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김포시의 경전철, rd1=김포 도시철도)] [include(틀:폐선)] {{{+1 [[金]][[浦]][[線]] / Gimpo Line}}} [목차] == 개요 == [[파일:/storage/upload/2006/02/64/sklee0130_1140288359.jpg]] [[경기도]] [[부천역]]과 [[김포국제공항]]을 연결하던 [[화물철도]] 노선. == 역사 == [[1951년]] [[6.25 전쟁]]이 한창이던 때에 [[미군]]이 군수물자와 물류수송을 목적으로 부설했다. 하지만 가끔 부정기 화물 정도가 다니는 정도였고, 군사용 화물 수송 노선이었으므로 일반인들에게는 그 존재 자체가 많이 알려지지 않은 노선이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자동차 보급 및 이를 이용한 운송이 대폭 늘어나면서 [[1980년]] [[7월 1일]]에 도로교통에게 역할을 위임하고 [[폐선]]되었다.[*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115980#14|1980년 철도청고시 제17호.]]] == 흔적 == [[파일:내리ic.png]] 노반 등의 흔적은 거의 찾을 수 없으나 심곡고가부터 시작해 계남고삼거리까지 이어지는 현재 명칭 심중로 도로가 [[부천역]]에서 분기하는 김포선 선형의 흔적이며, 이후 부천아이파크 2단지부터 [[부천테크노파크]]단지 입구까지의 석천로 도로, 부천테크노파크 3차단지 입구부터 한국화장품사거리를 지나 [[경인고속도로]] [[부천IC]] 인근에 있는 작은 굴다리를 거쳐 오정동 시가지를 거쳐 대장동입구삼거리에 이르는 N자형 길이 과거 김포선의 흔적이다. 참고로 [[부천IC]]가 생기기 전에 김포선은 지금의 부천IC 중앙을 관통했다. 위의 항공사진에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김포선 노선도에 [[약대역]]이라는 명칭이 등장하는데, 이름만 남아있으며 실제 역의 위치, 흔적, 역사, 용도 등에 대한 정보는 전무한 상태이다. 다만 [[1970년대|1970]]~[[1980년대|80년대]] 당시의 [[부천시]] 지도에 약대역이라고 표기된 위치와 현재 위치를 대조해 보았을 때 약대역은 현재 부천테크노파크4단지와 부천아이파크 아파트 사이 도로 근처 쯤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http://dmaps.kr/kxea|약대역 추정지 로드뷰]] [[2023년]] 지금도 김포선의 흔적이 남아 있다. [[39번 국도]]([[오정로]]) 주변이 바로 김포선이 있었던 지역. [[https://map.naver.com/v5/entry/address/14114728.808636148,4514073.793080989,%EA%B2%BD%EA%B8%B0%EB%8F%84%20%EB%B6%80%EC%B2%9C%EC%8B%9C%20%EC%9B%90%EC%A2%85%EB%8F%99%2032-4,jibun?c=19,0,0,2,dha&p=bKjawp2vMLhq_80ZlGb3ew,127.52,-8.61,80,Float|해당 위치]]에 펜스가 쳐져 있는 곳이 구 김포선 철도 노반이다. == 여담 == * 캘리포니아 도서관 지도실에 보관되어 있는 미 육군지도부가 [[1976년]] [[11월 8일]]에 [[http://gall.dcinside.com/train/642642|제작한 지도]]에는 [[양천구]] [[목동(서울)|목동]] 방면으로 분기되는 지선 철도가 있었던 것으로 나오는데, 사실 철도가 아니라 수도관을 지도에 잘못 표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지적도를 보면 해당 부지들의 지목이 '수'로 되어 있다. [[부천시]] 오정동의 630번지 및 161번지 일원, 고강동의 325번지 일원의 지적도를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고강동에서 서울 신월동으로 넘어가는 곳에 과거 신월정수장이었던 서서울호수공원이 있다.] 이 역시 그 흔적이 남아 있는데, 위에서 언급한 부천IC 인근의 굴다리 앞에서 시작해 부천로459·460번길~(단절)[* 지적도를 보면 해당 부지 선형을 따라 지번이 부여되어 있다.]~성오로160번길~소사로807·808번길~성지로111·112번길~역곡로489·490번길~(단절)[* 앞서 언급한 서서울호수공원(구 신월정수장)이 있는 곳이다.]~남부순환로65길~월정로17길~강서로5나길~신정중앙로~오목로로 이어진다.[* 실제로 신정중앙로부터는 과거 경인간 대형 수도관이 지나던 곳이었기 때문에, 철도가 아닌 경인수도관의 지선 수도관일 가능성이 있다.] 자세한 것은 [[경인수도]] 참고. * 그런데 노선을 잘 생각해보면, 부천에는 미군기지가 있었으니까 일종의 인입선로로 임의로 부설했다가 없앤게 아닐까 추정하고 있는 듯 하다. [[경인고속도로]]가 이 목동지선이 철거된 후 남아있던 노반의 일부를 따라서 확장해 만들어진 것이기도 해서... [[1968년]]에 착공한 고속도로 치고 굉장히 일직선으로 뻗어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 현 [[행정구역]] 상으로는 [[김포시]]를 단 1mm도 지나가지 않는 노선이지만, 부설 당시에는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동 일대가 김포군에 속해있었다. 또한 [[부천시]] 북부(옛 [[오정구]] 지역)에 해당되는 당시 부천군 오정면 역시 [[1973년]] 부천시 승격과 함께 해체되면서 2년 동안 김포군에 편입되어 있기도 했다. == 부활 관련 == [[파일:external/www.newsbucheon.net/2666_4382_1422.jpg]] 상기의 지역은 오정리(현 [[오정동]]) 부근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인천공항철도]]와 관련해서 간혹 김포선 떡밥이 등장한다. '이걸 폐선시키지 않고 여객용으로 사용했으면 어떨까?' 하는 건데, 물론 비전철 단선인데다가 지어진 지 워낙 오래 돼서 선형도 많이 안 좋았고, 폐선 당시엔 거의 [[노면전차]] 수준으로 시가지를 여기저기 쑤시고 가는 모양이기도 했으며, 무엇보다도 [[서울특별시]] 도심 쪽으로 들어가는 노선이 아니었기 때문에 실현되었을 확률은 한없이 0에 수렴한다. 더군다나 이 당시 부천은 농촌지대였다. 현재의 [[부천시]], 그러니까 [[아파트]]로 도배된 부천시는 [[1990년대]]에 [[중동신도시]] 등 대규모 택지개발을 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그러니 기름을 운반하는 역할만 가능했던 노선이 기름을 나를 이유가 없어지자 폐선된 것이다. [[파일:부천경전철.jpg]] 90년대에 부천 경전철을 추진하면서 김포선과 유사한 [[소사동]](현재의 [[소사본동]])~[[공항동]] 구간을 2호선으로 계획했다.[* 이 중 1호선은 [[부천트램]]으로 추진 중이다.] 이후 소사동~공항동 구간은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소새울역|소새울]]~[[김포공항역|김포공항]]으로 대체되었다. 다만 김포공항의 화물 수송 전용 지상 노선인 김포선과는 달리 이쪽은 여객 수송이 주 목적이고 화물도 김포공항의 것은 취급하지 않는 지하 노선이며, 부천에서 출발하여 김포공항으로 간다는 점만 비슷할 뿐, 경로는 상당히 다르다.[* 김포선의 중간역인 약대역 추정위치만 봐도 대곡소사선의 비슷한 포지션인 [[원종역]]과 직선거리로만 3.5㎞가량 떨어져 있으며, 정작 약대역과 제일 가까운 것은 [[서울 지하철 7호선]]의 [[부천시청역]]이다.] == 역 목록 == * 로마자 역명은 당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랐다. || km || 역 명칭 || 한자 || 로마자 || 분기선 || 기타 || || 0.0 || [[부천역|부 천]] || 富 川 || Bucheon || [[경인선]] || || || ?.? || [[약대역|약 대]] || 若 大 || Yagdae || || || || 9.2 || [[김포역|김 포]] || 金 浦 || Gimpo || || || [[분류:김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