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7대 대통령 선거 후보)] ||<-2> '''{{{+1 김철}}}[br]金哲'''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028/2014/11/17/00518341901_20141118_99_20141117193526.jpg|width=100%]]}}} || || '''호''' ||당산(堂山)[* 김철의 고향인 당산마을에서 유래했다.] || || '''본명''' ||김용련 || ||<|2> '''출생''' ||[[1926년]] [[7월 1일]] || ||[[함경북도]] [[경흥군]] 상하면 아오지동 당산마을[br](現 [[함경북도]] [[경흥군]] 학송노동자구)[*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00609025002|#]]] || ||<|2> '''사망''' ||[[1994년]] [[8월 11일]] (향년 68세)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서울)|흑석동]] 256-69번지 자택에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408120020912201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4-08-12&officeId=00020&pageNo=22&printNo=22596&publishType=00010|별세했다고도 한다]].] || || '''학력''' ||경성중학교 {{{-2 (졸업)}}}[br][[도쿄대학]] {{{-2 (역사철학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408120020912201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4-08-12&officeId=00020&pageNo=22&printNo=22596&publishType=00010|중퇴]])}}} || || '''배우자''' ||윤초옥[* 尹楚玉. 독립운동가 윤병권(尹炳權)의 딸로, 나남고등여학교 출신이다. 2012년 9월 2일 소천.] || || '''자녀''' ||장남 김밝힘, 차남 [[김한길]], 3남 [[김누리(교수)|김누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구 혁신계[* 혁신계는 1970년대까지 진보진영, 좌파세력을 가리키던 용어이다. 일례로 1956년 대선에서 진보당 [[조봉암]] 후보는 '''혁신만이 살길이다!'''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당시 진보는 현재의 '발전'의 뉘앙스를 가진 표현이었다. 지금도 일본에서는 이와 동일한 의미로 혁신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정치인이다. 호는 당산(堂山) . [[조소앙]]·[[여운형]]·[[조봉암]]의 맥을 이은 사회민주주의자로 평가되고 있다. == 생애 == 1926년 7월 1일 함경남도 경흥군 상하면 아오지동 당산마을(現 경흥군 학송노동자구)에서 아버지 김성태(金成泰)와 어머니 채혜자(蔡惠子) 사이에서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출생 이후 20대에 [[전염병]]으로 요절한 큰아버지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1945년 경성(鏡城)중학교[* [[함경북도]] [[경성군]]의 명문학교였다. 1938년 이전까지는 경성(鏡城)고등보통학교, 줄여서 경성고보였기 때문에 흔히 경성고보 출신으로 불린다. 당시 [[구제중학교]]는 현재의 중학교+고등학교 과정에 해당된다.]를 졸업하고 1949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대학]] 역사철학과에 입학했으나 이후 중퇴했다. 청년시절에는 우익 민족주의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해방 직후 [[이범석]]이 조직한 우익계 정치조직 [[조선민족청년단]](통칭 족청)에서 활동하다가 다시 일본에 건너가서 우익계 [[민단]] 활동을 하였다.[* 당시 재일동포 사회는 좌익계 [[조총련]]과 우익계 [[민단]]이 연달아 생기면서 이념대결, 남북대결의 대리전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1952년 귀국하면서 족청 세력이 [[이승만]]을 지지하는 원외[[자유당]] 창당에 나서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1954년 자유당내 권력투쟁에서 이범석이 밀려나고 족청계가 대거 숙청되자 일본으로 돌아갔다. 일본 체류 중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SI)이 민주적 사회주의의 목적과 임무를 밝힌 [[프랑크푸르트 선언]][*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이 1951년 발표한 강령. 이후 유럽의 중도좌파 정당들은 수십년간 프랑크푸르트 선언의 사회민주주의/복지국가 노선을 고수하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제3의 길]]로 우경화한다.]을 읽고 공감하면서 사회민주주의에 눈을 뜨게 된다. 1957년 귀국하여 [[이동화]]·[[서상일]]·[[고정훈]] 등과 함께 [[민주혁신당]]을 창당해 대변인에 선임되었고, 1960년 [[4.19 혁명]] 후 [[한국사회당]]에 참여하였다. 그해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사회당 후보로 서울 성동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홍용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1년 [[통일사회당(1961년)|통일사회당]] 결성을 주도하고 국제국장을 맡았다. [[5.16 군사정변]]을 일으켜 [[박정희]]가 정권을 잡자 해외에 있던 김철은 귀국하지 않고 그대로 유럽으로 망명하였다. 유럽에서 여러 사회주의 정당을 돌아다니며 현대적인 [[사회민주주의]]를 접했다. [[1964년]] 다시 귀국, 통일사회당 중앙위원장, 당수를 지내고 1970년 중립화 평화통일안을 내세우면서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기도 하였으나 야권 단일화를 위해 사퇴하였다. 1971년 광복절에 발표한 남북관계 개선과 평화통일 요구 성명 때문에 국가보안법 및 반공법위반 혐의로 구속되었으며, 1974년 '[[민주회복국민회의|민주회복국민선언]]'을 주도하였다가 1975년 긴급조치 위반으로 징역 2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복역하기도 했다. 1977년은 그에게 상징적인 해였다.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구명 요구로 석방되었고, 그해 겨울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동경 대회'에서는 한국의 김철을 위하여 [[빌리 브란트]] 의장과 [[프랑수아 미테랑]] 부의장 사이에 그의 자리를 마련해 두고 있었는데, 이는 고통받는 아시아 민주사회주의 운동의 상징인 그에 대한 특별 예우였다. [[1980년]] [[신군부]]의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제의를 받아들였다. 이것이 그의 일생에 오점으로 남게 되어, 그 후 민주화운동가, 노동운동가들은 김철을 변절자로 간주하여 어떠한 연계도 거부하였다. 정작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군부가 [[고정훈]]을 혁신계 대표로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23043|선택하는 바람에]], [[사회당(1981년)|사회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조종호]] 후보와 [[민주한국당]] [[서청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5년 [[신정사회당]]과 연합해 [[사회민주당(1985년)|사회민주당]]을 창당했으나, 1986년 전당대회에서 당수 자리를 내놓았고, 1987년 7월 '사회주의민중협의회'를 구성하여 활동하다가 1994년 8월 11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에서 [[지병]]으로 별세하였다. == 평가 == 민주적 사회주의를 투철하게 신봉하였지만 한국사회의 각 발전단계에 대한 치밀한 분석과 대중과의 결합을 위한 실천적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당운동을 발전시키고 다음 시기에 계승시키는 과제를 이루지 못하였고, 다만 민주사회주의이론을 보급하는 사상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38528|장상환 교수의 평가]] 사회주의자로서 사회민주주의와 민족주의를 지향하였으며 그 수순에서 1969년 통일사회당을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시키는 등 국제연대를 시도하였다. 하지만 신민당이 공화당을 대적하는 박정희 시대 정치 구도의 특성 상 김철의 통일사회당 운동은 한계가 있었고, 결국 김대중을 우회 지원하는 방식으로 정치적 지분을 행사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진보정당은 그저 공화당과 신민당 공천에서 탈락하거나 부정선거로 퇴출된 의원들의 패자부활 수단에 불과했다. [[참여정부]] 출범 이전까지 워낙 양당의 이념적 차이가 협애하다보니 신민당에서 공화당으로 서로 이권문제로 탈당하는 일이 예삿일이었다. 반공 , 극우로 유명한 [[김두한]]도 북유럽식 복지국가를 지향한다는 연설을 했으니...] 1980년대에는 국보위 입법위원으로 참여한 경력이 있어 전두환 정권에 들어서 혁신계가 전두환의 거수기 노릇을 했다는 비판이 있으며[* 실제로 전두환 정권 초기 강경 독재 시절에는 [[민주사회당(대한민국)|사회민주주의를 참칭하는 관제야당]]이 있었다.] 이로 인해 오늘날 어느 진보정당도 김철을 기리지 않는다. 비슷한 정치적 궤적을 걸은 인물로 강원룡 목사가 있다. == 자녀 == 특이하게 세 아들의 [[순우리말 이름|이름을 모두 순한글로 지었다.]] 당시의 시대상을 감안하면 상당히 앞서간 경우. 첫째는 김밝힘(1948년생), 둘째는 [[김한길]](1953년생), 셋째는 [[김누리(교수)|김누리]](1960년생) 이다. 장남 김밝힘은 기업가로 살다가 2016년에 사망했으며, 둘째 [[김한길]]은 언론인, 소설가를 거쳐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단, 정치노선은 아버지와는 다르게 중도우파에 가깝다. 셋째 [[김누리(교수)|김누리]]는 독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서 [[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인데, 아버지와 같은 [[사회민주주의]], [[진보주의]]적 정치 성향을 띠고 있다.[* 독일 유학 시절 [[유시민]], [[진중권]] 등과 교류했다고 한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8[* 성동구 을] || [include(틀:한국사회당(1960년))] || 1,626 (3.35%) || 낙선 (5위) ||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3> [include(틀:통일사회당)] || 104,975 (1.0%) || 낙선(7번) || || ||<|2> 1971 || [[제7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2> 후보 사퇴 || ||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97,398 (0.9%) || 낙선 (1번) ||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11[* 동작구] || [include(틀:사회당(1981년))] || 21,113 (12.68%) || 낙선 (3위) ||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대 총선 김철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대 대선 김철.jpg|width=100%]]}}} || || [[제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성동구 을|{{{#000000,#e5e5e5 (서울 성동 을)}}}]] || [[제7대 대통령 선거|{{{#000000,#e5e5e5 제7대 대통령 선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대 총선 김철.jpg|width=100%]]}}} ||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동작구|{{{#000000,#e5e5e5 (서울 동작구)}}}]]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조선민족청년단)] || 1946 - 1949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49 - 1952 || 탈당 || || [include(틀:자유당)] || 1952 - 1954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54 - 1960 || 당내 의견 차이로 탈당 || || [include(틀:한국사회당(1960년))] || 1960 - 1961 || 창당[br]정계 복귀 || || [include(틀:무소속)] || 1961 || 탈당 || || [include(틀:통일사회당)] || 1961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1 - 1967 || 정당 해산 || || [include(틀:통일사회당)] || 1967 - 1973 || 재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73 - 1981 || 정당 해산 || || [include(틀:사회당(1981년))] || 1981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81 - 1985 || 정당 해산 || || [include(틀:사회민주당(1985년))] || 1985 - 1988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88 || 정당 해산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988 - 1991 || 입당 || || [include(틀:신민주연합당)] || 199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1 - 1992 || 합당[* [[민주당(1990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2 - 1994 || 탈당[br]정계 은퇴[br]사망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철, version=26)]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당 대표/대한민국]][[분류:경흥군 출신 인물]][[분류:1926년 출생]][[분류:1994년 사망]][[분류: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분류:실향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