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포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포81-1.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김포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김포시 일반형버스 81-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김포 81-1 노선도_2.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학운리(학운2리 마을회관) ||<-2> 종점 ||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롯데마트 계양점(고용복지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4:20 ||<|2> 기점행 || 첫차 || 05:10 || || 막차 || 22:10 || 막차 || 23:50 || ||<-2> 평일배차 || 10~15분 ||<-2> 주말배차 || 20~30분 || ||<-2> 운수사명 || [[선진버스]] ||<-2> 인가대수 || 43대[* 실제로는 37대로 운행한다.] || ||<-2> 노선 ||<-4> 학운2리마을회관 - 양지사 - 이젠테크노존 - 퍼스트타워 - 금빛마을·자연앤아파트 - 학운11리마을회관 - 향동·해병2사단 - 구래리 - 한강센트럴블루힐 - [[구래역]] - 김포한강신협 - 고다니마을7단지 - 곡촌3단지 - 신양초등학교 - 운곡마을 - [[장기역]] - 캐널시티 - 전원마을1단지 - 전원마을3단지 - 샘재마을 - 걸포초등학교 - 김포우리병원 - 북변환승센터·구 [[터미널]] - [[사우역]]·[[김포고등학교]] - 길훈4차아파트 - 수행마을 - 유현마을·신동아아파트 - 다남식당 - [[계양역]] - 계양중학교 - [[귤현역]] - 귤현감리교회 - 동양자이입구 - 동양주공1·2단지 - [[박촌역]] - 청소년수련관.어린이과학관 - [[임학역]] - [[롯데마트|롯데마트계양점(고용복지센터)]] || ||<-2> {{{#fff '''중간 출발 정류장'''}}} || || '''롯데마트 계양점(고용복지센터)''' 방향 || 구래역, 신양초등학교, 장기역.신영아파트, 전원마을3단지 || || '''양촌산업단지''' 방향 || 없음 || == 개요 == [[선진버스]]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0.0km다. [[http://map.naver.com/?busId=13024&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1년 2월 4일에 [[김포 버스 81|81번]]에서 분리되었다. * 개통 당시에는 '양곡터미널 - 석모리 - 장기상가 - 장기고 - 중앙공원 - 김포경찰서 - 한옥마을 - 오스타파라곤 - 김포고' 구간을 지나 81번과 100% 동일하게 운행되는 노선이었다. 장기지구 구간은 장기고 때문에 ㄷ자로 꺾이는 걸 제외하면 현재의 [[김포 버스 101, 102|101번, 102번]]의 형태이다. 이 당시에는 20~30분으로 오는 버스였다. * 2011년 6월 7일에 [[한강신도시]]에 초당마을 우남퍼스트빌과 수정마을 쌍용예가 입주하면서 도로가 개설되어 가현초를 지나 장기사거리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또한 양곡까지 다니던 노선을 양촌산업단지로 연장하였다. * 2011년 10월 3일에 계양역 이후로는 [[김포 버스 81|81번]]과 중복되어 수요 간섭이 심하다는 안건이 제시되어 종점이 부평역에서 이마트로 단축되었다. * 다남교 인근 공사로 인해 도로가 통제되면서 2011년 12월 16일부터 2012년 2월 15일까지 계양대교로 우회하였다. 2월 16일부터 다시 다남교와 계양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 2012년 3월 6일부터 귤현지구와 동양지구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김포 버스 20|20번]]의 노선 변경으로 운양고등학교 학생들의 통학 문제가 발생하여 81-1번이 걸포동과 모담마을을 거치도록 변경될 예정이였으나 서울 출퇴근 문제가 우선인 걸포동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해당 구간은 81-1번을 대신하여 [[김포 버스 388|388번]]이 투입되었다. * 2016년 7월 6일부터 13일까지 나진검문소 대신 전원마을, 샘재마을, 오스타파라곤을 경유하도록 변경하는 안건에 대한 의견을 받았다. 이후 안건이 확정되어 8월 10일에 노선이 변경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238086|관련 게시물]] 또한 3대가 증차되어 인가대수가 35대로 늘었다. * 2016년 10월 11일부터 2016년 10월 21일까지 기점인 양촌산업단지 구간의 굴곡을 줄이고 '운곡마을~은행연립' 구간을 기존 마을길에서 대로변으로 이전하고자 일부 정류장은 옮기고 일부는 폐지한다는 안건에 대한 의견을 받았다. 이후 대로변 경유가 확정되어 2016년 12월 3일에 변경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264105|관련 게시물]] * 2018년 7월 1일에 '이젠~지난마을' 구간이 '호수초교~지난마을'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무산되었다. * 2020년 6월 13일부터 '롯데마트계양점 - 계양구청 - 계산공고 - 이마트계양점' 구간이 단축되었다. [[http://m.dcinside.com/board/transit/238821|관련 게시물]] 단축되는 구간은 [[김포 버스 841|841번]]이 연장되며 841번으로 4대가 차출되었다. * 2022년 2월 기점이 '이젠테크노존'에서 '학운2리마을회관'으로 연장 되었다. * 2022년 9월 18일 08:30부터 12:00까지 [[http://www.gimporun.co.kr|제10회 김포한강마라톤 대회]]로 사우지하차도를 통해 우회 운행하여 '사우역.김포고' 정류소가 양방향 임시정류소[* '돌문마을입구' 정류장과 사우동 육교 인근에 위치.]에 정차했다. [[https://www.gimpo.go.kr/u/18602|교통정보 알림사항]] * 2023년 4월9일 08:50부터 11:50까지 [[https://www.all-con.co.kr/view/contest/492090|제11회 김포한강마라톤 대회]]로 사우지하차도를 통해 우회 운행하여 '사우역.김포고' 정류소가 양방향 임시정류소[* '돌문마을입구' 정류장과 사우동 육교 인근에 위치.]에 정차했다. == 특징 == * [[선진버스]]를 대표하는 노선이다. 노선이 길고 [[굴곡 노선/버스/경기도|선형도 좋지 못하지만]] 수요가 많은 지역만 골라서 지나가기 때문에 수요가 많다. (특히 석모로~장기동구간은 사실상 독점구간이다.) * 81번과는 다르게 [[계양구]] [[장기동(인천)|장기동]] 내부는 경유하지 않고 바로 다남교에 진입한다. 반면 [[김포 버스 81|81번]] 버스는 바로 장제로로 진입하지만, 81-1번 버스는 [[김포 버스 841|841번]]와 함께 [[굴곡 노선/버스/경기도|귤현지구와 동양지구로 중간에 들쑤시고 다닌다.]] * [[김포시]]와 [[계양구]]를 훓고 다닌다. [[김포시]]는 양곡지구와 구래지구, 장기지구, 모담마을, 걸포동을 지나 구도심을 지나는 반면 [[계양구]]는 귤현지구, 동양지구, 계산지구 내부를 모두 경유한다. 기점인 이젠에서 종점인 계산동 롯데마트까지 2시간 20분에 달하는 긴 시간이 소요된다. 임학역/박촌역/귤현역/계양역 일대에서는 전철을 타고 검단사거리역까지 가서[* 1호선→계양역 공항철도→검암역 2호선] [[김포 버스 1|김포 1번]], [[김포 버스 90-1|90-1번]]으로 환승하면[* 계양3동에서는 [[김포 버스 841|841번(정류장명 검단출장소)]]을 타고 검단사거리로 가서 김포 1번, 90-1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산업단지로 더 빠르게 진입할 수 있다. 반대로 [[김포시]]에서 계산동으로 올 때는 계양역에서 전철이나 [[인천 버스 30|30번]], [[김포 버스 81|81번]], [[인천 버스 급행97|급행97번]]으로 갈아타면 15분 가량을 절약할 수 있다. * 김포의 주요 시가지는 물론 김포의 주요 고등학교인 양곡고, 솔터고, 장기고, 운양고, 김포고, 풍무고를 모두 경유한다. 81-1번에서 8시 10분을 맞이하면 순식간에 버스가 사람이 설 공간도 찾기 힘들만큼 학생들로 가득찬다. 장기동 학생과 풍무동 학생은 7시 50분, 사우동 학생은 8시 5분, 수정마을 학생은 8시 15분 정도에 타야 쾌적한 81-1번을 이용할 수 있다. 장기고나 솔터고 학생이라면 조금 돌아가긴 하지만 [[김포 버스 60-3|60-3번]]을 타면 더 쾌적하게 갈 수 있다. * 또한 양촌산업단지를 경유하여 [[김포 버스 90-1|90-1번]]처럼 산단 내부까지 깊숙히 들어가지는 않더라도 출퇴근 수요가 많다보니 학운리 구간은 근로자들로 가득찬다. 추가로 석모로 구간에도 대규모 한강신도시 [[지식산업센터]]가 새로 생기면서 근로자 수요가 앞으로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선진버스]]의 구래리차고지가 아닌 [[김포운수]]의 대포리차고지에서 충전한다.[* 학운리에서 두 곳 모두 멀지 않지만, 구래리(2.1km)로 가기 위해서 대포리(1.5km)를 거쳐야 하는 경로 뿐이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대포리에서 충전하는 것.] * 거리비례요금 징수 노선이므로 현금 승차 시 기사에게 미리 목적지를 말하고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 코로나 이후 많은 김포 시내버스가 감차되었지만, 81-1번은 휴차차량이 거의 없어 자유로운 상황이다. 평일 낮시간대에도 여전히 10분 내외로 배차간격이 준수하다. * 운행 소요시간이 길다 보니 종점에서의 막차가 새벽 1시에 출발하여 [[심야버스/대한민국|심야버스]]의 기능을 하고있다. 그리고 인천에서 김포 진입 후 한강신도시 구간은 거의 새벽 2시가 되어 통과하는 경우가 많다. === 사건사고 === * 2017년 10월 9일에 김포시청에 진입하기 전에 버스가 2차로에서 4차로로 방향지시등 점멸 없이 차로를 급히 변경하다가 4차로의 승용차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00498|2017년 11월 25일에 방영한 SBS 비디오머그]]에서 나오듯이 [[한문철]] 변호사는 81-1번의 100% 과실 의견을 제시하였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GoldLine_icon.svg|width=17]] [[김포 골드라인]]: [[구래역]], [[장기역]], [[걸포북변역]], [[사우역]] * [[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계양역]], [[귤현역]], [[박촌역]], [[임학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계양역]] [[분류:김포시의 시내버스]] [[분류:2011년 개업한 버스 노선]] [[분류:인천광역시를 경유하는 경기도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