열린 [[부산 BNK 썸]]과의 팀 정규리그 우승을 확정지은 원정 경기에서 8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상대팀의 안혜지를 단 1개 차이로 제치고 결국 어시스트 1위 자리에 올랐다. 한 시즌을 통째로 뛰지 못할 정도의 무릎 부상을 당하고 돌아오자마자 전 경기를 잘 소화한 공로를 팀에서도 인정했는지, 이 경기에선 [[위성우]] 감독과 주장 [[박혜진(농구선수)|박혜진]]도 김진희의 어시스트 1위 탈환을 위해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위성우 감독은 승패가 결정난 상황에서도 어시스트는 득점하는 선수가 있어야 한다는 이유로 베스트5를 교체하지 않았고 박혜진은 김진희의 어시스트 8개 중 5개를 장거리 3점슛도 불사하며 혼자 책임진 것.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98&aid=0000044056|우리은행, 모두가 함께한 '김진희의 어시스트 1위']]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69&aid=0000582184|"진희 줘!" 팀만 생각했던 위성우 감독이 마지막에 생각난 이름]] 결국 3시즌 동안 11경기 52분밖에 뛰지 못하고 장기부상에 괴로워했던 김진희는 2021년 2월 25일 열린 WKBL 정규리그 시상식에서 어시스트상을 수상하며 주전 첫 시즌에 타이틀 기록을 따낸 가드로 성장했다. 2021-22시즌, 벤치에서 주로 출전하였다. 출장 시간이 전년에 비해 절반으로 떨어져 볼륨 역시 떨어졌으나 어시스트 능력은 여전히 출중하였다. 21-22시즌 이후 은퇴를 선언했다. 구단에서는 만류했지만, 시즌 도중 가까웠던 누군가가 세상을 떠나서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어 했다고 한다.[* 이류농구 원석연 기자가 언급했다. 이외에 다른 이유는 없다고 한다. 가능하면 다시 돌아오면 좋겠다고 하기도 했다.] === 국가대표 경력 === 2015년 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에 국대로 뽑혀 참가한다. 한국은 14위(16개국 출전). 2017년 타이페이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에 국대로 뽑혀 참가한다. 한국은 15위(16개국 출전).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3x3 대표팀에 발탁되어, [[김진영(1996)|김진영]], [[박지은(농구)|박지은]], 최규희와 함께 8강이라는 성과를 낳는다. == 플레이 스타일 == 빠른 스피드와 안정적인 드리블, 넓은 시야와 맞물린 정교하고 이따금씩 날카로운 패스를 바탕으로 볼 운반을 주 역할로 삼았다. 하프코트를 넘어가 첫 패스를 선택하기까지의 과정에 불안한 장면이 잘 보이지 않고 신속한 편이었다. 움직임이 빠르다 보니 돌파도 공격 옵션 중 하나였다. 또한 수비나 리바운드에 적극적으로 가담해 팀 플레이어의 모습을 보였다. 그 결과 패스 능력이 매우 좋아 유의미한 수치의 어시스트를 기록할 수 있었다. 20-21 어시스트 1위의 기록은 물론, 21-22 시즌에는 벤치에서 출격하여 평균 출장시간 15분 가량 뛰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3.15 어시스트를 기록했을 정도이다. 만약 21-22 시즌에도 주전으로 뛰었다면 2년 연속 어시스트 1위를 차지했을 가능성이 높다. 위의 장점만 보면 이렇게 좋은 선수가 단명했을까 생각하겠지만........... 김진희가 특급으로 올라서는 데 발목을 잡은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슛이 너무 안 좋았다는 것. 그것도 그냥 안 좋다 정도가 아니라 세 시즌 동안 2점이 34.7%, 3점이 19.2%로 WKBL 가드 중에선 그야말로 최저 수준으로 상대팀들이 대놓고 섀깅을 하는게 일상이었다. [[이명관]]이 김진희와 함께한 인터뷰에서 반 농담 삼아 대학 시절부터 섀깅을 했다고 놀렸을 정도[* 사실 대학 리그 기록만 보면 2학년~4학년 세 시즌동안의 3점 성공률이 32.6%(30/92)로 아주 나빠보이진 않는다. 다만 한 시즌에 2~30개, 경기당 2~3개 정도로 많이 안 쐈기에 좋다 나쁘다를 말하기엔 표본이 적은 수준. 또한 이명관으로선 대학 리그 경기 말고도 김진희를 상대할 일이 많았을 것이니 대학 때도 슛이 안 좋다고 놀린데는 나름 근거가 있었을 듯하다.]. --종합하면 [[안혜지]] MK2-- == 시즌별 성적 == ||<-11>
{{{#0066b3 역대 기록}}} || || {{{#000 시즌}}} || {{{#000 소속팀}}} || {{{#000 경기수}}} || {{{#000 2점슛(%)}}} || {{{#000 3점슛(%)}}} || {{{#000 자유투(%)}}} || {{{#000 득점}}}[*G 경기당 평균] || {{{#000 리바운드}}}[*G] || {{{#000 어시스트}}}[*G] || {{{#000 스틸}}}[*G] || {{{#000 블록슛}}}[*G] || || 2018-19 ||<|4>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우리은행]] || 11 || 0.0 || 18.2 || 0.0 || 0.55 || 0.09 || 0.73 || 0.27 || 0.00 || || 2019-20 ||<-9> 1군 기록 없음 || || 2020-21 || 30 || 34.4 || 19.3 || 47.7 || 5 || 3 || '''{{{#red 5.47}}}'''[br](1위) || 0.9 || 0.0 || || 2021-22 || 26 || 39.4 || 19 || 77.8 || 2.65 || 1.27 || 3.15 || 0.42 || 0.04 || ||<-2> '''[[한국여자프로농구|WKBL]] 통산''' [br] (3시즌) || 67 || 34.7 || 19.2 || 50.9 || 3.36 || 1.85 || 3.79 || 0.61 || 0.03 || == 여담 == * [[강계리]]를 좋아한다. 악착같은 모습도 닮았고, 헤드밴드를 쓰는 것도 닮았다. 유니버시아드대회에 참여한 걸 계기로 가까워진 듯하다. [[강계리]]한테 직접 헤드밴드도 받은 적이 있다고....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65&aid=0000145393|관련기사]] * 쾌활한 성격으로 현역 시절 우리은행 관련 유튜브 촬영 시에는 거의 주연급이거나 씬스틸러로 맹활약했었다. 때문에 짧은 선수 경력에도 불구하고, 제법 팬이 많은 편이었다. * 20-21 시즌 삼성생명과의 경기에서 4Q 1분36초를 남기고, 샷클락 소리와 함께 결정적인 미드레인지 점퍼를 성공했다. 상대편이 작전타임을 불러서 김진희가 벤치로 돌아오자 [[위성우]] 감독이 안으며, 등을 두드려 주었다.[[https://youtu.be/DZxURq-aAP0|#]] 김은혜 해설위원이 이런 모습 처음 본다며 놀랐다. 김진희는 인터뷰에서 약간 심쿵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안길 때 표정은...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선수단 역사]]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1997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분류:2022년 은퇴]][[분류:포인트 가드]][[분류:슈팅 가드]][[분류:광주대학교 출신]][[분류: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