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김천시의 고등학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1964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상북도 김천시의 고등학교)] ||||
'''{{{+1 김천중앙고등학교}}}[br]金泉中央高等學校[br]Gimcheon Joonang High School''' || |||| [[파일:김천중앙고교표.png|width=200px]] || || '''개교''' || [[1964년]] [[5월 1일]] 금릉고등학교 개교[br][[1978년]] [[3월 1일]] 교명 변경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23대 박복로 || || '''교감''' || 하연승 || || '''교훈''' || 성실(誠實) || || '''교화''' || [[모란]] || || '''교목''' || [[향나무]] || || '''학생 수''' || 388명[*기준 2023년 10월 24일] || || '''교직원 수''' || 74명[*기준] || || '''관할 교육청''' || [[경상북도교육청]] || || '''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해오름1로 36 ([[율곡동]]) || || '''홈페이지''' || [[https://school.gyo6.net/kcjahs/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white 교사}}}''' || ||<-2> [include(틀:지도, 장소=김천 율곡동 김천중앙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김천시]] [[율곡동]]에 위치하는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1964년]] [[5월 1일]] 금릉고등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78년]] [[3월 1일]] 현재의 교명인 김천중앙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1년]] [[12월 11일]]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를 인가하였고 [[1995년]] [[7월 19일]], [[2024년]] [[2월]] 이전까지 교사였던 양천동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김천시]]의 [[일반계]] [[남자고등학교]]로 운영되다 [[2024년]] [[3월]] [[김천혁신도시]]가 위치한 율곡동으로 교사를 이전하고 동시에 [[남자고등학교]]에서 [[남녀공학]]으로 전환했다. 같은 소재지인 [[율곡고등학교(경북)]]와 더불어 [[율곡동]]의 대표적 [[고등학교]]로 새롭게 단장을 하였다. == 학교 연혁 == ||
'''연도''' || '''연혁''' || || 1960년대 || 금릉고등학교 개교 || || 1970년대 || 김천중앙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1980년대 || 김천중앙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인가 || || 1990년대 || 김천시 양천동으로 교사 이전 || || 2000년대 || 2004 일반계고평가 최우수교지정(자율특색사업) || || 2010년대 || 자율학교 지정(기숙형고, 2010.03.01~2015.02.28)[br]시범학교(방송고 사이버교육, 2010.03.01~2012.02.29)[br]한빛도서관 개원 및 진로 상담실(클꿈터) 개소[br]행복한 학교문화 만들기 연구시범학교 운영(2013.03.01~2014.02.28)[br]KBS 도전 골든벨 녹화 방송[br]2013대한민국행복학교 박람회 참여(교육부장관상)[br]2014대한민국행복학교 박람회 참여(교육부장관상)[br]제95회 전국체육대회 고등학교 세팍타크로부 우승[br]유도부 창단 및 유도관 개관[br]경북교육청 지정 정책연구학교 운영[br]경북 명품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선정(교육감 표창)[br]경북 사교육 경감 학교 특색사례 최우수학교 선정(교육감 표창)[br]제22대 임규흥 교장 취임[br]교육부요청 방송통신고 정책연구학교운영(2년간)[br]또래상담학교운영, 어깨동무학교운영(1년간)[br]건강증진학교운영(1년간)[br]제23대 박복로 교장 취임 || || 2020년대 || 제41회 김천중앙고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입학식(27명)[br]제57회 김천중앙고등학교 졸업식(127명/16,362명)[br]제39회 김천중앙고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졸업식(21명/2,841명)[br]제60회 김천중앙고등학교 입학식(131명) || == 교훈 및 상징 == === 교훈 === [[파일:김천중앙고교훈.png|width=50%]] '''성실(誠實)''' 영어로 '성실(sincere)'이라는 말은 '밀초로 때우지 않은(without wat)'이란 말에서 유래하며, 조각품 등이 파손되거나 다른 것으로 땜질한 곳이 없는 순수한 것이라는 뜻입니다. 히브리말로는 '성실(tamim)'의 복수형은 '진리'라는 뜻입니다. 즉 성실이란 속과 겉이 같은 것, 거짓도 속임수도 없는 참된 것, 처음과 끝이 변함이 없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 교표 === [[파일:김천중앙고교표2.png|width=50%]] 우리 학교의 이름인 중앙(中央)을 도안화한 것입니다. 따뜻한 마음과 공동체 역량을 발휘하는 김천중앙인으로의 성장이 목표입니다. === 교목 === [[파일:김천중앙고교목.png|width=50%]] '''향나무''' 늘 푸르름은 끈기를, 속이 단단함은 실속을, 은근한 향기는 인간다운 가치관과 겸양의 미덕을 나타내어 본교 교육 방향을 형상화 한 것입니다. === 교화 === [[파일:김천중앙고교화.png|width=50%]] '''모란''' 꽃이 크고 아름다우며 품위가 있어 꽃 중의 왕(花王)이라 일컬을 만합니다. 성실함과 중후함이 느껴지고 본교의 품격인 인성·성실과 상응합니다. === 교가 === [[파일:김천중앙고교가.png|width=50%]] == 학교 특징 == [[김천시]]에 위치한 유일한 [[공립]] [[인문계]] [[남자고등학교]]였으나 교사 이전과 동시에 [[남녀공학]]으로 전환되면서 남은 [[인문계]] [[남자고등학교]]는 [[사립]]인 [[성의고등학교]]만이 유일해졌다. [[2018년]]까지 한 학년에 2반 정도 특반이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상위 몇 명을 추려 솔로몬반을 구성하였다. 특반과 일반반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소수 엘리트인 솔로몬반은 특별교실(독서실)등 일부 혜택들이 있었다. [[2019년]]부터 특반이 없어지고 일반반과 통합이 되었지만 솔로몬반은 계속 유지가 되었다. 교사 이전 이후에도 유지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야간자율학습]]에 대한 정책이 심하면 한 학기 마다 바뀌었다.[* 1학기는 자율이었다 2학기는 강제로 전환되는 식] [[양천동]]에 위치했던 구교사는 주변 인프라가 좋지 않았다. 주변에 있는 건 논과 밭 그리고 운전학원[* 학교와 가까운 덕분에 김천중앙고 학생들이 졸업 시즌에 운전면허를 취득하기 위해 많이 간다.]이 전부였다. 하지만 교사가 [[율곡동]]으로 이전하면서 주변 인프라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스쿨버스가 총 2대가 있으며 각각 지역을 나눠 운행된다. == 학교 시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천중앙고교사.jpg|width=100%]]}}}|| || {{{#ffffff ''' 구교사[* 1995~2024]'''}}} || [[양천동]]에 위치 했던 구교사로 1995년 이전 이후 본교로서 운영되었다. 사진 속 왼쪽의 건물은 체육관, 오른쪽 건물은 대다수 수업과 행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본관이다. 본관 뒤편에는 스쿨버스 주차장, 도서관 건물, 급식실이 위치해 있다. 사진 속 구역 오른쪽엔 운동장이 있으며 운동장 오른쪽엔 농구장과 운동부실이 있고 그 뒤쪽에는 기숙사와 음악실 건물이 위치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천중앙고신교사.png|width=100%]]}}}|| || {{{#ffffff ''' 신교사[* 2024~]'''}}} || 2024년 3월부터 입학생과 재학생이 이용하게 될 [[율곡동]]에 위치한 신교사이다. == 대중교통 == === 버스 === ||<#FFD700>
<-4> '''{{{#FFFFFF 주변 정류장}}}''' || || 이지더원아파트 || 이지더원아파트 || 한국전력기술정문 || 에듀파크건너 || ||
'''종류''' || '''번호''' || || 순환 || 순환4, 순환4-1, 순환3 || || 일반 || KTX12, KTX20, KTX22, 율곡11, 율곡12-3, 종상11, 종상12-3, 김천12, 김천12-0, 김천12-3, 김천20, 다수12, 다수12-3, 봉계12, 봉계12-0, 봉계12-3, 삼락12, 상금12, 상금12-3, 시청12, 시청12-0, 시청12-3, 정골12, 직지12, 직지12-3, KTX11, 율곡11-2, 종상11-2, 종상11-4 || || 좌석 || KTX112, KTX116-9, KTX222, 율곡111, 율곡112-3, 종상111, 종상112-3, 김천112, 김천112-0, 김천112-3, 다수112, 다수112-3, 봉계112-3, 시청112, 시청112-0, 시청112-3, 율곡111-2, 종상111-2, 5000(김천시외버스터미널(종점)-구미종합터미널앞), 5100(김천시외버스터미널(종점)-황상종점), 5200(김천시외버스터미널(종점)-양포동행정복지센터건너), 553(김천시외버스터미널(종점)-구미종합터미널앞) || === 철도 === [[김천역]]과 [[김천(구미)역]]을 통해 찾아갈 수 있다. == 출신인물 == * [[김강윤(소방공무원)]] * [[이상무(만화가)]] * [[나영민]] - 정치인 * [[박건우(1969)]] * [[이선명]] * [[최외출]] - [[영남대학교]] 제16대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