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원불교|{{{#221f20 원불교}}}]] [[교무|{{{#221f20 교무}}}]]''' [br] {{{#221f20 {{{+1 '''김충식'''}}}}}}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순산 김충식.jpg|width=100%]]}}} || ||<|2> {{{#221f20 '''출생'''}}} ||[[1974년]] [[6월]] || ||[[전라북도]] [[정읍시]] 장명동 || ||<|2> {{{#221f20 '''사망'''}}} ||[[2005년]] [[1월 9일]] (향년 31세)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노스아보카 해변 || || {{{#221f20 '''법호'''}}} ||순산(殉山)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속명''' ||김상훈 || || {{{#221f20 '''출가'''}}} ||2001년 || || {{{#221f20 '''학력'''}}} ||[[원광대학교]] 교학대학 {{{-2 (원불교학 / 학사)}}} ||}}}}}}}}} || [목차][clearfix] == 개요 == [[원불교]] [[교무]]. 파도에 휩쓸린 연수생을 구하고, 자신은 순교했다. == 일생 == 1974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출가했다. 포항교당 근무를 하고 2004년, 시드니교당에 부임해 청소년 담당교무가 됐다. 김 교무는 2005년 1월 2일부터 16일까지 원광대학교 어학원이 주최하는 어학연수 프로그램에 참가 중이던 원광대생 6명과 인솔교사 1명을 현지에서 안내 중이었다. 9일 오후 2시 30분경(현지 시간) 노스아보카 비치에서 물놀이를 하던 한 연수생이 파도에 휩쓸린 것을 보고 망설임 없이 바다로 뛰어들었다. 연수생을 구해냈으나 정작 자신은 빠져나오지 못했고, 1시간 뒤 쯤 인근 해변에서 시신으로 발견됐다. 2005년 1월 14일 새벽 4시 40분경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 김 교무의 시신은 공항에서 간단한 추도식을 마친 후, 오전 11시경 [[원불교 중앙총부]]에 도착해 좌산 [[이광정]] 종법사를 비롯한 교도들의 추모가 시작됐다. 중앙총부 공덕원에 마련된 빈소 교도들과 시민들이 찾아와 김 교무의 열반을 추모했다. 좌산 [[이광정]] 종법사는 영가를 위로하며 ‘순산(殉山)’이란 법호를 내리고 "자기 희생과 구원이라는 순교를 실천해 만천하에 보인 김 교무의 장한 뜻이 교단과 사회 곳곳에 미쳐가기를 염원한다"고 말했다. 김충식 교무는 2005년 [[보건복지부]] 의사상자심사위원회를 통해 국가 의사자로 추존됐고, 같은 해 제9회 전북무궁화대상 정의부문상에 선정됐다. [[분류:1974년 출생]][[분류:2005년 사망]][[분류:정읍시 출신 인물]][[분류:교무]][[분류:원광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