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uze.8b219441.jpg|width=100%]]}}} || ||<-2> [[Gen.G Esports#s-5|{{{#a68a0f '''前 Gen.G Elite Academy OW 코치[br]{{{+1 Fuze}}}'''}}}]] || ||<-2> '''{{{#000 김태훈(Kim Tae-hoon)}}}''' || || '''{{{#a68a0f 생년월일}}}''' || [[1999년]] [[4월 14일]] ([age(1999-04-14)]세) [br] [[전라북도]] [[전주시]] || || '''{{{#a68a0f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a68a0f ID}}}''' || Fuze || || '''{{{#a68a0f 포지션}}}'''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upport || || '''{{{#a68a0f 모스트 픽}}}''' || [[루시우(오버워치)|[[파일:루시우 초상화.png|width=30]]]] [[메르시|[[파일:메르시 초상화.png|width=30]]]] [[아나(오버워치)|[[파일:아나 초상화.png|width=30]]]] || || '''{{{#a68a0f 소속 팀}}} || [[MVP Infinity]] (2017.5.23 ~ 2017.7.27) [[파일:MVP_logo_100_100.png|width=25]] [[MVP(프로게임단)/오버워치|'''MVP Space''']] '''(2017.7.27 ~ 2019.1.5)''' '''[[Gen.G Esports/오버워치|Gen.G]]''' '''(2019.2.22 ~ 2019.7.2)''' [[파일:FUN_logo_nofont.png|width=25]] [[퓨전 유니버시티]] (2019.7.30 ~ 2019.10.31)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width=25]] [[런던 스핏파이어]] (2019.10.31 ~ 2021.01.06) [[Gen.G Esports#s-5|[[파일:Gen.G 로고 심플.svg|width=20]] Gen.G Elite Academy]] OW 코치 (2021 ~ 2022.9.1) || || {{{#a68a0f '''외부 링크'''}}} || [[https://www.twitch.tv/ow_fuze|[[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w_fuze,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前 [[런던 스핏파이어]] 소속 MAIN SUP. [[GGA]][* [[젠지 글로벌 아카데미]](Gen.G Global Academy)의 약자] 오버워치반 코치로 활동했었다 (2022년 9월 1일 퇴사) == 커리어 == ||<-5> '''{{{#white 준우승 경력}}}''' || ||<-5> '''{{{#gold 오버워치}}}''' || ||<-5>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1]] 정규시즌 준우승[br][[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2]] 정규시즌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MVP Space''' || → || [[Team BlossoM]] || ||<-5> [[NetEase Esports X Tournament|2019 오버워치 NeXT Cup Spring]] 준우승 || || [[LGD Gaming/오버워치|LGD Gaming]] || → || '''Gen.G Esports''' || → ||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 == 행적 ==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오버워치 APEX 2부리그인 챌린저스에서부터 개근한 상당히 프로세계에 오래 있던 선수이다. 하지만 하필 처음 몸담은 팀이 다른 선수들의 대리 논란으로 몰수패 당하고 해체되어 다른 팀들을 전전하다 MVP infinity에 들어오는데, 플레이가 좋았는지 1부 팀인 MVP space에 들어와 APEX 1부 리그 선수에 편입되었다. 엘미의 Undine와 함께 MVP에서 힐러명가라는 타이틀을 얻은 주역이었으나 계약 만료로 방출되어 [[서울 다이너스티]]의 아카데미 팀인 젠지에 들어오게 되었다. 이후 젠지에서 나와 5주차나 되던 시점에 [[퓨전 유니버시티]]에 갑자기 등장하였다. 퓨전이 플레이 오프에 진출을 했지만 간신히 6위권으로 잔류는 성공했지만 다시 팀을 나와 컨텐더스가 아닌 리그팀인 [[런던 스핏파이어]]에 합류했다는 오피셜이 나왔다. == 플레이 스타일 == 솜브라의 EMP에 소리방벽이 지워지기에 솜브라가 있으면 캐을 못추던 이전의 루시우들과 달리 오히려 숨어있다가 EMP 이후에 소리방벽을 사용하여 역카운터를 치는 방법을 보여준 최초의 선수이다. 이후 이런 역카운터 플레이는 많은 루시우 플레이어들에게 중요한 플레이가 되었다. 평시에는 공격적인 플레이로 평타와 근접공격을 이용하여 딜러들을 자르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Fuze의 가장 위협적인 부분은 '''낙사'''이다. 물론 루시우가 낙사를 시키는 것은 흔하지만 낙사각을 정말 잘 보는 선수 중 한 명이다. == 기타 == * [[애틀랜타 레인]] 소속 [[김태훈(2001)|에디슨]] 선수와 [[동명이인]]이다. *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에서 전리거들 보다도 좋은 모습을 많이 보여주어 4강 탈락을 아쉬워하는 팬들이 많다.확실히 본인은 안정적인데 탱커들의 기복이 너무 들쑥날쑥해 고통받는 힐러라서 그런듯 하다. * 인터뷰에 모습을 거의 드러낸 장면이 없을 정도로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 2021년에 은퇴를 고려하고 있다는 트윗을 올렸다.[[https://twitter.com/ow_fuze/status/1351452066879664132|#]][[https://twitter.com/ow_fuze/status/1351452068318363655|#]] * 2021년에 [[Gen.G Esports#s-5|젠지 글로벌 아카데미]]의 오버워치 코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 첫팀에서는 fuze가 아닌 rabia로 활동했다 * [[GGA]] 학생들 피셜 학생들과 빠대하는걸 싫어하는 코치님.[* 이건 아마 너무 많은 학생들이 수업마다 요청하는 탓에 이젠 힘들어 못 해주는 듯 하다.] * [[Gen.G Esports#s-5|젠지 글로벌 아카데미]]에서 퓨즈코치님께 배웠던 학생들이 만든 퓨즈란 단어가 들어간 닉네임 바리에이션이 꽤 많다고 한다.[* 아기고양이퓨즈,군대나라퓨즈공주,코끼리가 울면 쀼우우우즈,잠자는숲속의퓨즈,김태훈을잊는법,goddesfuze(여신퓨즈) 아기공주천사퓨즈, 퓨즈는못말려,아기는햄스터퓨즈 등등] [[분류:1999년 출생]][[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