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金海市廳驛 / Gimhae City Hall Station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김해시청역'''}}} || ||<-3> [[부산김해경전철|[[파일:BGL_logo.svg|width=30]]]] || || [[사상역(도시철도)|{{{#585858,#a7a7a7 {{{#!html
사상 방면
}}}}}}]][[인제대역|인제대]][br]← 1.0 ㎞ || [[부산김해경전철|{{{#FFFFFF {{{#!html
부산김해경전철
(14)
}}}}}}]] || [[가야대역|{{{#585858,#a7a7a7 {{{#!html
가야대 방면
}}}}}}]][[부원역|부 원]][br]0.6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김해시청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imhae City Hall || || [[한자]] ||<-2> 金海市廳 || || [[간체자]] ||<-2> 金海市厅 || || [[가나(문자)|가나]] ||<-2> [ruby(金海市庁, ruby=キムヘシチョン)] || ||<-3> '''주소''' || ||<-3>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 2408 ([[부원동(김해)|부원동]]) || ||<-3> '''운영 기관''' || || [[부산김해경전철|{{{#ffffff {{{-1 부산김해경전철}}}}}}]] ||<-2> [[부산-김해경전철(기업)|[[파일:bglrt_logo.png|width=100]]]] || ||<-3> '''개업일''' || || [[부산김해경전철|{{{#ffffff {{{-1 부산김해경전철}}}}}}]] ||<-2> 2011년 9월 16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김해경전철]] 14번.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 2408 ([[부원동(김해)|부원동]]) 소재, 폴사인의 상징은 김해시청 본관의 처마. == 역 정보 == 김해시청에서 잘 보이는 위치에 있다 보니[* 특히 [[높으신 분들]]께서 보고있다.] 다른 역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건설이 되었고 역 디자인도 약간 다른 편이다. 개통 이전 계획에서는 '김해'시청역이 아니라 지역명이 없는 [[시청역]]이었는데 [[부산 도시철도]]에 이미 존재하는 [[시청역(부산)|시청역]]과 혼동되는 중복역명이라고 대차게 까였고 결국 김해시청역이 되었다. == 역 주변 정보 == 북쪽으로는 [[김해시]]청과 [[김해고등학교]], 남쪽으로는 꽃집들과 [[차량등록사업소]], [[KBS부산방송총국|KBS 부산]] [[KBS 제1라디오|제1라디오]]를 송신하는 김해송신소[* [[한국방송공사|KBS]] 부산방송총국 소유. AM 891kHz. 김해 바로 옆 동네인 [[창원시]]에서는 별도의 제1라디오 AM 채널이 없어서, AM으로 1라디오를 들으려면 부산 쪽의 1라디오로 '''꼭''' 잡아야 한다.]가 있다.[*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여객기를 타고 김해국제공항으로 랜딩할 때 이 송신소 안테나가 바로 보인다.] == 일평균 이용객 == 김해시청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부산김해경전철|{{{#ffffff '''부산김해경전철'''}}}]] ||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3> 자료없음 || 2,379명 || 2,428명 || 2,464명 || '''2,481명''' || 2,360명 || 2,350명 || 1,654명 || || 2021년 || || 1,671명 || * 부산김해경전철은 기본적으로 승하차 집계를 공개하지 않지만 부산광역시에서 매년 실시하는 [[http://www.busan.go.kr/traffic/trafficcensus0101|교통조사 분석용역]]을 통해 전 구간의 수요를 공개하고 있다. * 시청이란 이름이 들어갔지만 하루 평균 2,350명(2019년 기준)으로 수요가 아주 저조한 역이다. 왜냐하면 양 옆의 [[부원역]], [[활천역]]과 다르게 역 남쪽으로 상권 및 주거지 개발이 이뤄지지 않았고, 김해시청 외에는 이렇다할 주요 시설이 없으며, 시청 옆에는 남산공원이 있어 역세권에 포함되는 주거지의 범위가 매우 좁게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양 옆으로 공영주차장이 조성되어 먼 곳에서 차를 끌고 오는 환승 수요가 일부 있기는 하나, 주차장 이용객 중에 열차를 타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아서 수요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 승강장 == ||[[파일:attachment/Gimhaec.jpg|width=100%]]|| || [[부산김해경전철]] 승강장 || ||[[파일:김해시청.png|width=100%]]|| || 역 안내도 || ||<-4> [[인제대역|인제대]]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부원역|부원]] || || {{{#ffffff 상}}} ||<|2> [[파일:BGL_logo.svg|width=17]] [[부산김해경전철]] ||[[김해대학역|김해대학]]·[[대저역|대저]]·[[공항역(부산)|공항]]·[[사상역(도시철도)|사상]] 방면|| || {{{#ffffff 하}}} ||[[봉황역|봉황]]·[[수로왕릉역|수로왕릉]]·[[박물관역(김해)|박물관]]·[[가야대역|가야대]] 방면||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김해경전철|{{{#ffffff BG}}}]] || [[평강역|평 강]] || ◁ || {{{#c0c0c0 김해시청}}} || ▷ || [[가야대역|가야대]] || == 연계 교통 == [include(틀:김해시청경유 버스)] == 기타 == [[내외동]], [[삼계동]]에서 [[인제대학교]]로 가려는 경우 [[인제대역]]보다는 이 역에서 하차하여 [[김해시 시내버스]]로 [[환승]]하는 편이 더욱 나을수도 있다. 이유는 인제대역에서 인제대로 빠르게 가는 노선은 [[김해 버스 7|7번]]이 유일한데 이 역에서는 [[김해 버스 1|1번]]과 [[김해 버스 1-1|1-1번]][* 이 두 노선은 인제대역으로 가지 않는다.]도 공동으로 경유하기에 버스를 잡아타는 측면에서도 낫기 때문.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김해경전철의 역 목록)] [[분류:2011년 개업한 철도역]][[분류:경상남도의 전철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김해경전철]][[분류:김해시의 교통]][[분류:김해대로]][[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