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태균/별명)] [include(틀:김태균/별명)] [목차] == 개요 == 한화 이글스의 간판타자 김태균의 별명을 모아둔 문서이다. == 목록 == * '''김체벌''': 웨이트 트레이닝 중 찍힌 사진이 체벌 받는 모습처럼 찍혀서 붙은 별명. * '''김멋쩍''': 개막 넥센전에서 장타를 쳤지만 홈런인줄 알았던지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412325&gameId=20180324HHWO02018&listType=game&date=20180324|설렁설렁뛰다가 2루에서 잡혀버렸고]], 이후 멋쩍게 웃어 생긴 별명. * '''김TK''': 새로 바뀐 응원가에 TK가 들어가서 생긴 별명. * '''김질주, 김과속, 김퍼소닉''': 단타성 타구에 1루에서 3루까지 전력질주하고도 살아남아서 붙은 별명. * '''김고민''': [[주간야구(SBS Sports)|주간야구]]에 가을야구에 참가하지 못해 고민이 있다고 하면서 주간야구가 네이밍한 별명. * '''김구라, 김사기''': 말로만 가을야구 간다고 거짓말해서 미안하다고 하여 붙은 별명.~~근데 진짜 갔다.~~ * '''김실책, 김뜬공, 김[[히 드랍 더 볼|드랍 더 볼]]''': 3월 27일 NC전 높이 뜬공을 잡지못하고 3점을 헌납하는 바람에 생긴 별명. * '''김하늘, 김플라이''': 위의 [[내야뜬공]]을 잡지못하고 하늘만 바라봐서 생긴 별명. * '''김머쓱, 김꿀잠, 김낙천''': 27일 실책에도 주전 1루수는 김태균이라는 감독의 말에 머쓱해하며 그래도 잠은 잘 잤다는 인터뷰가 뜨자 생성된 별명. * '''김주춤''': 땅볼을 잡으려다 주춤거리자 허구연 해설이 직접 만들어준 별명. * '''김비킴, 김비켮, 김비켜 2018, 김양보''': 뜬공을 놓친 경기의 다음날인 3월 28일. 비슷한 뜬공 상황에서 정근우가 김태균을 밀어내며 뜬공을 잡자 생긴 별명. 기존에 있던 김비켜의 변형. * '''김리버스, 김속죄, 김깔끔, 김수비''': 28일 경기에서 ~~아무도 기대 안 한~~ 깔끔한 3-4-3 리버스 더블플레이를 해내자 전날 실책에 대한 속죄 플레이를 했다며 붙은 별명. ~~평범한 수비도 호수비가 되는 클라쓰~~ * '''김당구, 김맛세이, 김쿠션''': 28일 2루 베이스를 맞추는 타구로 불규칙 바운드된 안타를 치자 붙은 별명. * '''김과학''': 4월22일까지 김태균 1군에 있는 동안 2승 10패를 기록하며 패배의 아이콘이 되자 붙은 별명. 정작 4월 1일 김태균이 부상으로 빠진 후 8승 2패를 기록하였다. * '''김겸손''': 5월 8일 넥센전에서 마무리 조상우의 155km 유인구성으로 완벽한 공을 본인의 완벽한 컨택능력으로 안타를 만들어냈는데 그 공이 실투였다며 겸손하게 인터뷰를 하여 붙여진 별명.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410&aid=0000469089| #]] * '''김방심''', '''김관성''', '''김흔들''': [[5월 11일]] [[NC 다이노스|NC]]와의 경기에서 2루타 후 관성에 못이겨 오버런 하여 [[2루수]] [[지석훈]]에게 '''태그아웃''' 당하며 무사 2루가 1사 주자 없는 상황이 되자 붙여진 별명. * '''김연기''', '''김배우''': 5월 15일 KT전에서 잡는듯이 연기해서 붙여진 별명.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428594&redirect=true|#]] * '''김신성''', '''김격투''', '''김거만''': 기자가 야구기사 목록의 격투기선수 김태균기사를 썼고, 기사 내용이 거만해서. * '''김워스트''': 5월 18일 LG전에서 9회까지 100% 출루율을 자랑하다 막판에 결정적인 병살타를 치면서 '워스트 플레이어'에 선정되면서 붙여진 별명.. * '''82년생 김태균''': 어원은 당연히 [[82년생 김지영]]. 다만 책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고 김태균이 82년생이라는 점에서 붙여진 별명. * '''김스타''': [[5월 23일]] 두산전 경기에서 동점에서 1점차로 앞서나가는 홈런을 치자 [[KBS N SPORTS|중계방송사]]에서 "이글스 프렌차이즈 스타 김태균"이라는 글귀가 적힌 사진을 내보내서 생긴 별명. * '''김기록, 김2000''': 5월 26일 KBO리그 역대 10번째 '''300홈런'''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메릴 켈리]] 상대로 기록] 5월 27일 한화 프랜차이즈 최초 '''2000안타'''-5[* 우타자로는 3번째로 일본프로야구 기록까지 합하면 2017년에 이미 2000안타를 달성하였다. 의외로 [[장종훈]]은 1771안타를 끝으로 은퇴하여 2000안타를 기록하지 못하였다.][* 또한 [[양준혁]], [[이승엽]]에 이어 300홈런-2000안타를 기록한 세번째 선수이며 우타자로는 최초이다.]를 기록하여 붙은 별명. 그리고 3,000타석 이상 기록한 선수 중 통산 타율이 [[장효조]](0.331), [[손아섭]](0.3253)에 이어 0.325로 3위에 올라 있다.[[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96&aid=0000480945|#]][[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05&aid=0001100890|#]] 이후 7월 8일 SK전에서 채병용을 상대로 안타를 때려내며 우타자 역대 3번째 2,000안타 클럽에 가입했다. * '''김꾸준''': 위의 김기록처럼 꾸준히 해서 기록을 쌓았기에 붙은 별명. * '''김쇼타''', '''김페도''', '''김불법''','''김아청''', '''김00''': 경기 전 2000년생 막내 정은원의 귀에 바람을 불며 장난치는 모습이 포착되어 붙은 별명. * '''김폴짝''': 7월 17일 송광민의 높게 준 송구를 점프해서 잡아 생긴 별명 * '''결순김''', '''김해결''': 결정적인 순간에는 늘 김태균이 있었다. 이 문장을 줄여 결순김으로 많이 부른다. 사진과 별명 자체는 원래 있었지만, 10월 13일 결승타 이후로 많이 보인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anwhaeagles_new&no=1242365|#]] 10월 22일 준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결승타로 11년만의 가을야구 승리까지 안기면서 당분간 유행할 듯. 팀의 4번 타자로 오래 있던 탓인지 본인도 이 별명은 꽤 맘에 들어하는 듯. * '''김빅픽쳐''': 10월 22일 준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9회초 [[이보근]]의 초구를 때려 결승타를 만들었다. 평소 초구를 치지 않기로 유명한 김태균인데, 이 날 결승타를 위해 1년간 초구를 거르며 빅픽쳐를 그렸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별명. * '''퓨마 사료''': 김태균이 한창 부진했을때 그즈음 [[대전 오월드 퓨마 탈출사건|동물원에서 탈출한 퓨마]] 사료나 되라는 뜻에서 나온 별명 [[분류:김태균/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