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전라북도)] [[파일:external/rokps.or.kr/425.jpg|width=150]] 金昌洙 [[1902년]][* [[http://db.history.go.kr/id/ia_1472_1150|1930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1901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2월 28일]] ~ [[1981년]] [[7월 28일]] (향년 79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광산 김씨|광산]](光山)[* 37세 수(洙) 항렬.], 이명은 김일치(金日冶), 호는 소호(小湖)이다. [[독립유공자]] [[김철수(독립운동가)|김철수]]는 그의 이복 형이다. == 생애 == [[1902년]] [[2월 28일]] [[전라북도]] [[태인군]] 용산면 화호리(현 [[정읍시]] [[신태인읍]] 화호리) 522번지에서 아버지 김영구(金永九)의 차남으로 [[http://db.history.go.kr/id/ia_1472_1150|태어났다]]. 이후 화호리 52-1번지로 이주했다가 곧 상경해 [[경기도]] [[경성부]] [[명륜3가|숭삼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3가]]) 139번지, 숭삼동 39번지, 경성부 [[경운동]](현 종로구 [[경운동]]) 96-7번지[* 현재는 사라진 지번인데,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부근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등지에 거주했다. 아버지 김영구는 소지주로 전라북도 [[군산시|옥구부]](현 [[군산시]])에서 쌀 위탁 판매업에 종사했는데 재력이 대단했다고 하며, 가까운 이웃 동네인 [[고창군]]의 [[인촌 김성수]] 집안의 재력과 견줄 정도로 부잣집이었다고 한다. 일찍이 상경해 [[중동고등학교|중동학교]]에 입학했다가, 재학 중에 [[3.1 운동]]에 참여하여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복학해 졸업한 뒤 낙향했다. 1925년 10월 화호(禾湖) 노농친목회 간부로서 부안군 백산면 원천리의 소작동우회와 제휴하여 [[정읍시|정읍군]]의 지주들을 상대로 소작료 인하투쟁을 전개했다. 1926년에는 전라북도민중운동자동맹에 가입했고, 조선민흥회 결성준비위원으로 참가했다. [[1927년]] [[중화민국]] [[베이징시]]에서 [[조선공산당]]에 입당한 후 국내연락 임무를 띠고 귀국했다가, [[일본 헌병]]에 체포되었다. 1928년 '제3차 조선공산당([[ML당]]) 사건'으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른 뒤 1929년 1월 만기출옥했다. 출옥 후 그해 2월 정읍군 이평면에서 이평농민조합을 결성했고, 이 무렵 정읍군과 인근 [[김제시|김제군]]에서 군 단위 농민조합 결성 활동에 열성적으로 참가했다. 그해 7월에는 전라북도공산주의자협의회 결성에 참여했고, 8월에는 문헌 입수 및 동지 획득을 목적으로 [[일본]] [[도쿄]]로 건너갔다. 귀국 후에는 전라북도 조산공산당 재건설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창수(1902).jpg|width=500px]]}}} || || 좌 : 1930년 9월 1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br]중 : 1932년 3월 24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br]우 : 1933년 6월 30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 그 뒤 1930년 8월 3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미결 구류일수 중 600일 통산)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7752&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15481&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선고받고]] 당일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어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서점]]을 경영하다가 소위 출판법 위반 혐의로 [[서울혜화경찰서|경성부 동대문경찰서]]에 검거되었고, 1932년 2월 16일 경성지방법원 검사국에 송치, 구금되었다. 2월 17일에는 [[서울종로경찰서|경성부 종로경찰서]]에 의해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가 추가되었고, 1933년 2월 28일 서대문형무소에 구금되었다. 4월 28일 경성지방법원의 예심에서 소위 출판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면소]] 처분을 받았으나,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회부되었다. 그 뒤 1934년 6월 25일 경성지방법원에서 같은 혐의로 징역 3년형(미결 구류일수 중 500일 본형에 산입)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775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15480&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 이에 공소하여 1935년 3월 30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같은 혐의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650&evntId=0034983031&evntdowngbn=Y&indpnId=0000014642&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원심 판결이 취소되었으나]], 이의신청은 기각되었다. 이에 그는 상고까지 했으나 5월 9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866&evntId=0034981787&evntdowngbn=Y&indpnId=0000013442&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옥고를 치렀다. 1935년 12월 24일에는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출판법 위반 혐의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631&evntId=0034982902&evntdowngbn=Y&indpnId=0000014518&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공소가 기각되었다]]. [[1936년]] 다시 중국으로 건너가 [[8.15 광복]] 때까지 [[베이징]]과 [[상하이]]에 머물렀으며, 이 동안에 상해대학 [[사회학과]]에 입학했다. 상해대학 재학 시절 신한청년 주간을 역임했으며, 졸업 후에는 [[톈진시]] 삼화산업사(三和産業社) 사장, 단민보사(檀民報社) 사장, 조국 베이징교민보사 사장을 역임했다. 광복 후 귀국했으며, 1945년 9월 [[한국민주당]] 발기인으로 [[http://www.laborsbook.org/dic/view.php?dic_part=dic02&idx=3584&keyword=%EA%B9%80%EC%B0%BD%EC%88%98|참여하면서]] [[우익]] 정치인으로 전향했다. 이후 한국민주당 지부장을 역임하다가 탈당하고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경기도 [[고양군]] 갑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서성달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이후 [[자유당]]에 입당해 전라북도당 위원장 및 중앙위원, 산업부장 등을 역임했다. 그 밖에 [[조선일보]] 전라북도지사장, 대한농민총연맹 부위원장, 대한농민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3대 국회]] 기간 동안에 대한농민회 최고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1955년 당시에는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부산시]] [[부용동2가]](현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부용동2가]]) 40번지에 거주했고, 이듬해인 1956년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1가]] 88번지로 [[http://db.history.go.kr/id/im_101_21733|주소지를 옮겼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나용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7년 당시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영동아파트에 거주했다. 그 뒤 [[백제]] [[왕인(백제)|왕인]] 박사에 관한 저술을 위해 자료 수집차 [[일본]] [[도쿄]]로 건너갔다가 [[1981년]] [[7월 28일]] 그곳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7280032921102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7-28&officeId=00032&pageNo=11&printNo=11023&publishType=00020|별세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 고양군 갑) || [include(틀:무소속)] || 2,004표 (7.35%) || 낙선 (7위) ||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정읍군 갑) ||<|2> [include(틀:자유당)] || '''11,852표 (28.03%)''' || '''당선 (1위)''' ||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정읍군 갑) || 22,230표 (45.75%) || 낙선 (2위)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창수, version=68)]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광산 김씨]][[분류:정읍시 출신 인물]][[분류:1902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조선일보 관련 인물]][[분류:중동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