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남도의 버스 터미널)] [include(틀:김해시의 버스 터미널)] [[파일:external/db.kookje.co.kr/L20150108.22012193012i1.jpg]] 2015년 신 터미널 준공 후의 모습. 참고로 옆에 공사 중인 [[신세계백화점 김해점]]과 [[이마트 김해점]]은 2016년 완공되었다. [목차] == 소개 ==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 2232 ([[외동(김해)|외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보통 동명을 따라 '''외동터미널'''로도 불린다. 홈페이지가 따로 없었기 때문에 운행정보는 [[http://its.gimhae.go.kr|김해시 교통정보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모바일에서 시외, 고속버스 페이지로 가려면 PC판으로 전환해서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2018년 1월 초 [[http://www.gimhaeterminal.com/|새로 홈페이지를 만들었다]]. 이쪽은 모바일에서도 보기 편하게 나온다. 김해터미널이 운영하는 [[장유시외버스정류장]]의 운행정보도 확인 가능. 하지만 [[진영시외버스정류장]], [[장유고속버스터미널]]은 김해터미널에서 운영하는게 아니다보니 기존처럼 김해시 교통정보센터로 가야 한다. 김해터미널과 장유장류장 노선도 김해시 교통정보센터 홈페이지에서 동일하게 운행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역사 == === 서상동, 부원동 시절과 새벽시장 === 김해시에는 오래 전부터 마종여객과 [[김해여객|동신버스]]가 있었는데 정류장이 따로 있었다. 동신버스는 지금의 서상동 [[KB국민은행]] 인근에[* 맞은편이라는 증언도 있고 현 서원요양병원 자리라는 증언도 있다.], 마종여객은 지금의 농협김해시지부 맞은편에 있었다. 이 두 회사와는 별도로 시외버스 정류장이 서상동 [[신한은행]] 자리에 있었다. [[파일:external/www.gimhaenews.co.kr/1230_1936_222.jpg]] [[2011년]] 옛 터미널 자리에 들어선 새벽시장의 모습. 본격적인 장사가 시작하기 전이라 한산한 모습이다. [[1984년]] 산재해 있던 정류장을 통합해 [[부원역]] 앞인 [[부원동(김해)|부원동]] 606-3[* 도로명주소로는 [[김해대로]] 2351]에 동신버스 소유로 터미널을 지었다. [[2000년]] 터미널이 외동으로 이전한 후에는 새벽시장이 형성되어 나름 지역의 명물이 되었다. 그렇다고 아예 없던 것이 갑자기 생긴 것은 아닌데, 터미널이 있던 당시부터 새벽시장은 존재하고 있었고[* 당시에는 노점상들이 줄줄이 늘어선 수준이었다고 한다.], 오늘날의 모습을 가지게 된 것이 터미널이 옮겨가고 난 뒤의 일. 부지가 잘 팔리지 않다보니 부지소유주인 박용일 전 김해시의회 의장이 상인들에게 저렴하게 자릿세를 받아 생겼던 것. [[6시 내고향]]에도 나올 정도이다. 안타깝게도 박 전 의장 측이 새벽시장으로 사용하던 기존 부지에 대해 소유권 매각 절차를 밟은 후 현재는 [[부원역 그린코아 더 센텀|2개동 지하 5층, 지상 39층 규모의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섰다. 현재 새벽시장은 부원동과 동상동 소재 '''주차장'''에서 열고 있다고.(…) 정확하게는 부원동 [[롯데리아]] 옆, 동상동 동광[[우편취급국]] 건너편 주차장이다. 영업시간은 새벽 4시에서 정오까지. 공식적인 이전지는 동상동이지만 실질적 이전지는 부원동으로 본다고 한다. 동상동에 갔던 상인들 중 많은 수가 부원동으로 왔다고. 부원동 새벽시장은 민영 주차장에서 열리는데, 주차장 소유주가 손해를 감수하고 새벽시장을 열게 해주고 있다고 한다. === [[외동(김해)|외동]]으로의 이전과 터미널 신축 === [[파일:external/gimhaein.net/1846029060_0dvAoJFZ_DSC021540.jpg|width=500]] 2013년 초, 가건물로 운영 중일 때의 모습. [[1999년]] [[내외동]] 신도시 개발에 발맞춰 [[외동(김해)|외동]] 1264[* 도로명주소는 [[전하로(김해)|전하로]]304번길 24.]로 이전했다. 당시 [[부원동(김해)|부원동]] 터미널의 주인이던 [[김해여객|동신버스]]는 [[1997년 외환 위기|IMF]]로 인해 [[1998년]] 부도를 맞아 회사 자체의 존립이 위태로웠던 때였다.[* 결국 동신버스는 이듬해인 [[2000년]] 경상남도와 김해시에 의해 퇴출되고 [[천일여객]]을 중심으로 한 4개 회사가 현재의 [[김해여객]]을 설립하게 되었다.] 그래서 당시 김해시를 오가던 5개 시외버스 회사들이 연합해 '''김해여객터미널 주식회사'''를 설립해 터미널의 운영을 전담하게 했고 이 회사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중 일부 회사가 부도를 맞는 바람에 한동안 외동터미널에서는 [[고속버스 서울경부-김해|서울 ↔ 김해]] 노선과 [[대전복합터미널|대전]]행만 운행하고 나머지 시외 노선은 기존 부원동 구 터미널에서 운행하였다. 당시 터미널 건물은 건물이 낡고 비좁아 눈물이 앞을 가렸는데(…) 주변의 공터가 전부 터미널 예정 부지였음에도 15년 동안 공터로 있었다. 처음에는 건설을 맡기로 했던 회사가 부도를 맞아 지연되더니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까지 엮이기도 했다. 결국에는 지금 외동차고지 부분을 축구장으로 쓰기도. 이곳에 [[이마트 김해점]]이 들어서는 것이 지역 내 문제가 되고 있어 외동시장 상인들이 반발했기 때문. 결국 참다 못한 외동시장 상인들은 [[이마트 김해점]]과 [[신세계백화점 김해점]] 둘 다 까 보려고 [[감사원]]에 신세계를 상대로 특혜의혹 감사--병크--를 청구했으나 감사원에서 예비감사단계부터 "아무 문제가 없음"이라는 답을 내놓음에 따라 신세계는 감사 결과가 나온 직후 최종건설신청서를 김해시청에 제출했고 이미 건설 발주까지 끝났으며 [[2013년]] 하반기부터 공사를 시작해 [[2014년]] [[8월]]에 준공할 예정. 단 [[김해시]]에서는 건설허가를 내주는 대신 상업 부문에 있어서는 외동시장 상인들과의 상생 조건을 걸었다고. 결국 진통이 많았던 터미널은 [[2013년]] [[9월]]부터 본격적으로 공사에 착수했다. 최근 국내 각지에서 안전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추석연휴 임시개장도 없었고 [[버스 터미널]] 기능의 이전은 [[2014년]] [[9월]] 중이 될 예정이었으나 결국 [[2014년]] 개장 보도가 나간지 5개월 여가 지난 [[2015년]] [[2월 12일]]에 신 터미널로 이전하게 되었다. 터미널 옆에 [[신세계백화점 김해점]]과 [[이마트 김해점]] 건물이 공사 중이었는데 [[2016년]] [[6월 23일]]에 개장하였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1123_0010432776&cID=10401&pID=10400|신세계에서 김해점에 1,400평 규모의 뽀로로마을을 조성할 것이라는 언급이 나왔다]]. 결국 옥상에 조성되었다. 2011년 개통한 [[부산김해경전철]] [[봉황역]]과 연계되며 이 역은 김해여객터미널을 부역명으로 하고 있다. 이미 터미널 부지 쪽으로 육교가 건설되어 있기도 하고. 실제로 '''[[수로왕릉역]]의 부역명을 뜯어서 [[봉황역]]으로 옮긴''' 것을 목격. 터미널 개장을 앞두고 여러 언론의 보도에 의해 신축 터미널 부지의 버스 수용 능력이 현재 터미널 수준과 비슷한 정도밖에 안 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던 적이 있었는데 이 문제에 대해 [[김해시]] 측에서는 터미널 내 주차 공간을 늘려 수용능력을 올렸다. 과거 구터미널 사용하던 시기엔 주차공간이 부족하여 [[경북고속|코리아와이드 경북]]이라던가 [[부산교통]]이라던가 [[금호고속]]이라던가 [[태영고속|창원고속]] 어느 노선이라던가 심지어는 KD라던가가 [[해운대고속]]의 어느 노선이라던가가 터미널 인근 민간 주차장에서 주박하는 모습이 있었으나 지금은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이 과정에서 [[김해여객]]은 일부 적자 노선에 대해 매각, 정리를 통해 주차공간을 확보하는데 일조하였다. 당시 대동면-구포시장 노선의 매각, 진례경유 마산노선 폐지, 사상행 노선 대량감회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2015년에만 벌써 3개 노선이 신규개통했고 그중 2대분은 주박. 이와는 별도로 시내버스 쪽 주차공간의 경우 신축건물의 할당공간이 부족한 상황이었으나 기존 터미널착발 노선의 수용을 위한 차고지 건립에 타협해서 노선 대개편은 없던 이야기가 되었다.[[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148615|#]] 단지 기존 차고지보다 크기가 작아져서 얄짤없이 풍유동으로 보내는 노선이 생기긴 했지만. 시설로는 [[이마트24]] [[편의점]], [[이디야 커피]], [[던킨도너츠]]가 있고 [[기사식당]]도 있다. 백화점 연결 통로--라고 쓰고 멀티--인 2층에 [[맘스터치]]도 생겼다. 2019년 12월 기준으로는 일반이 '''82%''', 우등이 15%, 프리미엄이 3%로 일반이 훨씬 더 많이 들어왔다. 지금은 일반이 63%, 우등이 34%, 프리미엄이 3%로 우등의 비중도 꽤 늘어났다. == 노선 신설 == 2017년 신년 첫날부터 소리소문 없이 구포-상동(소락) 노선이 김해터미널까지 연장되었다. 터미널 내에는 어떠한 안내도 하지 않고 있었으나 설 연휴가 지난 시점에서 터미널에 안내되기 시작했다. 2017년 1월 2일부터 고성-통영, [[고현버스터미널|고현]]행 노선이 각각 1회씩 증회되었다. 2017년 1월 20일부터 삼천포, [[진해시외버스터미널|진해]] 노선이 장유를 경유하게 되었다. [[진해시외버스터미널|진해]] 노선은 장유 경유로 인해 일부 경유지 조정이 있었다. 2017년 2월 1일부로 [[군산시외버스터미널|군산]]행 노선 중 일부 배차시간이 시외우등으로 승격하였으며 같은달 24일에 시외우등이 1회 늘어났다. 2017년 4월 1일 부로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행 노선 중 직통 노선이 1회 증회되었다.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노선은 1회 감회와 동시에 심야요금 적용 시점이 23시에서 22시로 당겨졌다. 2017년 4월 7일 부로 김해-함안 노선이 개통되었다. 운수회사는 [[동일익스프레스]], [[김해여객]], [[태영고속]]이 공동으로 운행한다. 이로 인해 김해도 경전여객과 동일고속이 둘 다 들어오게 되었다.[* 나머지 다른 터미널은 서울남부, 마산(합성동), 의령, 고령, 거제(고현), 부산서부가 있다.] 5월 2일에는 해당 노선의 증회가 이루어졌다. 정작 솥뚜껑을 열어보니 수요가 거의 없어 망했다(...) 결국 2020년 2월에 운행중지에 들어갔으며 사실상 폐선. 특이점이 있다면 마산 합성동이 아닌 [[서마산IC]]를 이용해서 내서읍 경유.[* 마산은 별도로 김해~마산 및 마산~함안 노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2017년 상반기 [[프리미엄 버스]] 확대 운행에 의해 김해에도 6월 30일 부로 프리미엄이 진출하게 되었는데, 대상 노선이 [[고속버스 서울경부-김해|서울 ↔ 김해]] 노선이 아닌 [[고속버스 인천공항-김해|인천국제공항 ↔ 김해]]([[장유고속버스터미널|김해장유]], [[인천종합터미널|인천종합]] 경유) 노선이다. 대체로 수요력보다 [[인천국제공항]] 노선이라는 특수성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은 편. 7월 31일까지는 월 ~ 목 한정으로 15% 할인된 요금으로 탈 수 있는 이벤트를 열지만, 김해 출발편은 심야에만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형]]이 들어온다. 지방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때 야간에 이동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 [[공항버스]]의 역할을 겸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17년 8월 1일 부로 [[천일여객|천일.고려]]에서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 노선을 개통했다. 예전부터 천일고려에서 운수권을 가지고 있었으나 개통하지 못한 노선 중 하나였는데, 1일 운행 횟수는 2회지만 서울행 일반고속 가격 수준으로으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메리트가 생기게 되었다. 단, 좁디 좁은 [[동서울터미널]]의 사정상 증회가 쉽게 될지는 미지수인 데다가, 김해에서는 동서울행이 오전에 2회만 운행한다. 즉, 동서울에 주박을 안 한다는 것. 2018년 4월 30일부터는 진영읍을 경유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진영에서 서울로 가는 수단이 철도 말고 하나 더 생기게 되었다. 하지만 이 노선도 코로나19 3차 대유행으로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7년 하반기 고속노선 신규인가 공고에 의해 [[천안종합버스터미널|천안]]행 노선이 추가로 들어오게 되었다. [[김해국제공항]] 경유로 2018년 1월부터 일 6회 운행 예정이며 주박사정때문인지 김해공항 기착이 아닌 김해터미널 기착이 된듯 하다. 중간에 김해국제공항을 거치게 되므로 계획대로 고속노선으로 개통할 경우 관련법상 장유에는 중간정차가 불가능하게 된다. --소식이 나온지 반년이 지났지만 아무런 소식이 없는걸 보니 묻히는듯-- 2018년 1월 18일부터 인천공항2터미널 개장과 함께 [[고속버스 인천공항-김해|인천국제공항 ↔ 김해]] 노선의 인천공항2터미널 연장이 이루어졌다. 2018년 2월 1일부로 해운대노선에서 [[경원여객(경남)|경원여객]]이 철수함에 따라 운행횟수가 줄어들었다. 2018년 2월 22일 마산 완행 노선이 [[김해 버스 140|김해 140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 단,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에서 1회 운행하는 완행시외버스가 있었다가, 2019년 10월 7일에 폐지되었다. 2018년 4월 30일부로 동서울노선이 진영을 추가로 경유하게 됨에 따라 소요시간이 살짝 늘어나게 되었다. 대신 진영 주민들의 서울 접근성이 더 편해지게 되었다. 2018년 6월 21일부로 [[시외버스 대구서부-김해|대구서부행 노선]]이 1회 증회됨과 동시에 전 시간대 창녕을 경유하게 되었다. 이제 김해에서 창녕읍내로 가기 편해졌다.[* 그 이전에는 영산까지 가서 창녕으로 가는 농어촌버스나 [[밀성여객]]의 시외버스를 타야 했다.] 2019년 7월 11일부로 [[고속버스 서울경부-김해|서울 ↔ 김해]] 노선에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1일 1회 투입되었다. 투입 차량은 [[기아 그랜버드]] 실크로드. 운행업체는 경남고속이 22.5%로 제일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그 다음은 해운대고속으로, 전체의 13.2%를 차지한다. 그 다음은 신흥여객으로, 전체의 12.6%를 차지하며, 5위는 천일여객/고려여객으로 전체의 11.2%를 차지한다. == 노선 안내 == 인터넷 예매가 안 된다는 주민들의 민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미널 개장 다음날부터 일부 시외버스노선의 인터넷예매가 가능해졌다. 아래 리스트는 예매 가능한 노선만 기입. ||<|4>[[http://www.kobus.co.kr/|KOBUS(고속버스)]] || 행선지 || 경유지 || 비고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선산휴게소]] || || || [[인천공항터미널|인천공항T2]] || [[선산휴게소]], [[인천종합터미널|인천]], 인천공항T1 || [* 임시차량은 대부분 인천에서 종착한다.] || ##|| [[용인공용버스터미널|용인]] || [[선산휴게소]], 신갈 || || || [[유스퀘어|광주]]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창원역]],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고속)]], 내서 || 광주→김해 || ||<|11>[[https://txbus.t-money.co.kr/main.do|티머니(시외버스)]] ##|| [[동서울터미널|동서울]] || || || || [[성남종합버스터미널|성남]] || [[구미종합터미널|구미]] || || || [[안산종합버스터미널|안산]] || [[오산역환승센터|오산]], [[수원버스터미널|수원]] || || ##|| --[[원주시외버스터미널|원주]]-- || --[[단양시외버스공영터미널|단양]], [[제천버스터미널|제천]]-- || --김해→제천-원주, 원주→김해-- || || [[대전복합터미널|대전]]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창원역]],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시외)]] || [* 추가로 2019년 5월 1일부터 시외우등으로 전환되어 운행한다. 또한 이로 인해 김해 - 창원간 구간승차가 불가능해졌다.] || || [[군산시외버스터미널|군산]] ||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전주]], [[익산공용버스터미널|익산]] || 김해→군산 || || [[유스퀘어|광주]]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내서 || 김해→광주 || || [[중마동버스터미널|동광양]] || || 김해→동광양 || || [[순천종합버스터미널|순천]] || [[광양종합버스터미널|광양]] || 김해→광양 || || [[포항터미널|포항]] ||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 김해→언양, 경주, 포항 || ##|| [[함안시외버스터미널|함안]] || 내서 || 김해→내서, 함안 || ||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 || || 김해→진주 || ##||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 [[고령터미널|고령]]-- || --김해→거창-- || || [[통영종합버스터미널|통영]] || 배둔, 고성 || 김해→배둔, 고성, 통영 || ##|| [[고현버스터미널|고현]] || || 김해→고현 || ##|| [[남해시외버스터미널|남해]] || 진교 || 김해→진교, 남해 || ##|| [[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삼천포]] || [[사천시외버스터미널|사천]], 용현 || 김해↔사천, 삼천포 || || [[서부정류장|대구서부]] || 부곡, 영산, [[창녕시외버스터미널|창녕]] || [* 2018년 6월 21일 부터 전회 창녕 경유.] || ||<|6>[[https://bustago.or.kr/|버스타고(시외버스)]] ##|| [[원주시외버스터미널|원주]] || [[제천시외버스터미널|제천]] || 제천→김해 || || [[군산시외버스터미널|군산]] ||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전주]], [[익산공용버스터미널|익산]] || [* 티머니는 군산방향만 예매가 되지만, 버스타고는 양방향 예매가 된다.] || || [[포항터미널|포항]] ||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 포항, 경주→김해 || ||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 || || 진주→김해[* 과거 터미널조합 때처럼 진주부산교통 항목에서 찾으면 나온다.] || ## ||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 [[고령터미널|고령]] || 거창→김해 || 위에 없는 노선들(또는 중간정차지)는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조용히 현장발권해야 한다. 마산행 노선이 2015년 11월 9일부터 좌석지정제로 전환되어 한때 당일 탑승분이 아니더라도 예매가 가능했으나 양쪽 다 [[티머니(기업)|티머니]] 관할로 갈아타면서 예매기능이 날아가 버렸다. 2016년 11월 9일 부로 [[티머니(기업)|티머니]] 소속의 시외버스 예매사이트로 이동하게 되어 일부 노선 한정으로 티머니로 예발매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모바일 예매도 가능해졌다. === 고속버스 === 모든 김해 출도착 [[고속버스]] 노선은 [[장유(지역)|장유1동주민센터]] 근처에 있는 간이 터미널인 [[장유고속버스터미널]]에서 중간 승하차하기 때문에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장유IC]]로 진출입한다. 명절 기간을 제외하고 [[선산휴게소]]에서 환승 승객 처리를 한다. [[삼화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동양고속]]이 들어오지만 이들은 모두 --용인-- 및 인천국제공항으로만 다니며, 그 중 가장 최근에 들어온 [[삼화고속]]은 [[고속버스 인천공항-김해|인천국제공항 ↔ 김해]] 노선에 유로6 특A급 뉴프리미엄 우등 노블 2대를 투입 중이다.[* 4107호와 4137호 운행 중] 이에 더해 [[고속버스 인천공항-김해|인천국제공항 ↔ 김해]] 노선에는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까지 운행이 확정되어[* 김해 출발은 심야에만 운행한다.] 신규차량이 더 들어오게 되었으며 [[삼화고속]]은 4167호, [[동양고속]]은 4228호로 신규 출고 차량이다. [[고속버스 서울경부-김해|서울 ↔ 김해]] 노선은 [[천일여객]] 및 [[고려여객]]에서 운행하는 [[전환고속]] 노선이므로 고속버스용 [[티머니]] 단말기 및 [[E-Pass]] 미적용 노선이었으나, 2015년 9월 18일부터 이 노선도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천일여객]]/[[고려여객]]에서 운행하는 [[고속버스 서울경부-김해|서울 ↔ 김해]] 노선에도 유로6 뉴그랜버드 선샤인이 점점 증차되고 있다.[* 원래 우등 9315호가 1년 정도 다니고 있었는데 2016년 상반기부터 점점 초기 뉴 그랜버드의 대차분으로서 유로6 차량이 알게 모르게 지속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우등차의 경우 유로시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먼저 도입된 9315호를 제외한 유로6 차량들은 [[USB]] 포트가 달려 있다.] [[고속버스 용인-김해|용인 ↔ 김해]] 노선도 신설됐으나, 이용률 부진과 코로나19의 여파로 폐지됐다. ==== 주의 ==== * [[선산휴게소|선산]] 발권 불가의 시기는 다음과 같다. *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 임시로 편성된 시간 * [[고속버스 프리패스|프리패스]] 사용 불가의 시기는 다음과 같다. * 프리미엄,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2147> '''{{{#ffffff 선산휴게소[br]서울}}}''' || 일 11회[* 코로나로 인해 감차 운행 중] || [[천일여객그룹]]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발 서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장유고속버스터미널|{{{#ffffff 장유(고속)}}}]]''' ||<-2> 발권불가 || ||<#002147>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1:55 || ₩ 9,900[br]₩ 15,100({{{#0000ff 우등}}}) || ||<#002147> '''[[서울고속버스터미널|{{{#ffffff 서울(경부)}}}]]''' || 4:40 || ₩ 24,000[br]₩ 35,800({{{#0000ff 우등}}})[br]₩ 39,500({{{#ff0000 프리미엄(월~목)}}})[br]₩ 46,500({{{#ff0000 프리미엄(금~일, 공휴일)}}})[br]₩ 39,400({{{#0000ff 심야우등}}})[br]₩ 43,500({{{#ff0000 심야프리미엄(월~목)}}})[br]₩ 51,200({{{#ff0000 심야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 {{{#0000ff 06:00, 07:00, 08:00, 09:00, 10:00, 11:30}}}, {{{#ff0000 13:30}}}, {{{#0000ff 15:00}}}, 16:30, {{{#0000ff 18:30}}}, (심야){{{#0000ff 01:01}}}|| ||<-3><(>[[고속버스 서울경부-김해]] 참조. 07:40 ~ 18:30 프리미엄을 제외한 차량은 전부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2019년 07월 11일부터 일 3회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 개통되었다가 코로나19로 인해 일 2회로 감회되었으며 이후 수요부족으로 일 1회로 감회되었다. [[고려여객]], [[천일여객]] 차량도 [[티머니]] [[E-Pass]]를 지원한다. 18:30 ~ 01:00 사이 배차가 없으므로 이 시간대에 서울로 가고 싶다면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이나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으로 가서 타거나 [[진영역]]이나 [[김해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단, [[진영역]]은 김해 시내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주변 교통이 불편하므로 이점은 유의해야 한다. || }}} || ||<#002147> '''{{{#ffffff 선산휴게소[br]인천국제공항}}}''' || 일 2회[* 코로나로 인해 감차 운행 중] || [[동양고속]][br][[삼화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발 인천공항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장유고속버스터미널|{{{#ffffff 장유(고속)}}}]]''' ||<-2> 발권불가 || ||<#002147>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1:55-- || --₩ 15,100({{{#0000ff 우등}}})-- || ||<#002147> '''[[인천종합터미널|{{{#ffffff 인천}}}]]''' || 4:40 || --₩ 37,600({{{#0000ff 우등}}})--[br]₩ 48,200({{{#ff0000 심야프리미엄}}})[*B 주말 10% 할인 적용으로 주중과 주말 요금이 같다.] || ||<#002147> '''[[인천공항터미널|{{{#ffffff 인천국제공항}}}]]''' || 5:30(T1)[br]5:55(T2) ||₩ 44,700({{{#0000ff 우등}}})[br]'''₩ 57,500({{{#ff0000 심야프리미엄}}})'''||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ff0000 22:00}}}, (심야){{{#ff0000 00:20}}}|| ||<-3><(>[[고속버스 인천공항-김해]] 참조. 07:40 ~ 18:20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 상황]]에서 우등의 전 시간이 결행 중이다. 이로 인해 김해에서 프리패스 사용자가 불가능해졌다. 김해에서 프리패스를 사용하려면 마산이나 창원, 부산으로 가야한다. 2018년 07월 20일부터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프리미엄의 심야 시간은 '''전국 고속·시외버스 최고 운임'''(57,500원)이다. || }}} || ##||<#002147> '''{{{#ffffff 선산휴게소[br]용인}}}''' || 일 2회[* 코로나로 인해 감차 운행 중] || [[천일고속]][br][[한일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발 용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장유고속버스터미널|{{{#ffffff 장유(고속)}}}]]''' ||<-2> 발권불가 || ##||<#002147>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1:55 || --₩ 9,900--[br]₩ 15,100({{{#0000ff 우등}}}) || ##||<#002147> '''[[신갈정류장|{{{#ffffff 신갈}}}]]''' || 4:10 ||<|2> --₩ 23,400--[br]₩ 34,800({{{#0000ff 우등}}}) || ##||<#002147> '''[[용인공용버스터미널|{{{#ffffff 용인}}}]]''' || 4:30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 {{{#0000ff 09:00, 18:20}}}|| ##||<-3><(>[[고속버스 용인-김해]] 참조. ##전 시간대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어째서인지 [[시외버스 용인-부산|부산]], [[시외버스 용인-광주|광주]], [[시외버스 용인-진주|진주]], [[시외버스 용인-창원|창원(마산 경유)]]의 노선하고 다르게 [[기흥역]]을 정차하지 않는다. ##운행 횟수가 적고 막차도 이르기 때문에 [[진영역]]에서 [[수원역]]행 열차 탑승 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분당선]]으로 갈아타는 것이 낫다. 그러나 [[수원역]]행 열차는 1일 3회밖에 운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것도 안 되면 어쩔 수 없이 [[동대구역]]에서 갈아타야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2022년 3월 21일 부터 운행이 중지되었다.|| ##}}} || === 시외버스 === ==== 수도권 ==== 이 터미널에서 '''안양/부천행 및 의정부-고양행'''은 없다. ||
<-3> '''{{{#ffffff 수도권(시외)}}}'''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d60056> '''{{{#ffffff 동서울}}}''' || 일 2회 || [[천일여객그룹]]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발 동서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장유시외버스정류장|{{{#ffffff 장유}}}]]''' ||<|2><-2> 발권불가 || ##||<#d60056> '''[[진영시외버스정류장|{{{#ffffff 진영}}}]]''' || ##||<#d60056> '''[[동서울터미널|{{{#ffffff 동서울}}}]]''' || 4:35 || ₩ 36,500({{{#0000ff 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30, 12:00}}}|| ##||<-3><(>2017년 8월 1일 신규개통되었으며, [[전환고속]] 면허를 운용 중인 서울경부 노선과 달리 이쪽은 시외면허로 운행한다. ##우리가 알고있는 ~~장유농협~~[[장유시외버스정류장]]이 아닌 장유대동1단지 앞 버스 정류장에 정차한다.|| ##}}} || ||<#d60056> '''{{{#ffffff 성남}}}''' || 일 2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발 성남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구미종합터미널|{{{#ffffff 구미}}}]]''' || 2:00 || ₩ 15,700({{{#0000ff 우등}}}) || ||<#d60056> '''[[성남종합버스터미널|{{{#ffffff 성남}}}]]''' || 4:50 || ₩ 38,900({{{#0000ff 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10--, 10:10, --15:00--, 17:40}}}|| ||<-3><(>[[시외버스 성남-김해]] 참고. 개통 당시엔 KD의 무정차 노선과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구미종합터미널|구미]] 경유 노선으로 나뉘었으나 2016년 6월 3일부로 KD가 배차에서 철수함에 따라 전 시간대에 [[코리아와이드 경북]] 일반차만 다니게 되었다. 그러다가 시외우등 할증을 시행하게 되었다. 운행 횟수가 적고 막차도 이르기 때문에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이나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으로 가서 타자. [[수원역]]행 열차 탑승 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분당선]]으로 갈아타는 방법도 있지만 1일 2회밖에 운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마산이나 창원으로 가는 것이 훨씬 좋다. 단,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산]] 주민 입장에서는 [[성남종합버스터미널|성남]]행은 김해로 가서 타면 좋은 것중 몇 안되는 노선이다. 참고로 심야차가 운행하지 않으므로 심야에 성남을 가려면 서울경부나 마산으로 가야한다. || }}} || ||<#d60056> '''{{{#ffffff 오산[br]수원[br]안산}}}''' || 일 5회 || [[경남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발 안산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장유시외버스정류장|{{{#ffffff 장유}}}]]''' ||<-2> 발권불가 || ||<#d60056> '''[[오산역환승센터|{{{#ffffff 오산}}}]]''' || 4:05 || ₩ 34,700({{{#0000ff 우등}}})[br]₩ 38,200({{{#0000ff 심야우등}}}) || ||<#d60056> '''[[수원버스터미널|{{{#ffffff 수원}}}]]''' || 4:20 || ₩ 37,400({{{#0000ff 우등}}})[br]₩ 41,100({{{#0000ff 심야우등}}}) || ||<#d60056> '''[[안산종합버스터미널|{{{#ffffff 안산}}}]]''' || 5:00 || ₩ 41,500({{{#0000ff 우등}}})[br]₩ 45,700({{{#0000ff 심야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00, --10:10--, 11:10, 13:40, 18:40}}}, (심야){{{#0000ff 00:10}}}|| ||<-3><(>T/O는 17석이다. 우리가 알고있는 ~~장유농협~~[[장유시외버스정류장]]이 아닌 장유대동1단지 앞 버스 정류장에 정차한다. 만약 이 시간대 이외에 다음 목적지로 가려면 [[오산역환승센터|오산]] => [[진영역]]에서 [[평택역]], [[평택지제역]]행 열차 이용 후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환승. [[수원버스터미널|수원]] => [[진영역]]에서 [[수원역]]행 열차 탑승. [[안산종합버스터미널|안산]] => [[진영역]]에서 [[수원역]]행 열차 이용 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선]]으로 환승. 그러나 [[수원역]]행 열차는 1일 2회밖에 운행하고 있지 않으니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이나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으로 가서 타도록 하자.|| }}} || ==== 강원권 ==== [include(틀:운행중단)] 강원권 노선은 매우 빈약하다. 2016년 6월 3일에 단양, 제천경유 원주행 노선이 생긴 거 말고는 전혀 없다. 이마저도 단양은 2019년 10월 26일에 들리기 시작했으며, 특히 삼척, 동해 방향으로 가기 매우 까다로우며, 같은 [[7번 국도]] 연선에 있는 [[영덕터미널|영덕]], [[영해버스터미널|영해]], 후포, 평해, 울진 등으로 가기에도 매우 까다롭다. [[시외버스 김해-포항|김해에서 포항으로 가는 노선]]이 있긴 하지만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과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를 거치는 데다가 운행횟수가 1일 9회로 적어서 포항에서의 환승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게다가 김해에서 노포동으로 가기에도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영덕 이북으로 가기 매우 까다롭다. 어차피 김해 출발 동해안 북행의 경우 이중환승은 피할 수 없으므로 영덕 ~ 동해 사이에 있는 지역이 목적지라면 [[부산김해경전철]]을 타고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사상]]으로 이동한 뒤,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포항행 시외버스]]를 타고 포항으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북행무정차 노선으로 갈아타고, 강릉, 속초, 거진 등 강릉 이북이 목적지라면 마산(고속)을 타고 마산으로 이동한 뒤 원주행 시외버스를 이용하여 원주에서 다시 강릉 혹은 속초행 버스로 갈아타야한다. --사실 다 필요없고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마산-강릉을 김해를 들리게 하거나, 단거리 버전으로 창원-김해-포항-영덕-평해-울진 노선을 신설하는 것이다.-- ||
<-3> '''{{{#ffffff 강원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a885> '''{{{#ffffff 단양[br]제천[br]원주}}}''' || 일 2회 || [[대원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발 원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a885> '''[[단양시외버스공영터미널|{{{#ffffff 단양}}}]]''' || 3:00 || ₩ 25,600({{{#0000ff 우등}}}) || ||<#00a885> '''[[제천시외버스터미널|{{{#ffffff 제천(시외)}}}]]''' || 3:30 || ₩ 31,000({{{#0000ff 우등}}}) || ||<#00a885> '''[[원주시외버스터미널|{{{#ffffff 원주(시외)}}}]]''' || 4:20 || ₩ 38,000({{{#0000ff 우등}}}) || ||<#00a885>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9:10, 16:10}}}|| ||<-3><(>김해-[[성남종합버스터미널|성남]] 무정차를 운행하던 KD가 2016년 6월 3일 배차에서 철수하고 신규개통한 노선. [[제천버스터미널|제천]]을 경유하며 성남노선에 뛰던 시절 넣던 우등차량이 그대로 들어간다. 김해터미널 최초의 [[강원도]]행 노선. [[시외버스 부산-영주, 제천|부산에서 제천 가는 노선]]이 있긴 한데, [[안동터미널|안동]], 옹천, [[영주종합터미널|영주]]를 경유하는 준직행 수준이므로 서부산권에서 출발한다면 김해로 와서 환승하는 것이 낫다. 2019년 10월 26일부로 단양도 경유한다. 그러나 이쪽도 일 2회밖에 운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시간대가 안 맞다 싶으면 [[김해국제공항]]에서 동대구행 공항버스를 타고 가서 환승하도록 하자. 원주행의 경우 싸고 빠르게 가고 싶다면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이나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으로 가서 타는 게 낫다.|| }}} || ==== 충청권 ==== 수요가 날 만한 청주방면은 없으며, 여기에서 서울(경부)로 가는 고속버스를 이용 후, [[선산휴게소]]에서 동대구, 서부산에서 출발해 청주로 가는 고속버스로 환승하거나, 마산으로 가서 [[시외버스 청주-창원]]을 타거나 [[구포역]]으로 가서 KTX를 타고 [[오송역]]에 내리거나 일반열차를 타고 [[조치원역]]에 내려야 한다. 대전행 노선을 타고 대전에서 청주행 버스를 타는 방법도 있지만, 요금이 매우 비싸다. 여담으로 인가만 받고 실제로는 운행안하는 유령 노선인 김해공항 경유 [[천안종합버스터미널|천안]]행 버스도 있다. ||
<-3> '''{{{#ffffff 충청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ba66a4> '''[[시외버스 대전복합-창원|{{{#ffffff 대전}}}]]''' || 일 4회 || [[중부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발 대전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ba66a4> '''[[창원종합버스터미널|{{{#ffffff 창원}}}]]''' ||<|2><-2> 발권불가 || ||<#ba66a4> '''[[마산시외버스터미널|{{{#ffffff 마산(시외)}}}]]''' || ||<#ba66a4> '''[[대전복합터미널|{{{#ffffff 대전}}}]]''' || 4:00[* 마산 경유] || ₩ 28,200({{{#0000ff 우등}}}) || ||<#ba66a4>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20, --08:50--, 10:00, 13:20, 15:10, --17:20, 18:50--}}}|| ||<-3><(>모든 시간대에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을 경유한다. 과거 한때 터미널협회의 김해발 T/O에 제한이 걸려 있었으나 현재는 모든 좌석에 예매가 가능해졌다. 2019년 5월 1일부터 시외우등으로 전환되어 운행한다. 경전선 철도의 존재로 인해 운행 횟수가 많지 않고 막차도 '''매우''' 이르다. 따라서 막차시간 이후에는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으로 가서 타거나 [[진영역]] 혹은 [[구포역]]으로 가야 한다. 단, [[진영역]]은 김해 시내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주변 교통이 불편하므로 이점은 유의해야 한다. 김해 - 창원간 구간승차는 원래 가능했으나 우등할증 이후 불가능으로 바뀌었다. 구간승차가 가능했을 때에도 남산동에는 정차하지 않아서 팔용동, CECO 등 창원터미널 쪽이 목적지인 사람들에게나 유용했다.|| }}} || ==== 호남권 ==== ||
<-3> '''{{{#ffffff 호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39b43> '''{{{#ffffff 광주}}}''' || 일 5회 || [[금호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발 광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창원종합버스터미널|{{{#ffffff 창원}}}]]''' ||<|3><-2> 발권불가 || ||<#039b43> '''[[마산고속버스터미널|{{{#ffffff 마산(고속)}}}]]''' || ||<#039b43> '''[[내서고속버스터미널|{{{#ffffff 내서}}}]]''' || ||<#039b43> '''[[유스퀘어|{{{#ffffff 광주(유스퀘어)}}}]]''' || 3:50 || --₩ 18,600--[br]₩26,100({{{#0000ff 우등}}})[br]₩33,900({{{#ff0000 프리미엄}}})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30}}}, {{{#0000ff 08:50}}}, {{{#ff0000 12:10}}}, {{{#0000ff 15:40}}}, {{{#0000ff 18:40}}} || ||<-3><(>[[시외버스 광주-창원·김해|시외버스 광주-김해]] 참조.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금호고속]] 2팀(직행부)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지만 2021년 10월 02일부터 [[티머니]] [[E-Pass]]가 장착되었다. 안타깝게도, [[섬진강휴게소]] 환승이 불가능하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창원역]] 경유였는데 2014년 1월 하순경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고 4개월 뒤 또 개정이 이루어져 김해국제공항까지 연장되었다가 2015년 5월 12일부터 마산구역에서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내서 경유로 경유지를 변경. 김해국제공항 추가연장이 이루어진 이후부터 해당 노선은 지정좌석제로 전환되어 운영 중이다. 과거 잠깐동안 김해공항/김해-창원-마산-광주-목포라는 아주 아스트랄한 노선계통이 있었지만, 그로부터 1년여 뒤 마산-광주 고속노선의 창원 연장과 더불어 해당 노선을 [[마산고속버스터미널]], 내서 경유로 바꾸어버려 고속노선처럼 만들어버렸다. 실제 코버스 전산망에서 창원-광주 구간의 해당 노선 다이아는 당당하게 일반고속으로 뜬다. 대신 운행횟수는 1회 줄어든 일 5회이며 김해국제공항까지 가는 노선은 일 3회. 예전과 마찬가지로 김해국제공항, 광주출발기준으로 계산 시 김해공항-김해는 40~50분, 김해-창원간 50분, 창원-마산간 25분이 거의 정확히 맞아떨어진다. 사실 예전의 김해공항-목포 구간 풀코스 뛰는 기사의 경우 정규 다이아 기준 한코스 뛰는 데만 대략 6시간 가량을 운전하게 된다는 소리인데 최근 [[7번 국도]]의 고속화로 부산-거진 시외버스노선이 6시간 초반대에도 완주한다는 걸 감안하면 얼마나 힘들었을지 대략 체감이 가능한 대목이다. 2021년에 프리미엄이 도입되었다가 금방 철수했다가 다시 프리미엄이 1회 투입되었다가 중간에 2회로 증회되었다. 하지만 수요감소로 인해 2023년 2월 1일에 다시 1회로 감회되었다. || }}} || ||<#039b43> '''{{{#ffffff 동광양(중마동)}}}''' || 일 1회 || [[금호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울산발 여수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중마버스터미널|{{{#ffffff 동광양(중마동)}}}]]''' || 2:00 || ₩ 14,100({{{#0000ff 우등}}}) || ||<#039b43> '''[[여수종합버스터미널|{{{#ffffff 여수}}}]]''' ||<-2> 발권불가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15:30, 20:40}}}|| ||<-3><(>원래 노선 자체는 울산-김해-동광양-여수임에도 김해-여수간은 김해와 여수 양쪽에서 발권 불가. 과거에 잠깐 같은 사업자가 김해-창원-동광양-광양 노선을 운행했다가 말아먹은 적이 있었다고 한다. 김해발 T/O는 10석. 오후 밖에 없어 오전이나 그 외 시간에 가려면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이나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서부]]에 가서 타는 것이 좋다.|| }}} || ||<#039b43> '''{{{#ffffff 광양[br]순천}}}''' || 일 1회 || [[금호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울산발 순천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광양종합버스터미널|{{{#ffffff 광양}}}]]''' || 2:00 || ₩ 14,100({{{#0000ff 우등}}}) || ||<#039b43> '''[[순천종합버스터미널|{{{#ffffff 순천}}}]]''' || 2:40 || ₩ 17,000({{{#0000ff 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10:00--, 17:40}}}|| ||<-3><(>원래 울산-양산-김해-순천이었으나 노선사업자가 경남고속에서 금호고속으로 바뀌면서 [[광양종합버스터미널|광양]] 경유로 변경하는 대신 양산을 통과하게 되었다. 김해발 T/O는 20석. 코로나19로 인해 오전 시간이 전멸하였으며 오전에 가려면 마산이나 부산서부로 가야 한다.|| }}} || ||<#039b43> '''[[시외버스 군산-양산|{{{#ffffff 전주[br]익산[br]군산}}}]]''' || 일 2회 || [[금호고속]][br][[전주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양산발 군산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ffffff 전주(시외)}}}]]''' || 3:00 || ₩ 22,900({{{#0000ff 우등}}}) || ||<#039b43> '''[[익산공용버스터미널|{{{#ffffff 익산(시외)}}}]]''' || 3:30 || ₩ 27,200({{{#0000ff 우등}}}) || ||<#039b43> '''[[군산시외버스터미널|{{{#ffffff 군산(시외)}}}]]''' || 4:00 || ₩ 30,600({{{#0000ff 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40, --10:40--, 16:10, --19:00--}}}|| }}} || ==== 영남권 ==== 전회우등인 시간은 {{{#orange 주황색}}}으로 표시한다. || 권역 || 행선지 || 경유지 || 업체 || 배차간격 || 비고 || ||<|18> 영남권 || [[서부정류장|{{{#orange 대구서부}}}]][* 동대구행은 없으며, 고속도로를 통해 바로 가는 것이 아닌 부곡, 영산, 창녕을 거쳐 2시간 이상 걸리므로 [[대구광역시]]로 바로 가려면 [[김해 버스 14-1|14-1번]]이나 [[김해 버스 140|140번]] 등을 타고 ~~[[진영역]]으로 가거나~~ [[부산 버스 127|127번]]을 타고 [[구포역]]에서 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아니면 [[부산김해경전철]]을 타고 [[김해국제공항]]에 내려서 [[코리아와이드 경북]]에서 운행하는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행 [[공항버스]]를 추천한다. 원래 이 노선은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대구]]에서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한 노선이지만, 100% [[김해국제공항]] 이용객만 타지 않으며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대구]]에서 운행 횟수가 적은 편인 서부산권(특히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으로 가는 승객들도 많이 이용한다. 이후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 노선이 부활하긴 했지만,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발 막차 시간이 [[김해국제공항]] [[공항버스]]보다 이르다.] || 부곡, 영산, [[창녕시외버스터미널|창녕]] || [[천일여객]], [[고려여객]] || 1일 4회 || [* 중간에 진영, [[밀양시]] 수산 및 초동을 거쳐 가지만 진영-수산-초동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 || [[포항터미널|{{{#orange 포항}}}]] ||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 [[금아여행]] || 1일 9회(주말 14회) || [[시외버스 김해-포항]]노선 참조[br]전회우등 투입[* 2022년 8월 16일 부터 전회우등할증 시행.] || || - || - ||<|1> || - || - ||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서부]][* 직통과 [[김해국제공항]] 경유로 나눠져 있었으나 2015년 8월 1일부로 김해국제공항 경유 노선은 운행이 중지되었고 2016년 11월 ~~대량 칼질~~추가 감회가 이루어졌다. 실제로 수요의 대부분은 가락동 - 사상에서 나온다. ~~바로 앞 [[봉황역]]에서 경전철을 타는 게 훨씬 낫다~~ 다만 소요시간이 30분이라 시간이 맞는다면 이걸 타는 것도 나쁘진 않다.][* 거기에 사상에서 7시 20분에 김해로 출발하는 차량은 9시 출발 원주행 버스로 연계가 가능하나 김해에서 1시간 이상의 레이오버가 필요하고, 오후 4시 10분에 출발하는 원주행 버스와는 연결되지 않는다. 원주발 김해행의 경우 이 노선과 연계되는 배차가 없다. 게다가 부산사상발 대전, 안산, 고양, 인천 등 다른 목적지로는 부산사상에서 바로 가는 노선이 있거나, 없다고 해도 마산발 배차가 더 좋아 마산에서 갈아타는 것이 더 낫다. 따라서 부산사상 ↔ 김해 시외버스는 내항기 역할도 못하는 편이다.] || 가락동 || 1일 5회 || ||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이 터미널의 간판 노선이지만, 정작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쪽의 간판노선은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직행이라는 함정.]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동래고교, [[BEXCO]] || [[해운대고속]] || 일 20회 || 1일 심야 6회 운행[* 비좌석제 노선으로 예매가 불가능하다.] [br] 상세정보는 [[시외버스 해운대-김해장유]] 문서 참조 || || [[울산시외버스터미널|{{{#skyblue 울산}}}]][* [[금호고속]]의 순천/동광양 출발 노선으로는 김해에서 이용이 안 되니 주의.] || [[양산시외버스터미널|양산]] || [[경남고속]] || 일 29회 || [[시외버스 울산-김해|노선 문서]][* [[김해여객터미널]]에서 배차가 가장 조밀한 노선이다.] || ##|| || || || || ||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직통)]] || ||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 1일 1회 || [* 배차가 1일 1회로 적어 일단 [[인제대역]]이나 김해보건소 등 아무 가까운 정류장으로 가서 [[김해 버스 58, 59|58, 59번]]이나 97번, 98번 등 창원으로 가는 아무 노선이나 타는 것이 낫다. 아니면 [[김해 버스 140|140번]] 타고 [[창원역]]에서 환승해야 한다.(58번, 59번 등은 장유, 남산동 경유, 140번은 진영 경유 마산행.)] || ||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 || ||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ㆍ[[태영고속]] || 1일 29회 || [[시외버스 울산-김해|노선 문서]][* 이 노선의 감차로 인해 배차가 늘어나서 [[김해 버스 140|140번]]을 타는 김해-마산간 승객도 꽤 늘어났다.] || || 용원 || [[장유시외버스정류장|장유]], 웅동 || [[동아여객]] || 1일 4회 || [* 원래 용원-웅동 경유 [[진해시외버스터미널|진해]]행 이었으나 2022년 1월 1일 부터 4회로 증회와 함께 종점을 용원으로 바꾸고 웅동을 중간 경유지로 바꾸었다. 단, 진해터미널은 더 이상 가지 않는다.] || ##|| [[함안시외버스터미널|함안]] || [[장유시외버스정류장|장유]], 내서 || [[태영고속]] || 1일 5회 || [* 노선운행협의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인지 당초 7회 배차 중 3회를 배차하기로 했던 신흥여객, 동일익스프레스가 이탈함에 따라 운행횟수가 줄어들었으나 다시 증회하였다. 하지만 수요가 저조했는지 2017년 11월 중순경 1회 감회.] || ||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 || ||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ㆍ[[경전여객]]ㆍ[[부산교통]] || 1일 15회 || 1일 10회 [[장유시외버스정류장|장유]] 경유[*C 우리가 알고있는 ~~장유농협~~[[장유시외버스정류장]]이 아닌 장유대동1단지 앞 버스 정류장이다.][* [[경전여객]] 시간의 경우 경전여객에서 얼마 안남은 일반 투입 노선이다.] || || [[밀양시외버스터미널|밀양]] || 진영-수산, 삼랑진-임천, 삼랑진-평촌 || [[밀성여객]] || 1일 7회 || [[시외버스 밀양-마산 ]] 문서 참조.[br]운행여건상 구포역/진영역에서 철도로 이동하는게 나을수도 있다.[* 진영 경유와 삼랑진 경유의 요금이 다르니 주의. 임천경유 1회, 평촌경유 4회, 진영경유 2회로 운행한다. 진영경유의 경우 진영-수산 노선의 연장 노선이라 보면 된다.] || ##||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 [[고령터미널|고령]] || [[김해여객]] || 1일 2회 || || || [[통영종합버스터미널|통영]] || [[장유시외버스정류장|장유]][*C], 배둔, 고성 ||<|2>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ㆍ[[경전여객]]ㆍ[[부산교통|대한여객]][br][[경원여객(경남)|경원여객]]ㆍ[[거제현대고속]] || 1일 3회 || [* 경원여객 시간을 제외하고는 윤번제로 운행한다.] || ##|| [[고현버스터미널|고현]][* 김해공항 경유 통영행 노선을 분리시켜 2015년 10월 24일 개통. [[거가대로]] 경유.] || 장유(김해외고앞) || 1일 7회 || || ##|| [[남해시외버스터미널|남해]] || 진교, 고현면 || [[남흥여객]] || 1일 1회 || || ##|| [[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삼천포]] || [[장유시외버스정류장|장유]][*C], 사천, 용현면 || [[부산교통|부산교통ㆍ영화여객]] || 1일 1회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노포)]] 방면 버스 노선은 없다. 동래에서 내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으로 갈아타자. 아니면 양산행 시외버스를 이용한 다음 양산에서 [[양산 버스 17|양산 17번]]이나 [[양산 버스 16|양산 16번]]을 이용해도 된다. === 시내버스 === [[김해 버스 140|김해 버스 140번]]이 이 터미널에서 출발했으나 2022년 5월 부터는 터미널 바깥 쪽에서 정차하여 더 이상 이 터미널에 정차하는 버스는 없다. 2022년 4월까지는 터미널 안에서 탔는데 이는 과거 이노선이 김해-마산간 완행시외버스였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 노선을 터미널 안쪽에서 타면 교통카드사용이 불가해 환승할인이 되지 않는다. 환승할인을 받으려면 터미널 바깥 정류장에서 승차하면 된다. 그 외 노선은 [[김해시 시내버스]] 문서 참조. == 승차 홈 == * 일부우등인 경우 {{{#skyblue 하늘색}}}으로, 전회우등인 경우 {{{#orange 주황색}}}으로, 일부 프리미엄인 경우 {{{#purple 보라색}}}으로, 전회프리미엄인 경우 {{{#Magenta 자주색}}}으로 표시. ## * --1번: 내서, 동신아파트, [[함안시외버스터미널|함안]]--[* 코로나19로 인한 운행중단.] * 2번: --송산마을, 죽동마을, 가락주민센터, 죽림삼거리, [[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 통전양수장, 통전, 해포,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산]]--, 웅동, 용원 ## * 3번: 장유,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직행)]],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 [[고령터미널|고령]],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 [[안동터미널|안동]]-- * 4번: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동래고교, [[BEXCO]],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 * --5번: [[김해 버스 140|김해 버스 140번, 마산(완행)]]--[* 마산 완행 폐지. 140번 기점 김해터미널에서 외동차고지로 변경. 이제 터미널 밖 정류장에서 타야 한다.] * 6번: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직행)]] * 7번: 배둔, 고성, [[통영종합버스터미널|통영]], --[[고현버스터미널|고현]]-- * 8번: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 --진교, [[남해시외버스터미널|남해]], [[사천시외버스터미널|사천]], 용현, [[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삼천포]]-- * 9번: {{{#orange 부곡, 영산, 창녕, 대구서부}}}, 진영, 가술, 수산, 생림, 삼랑진, 임천, 평촌, [[밀양역]], [[밀양시외버스터미널|밀양]] * 10번: [[양산시외버스터미널|{{{#skyblue 양산}}}]], [[신복시외버스정류소|{{{#skyblue 신복}}}]], {{{#skyblue 공업탑}}}, [[울산시외버스터미널|{{{#skyblue 울산}}}]] * 11번: [[언양시외버스터미널|{{{#orange 언양}}}]], [[경주시외버스터미널|{{{#orange 경주}}}]], [[포항터미널|{{{#orange 포항}}}]] * 12번: [[중마동버스터미널|{{{#orange 동광양}}}]], [[광양종합버스터미널|{{{#orange 광양}}}]], [[순천종합버스터미널|{{{#orange 순천}}}]], [[유스퀘어|{{{#purple 광주}}}]], [[익산공용버스터미널|{{{#orange 익산}}}]],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orange 전주}}}]], [[군산시외버스터미널|{{{#orange 군산}}}]] * 13번: [[대전복합터미널|{{{#orange 대전}}}]][* 대전행의 창원,마산경유 직통 노선이다. [[대전복합터미널]]에서 충청권 전역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다만 목적지가 [[서천군]]이거나 [[보령시]] [[대천해수욕장]] 쪽이면 익산행 버스를 타고 익산에서 내려서 [[장항선]] 열차를 이용하거나, 휴가철 한정으로 전주로 가서 대천행 버스로 갈아타는 것이 낫다. 어디까지나 김해에서 출발하여 대전 환승이 유리한 곳은 [[홍성군]], [[예산군]] 이북 지역이다.] * 14번: --[[동서울터미널|{{{#orange 동서울}}}]]--, [[구미종합터미널|{{{#orange 구미}}}]], [[성남종합버스터미널|{{{#orange 성남}}}]], --[[단양시외버스공영터미널|{{{#orange 단양}}}]], [[제천버스터미널|{{{#orange 제천}}}]], [[원주시외버스터미널|{{{#orange 원주}}}]], [[선산휴게소|{{{#orange 선산휴게소}}}]], {{{#orange 신갈}}}, [[용인공용버스터미널|{{{#orange 용인}}}]]-- * 15번: [[오산역환승센터|{{{#orange 오산}}}]], [[수원버스터미널|{{{#orange 수원}}}]], [[안산종합버스터미널|{{{#orange 안산}}}]] * 16번: --[[선산휴게소|{{{#orange 선산휴게소}}}]]--, [[인천종합터미널|{{{#Magenta 인천}}}]], [[인천공항터미널|{{{#Magenta 인천국제공항}}}]] * 17번: [[선산휴게소|{{{#skyblue 선산휴게소}}}]], [[서울고속버스터미널|{{{#purple 서울경부}}}]] * 18~23번: 하차장 == 대중 교통 == === 도시철도 === ||<:><-6> '''[[부산김해경전철|{{{#000,#ddd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경우'''|| ||<:><-6> '''[[봉황역|{{{#000000 봉황역(김해터미널)}}}]]'''|| ||<:><-2> [[가야대역|{{{#!html
가야대(삼계) 방면}}}]] [[연지공원역|연지공원]], [[박물관역(김해)|박물관]], [[수로왕릉역|수로왕릉]]||<:><-2>[[부산김해경전철|{{{#!html
부산김해경전철
(20)
}}}]]||<:><-2>[[사상역|{{{#!html
사상 방면}}}]][[부원역|부원]], [[대저역|대저]], [[공항역(부산)|공항]] || === 시내버스 === ||<-5> 시내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 ||<-2> 정류장명 ||<-2> 노선 || 비고 || ||<-2> 김해터미널(정문)[br](정류장 번호: 3058) ||<-2>{{{+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2|{{{#ffffff 2(어방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2-1|{{{#ffffff 2-1(어방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3|{{{#ffffff 3(풍유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4|{{{#ffffff 4(풍유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6|{{{#ffffff 6(화목4통)}}}]]}}}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14-1|{{{#ffffff 14-1(진영)}}}]]}}}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21|{{{#ffffff 21(장유, 율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21-1|{{{#ffffff 21-1(주촌, 장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30-1|{{{#ffffff 30-1(옥천소류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31|{{{#ffffff 31(김해골든루트산업단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59-1|{{{#ffffff 59-1(봉림)}}}]]}}} {{{+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82|{{{#ffffff 82(외동차고지)}}}]]}}} {{{+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140|{{{#ffffff 140(진영, 창원, 마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300|{{{#ffffff 300(봉하마을)}}}]]}}} {{{+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대동공영|{{{#ffffff 대동공영(대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상동공영1|{{{#ffffff 상동공영1(상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상동공영2|{{{#ffffff 상동공영2(상동)}}}]]}}} {{{+1 }}}|| || ||<-2> 김해터미널(남문)[br](정류장 번호: 2921) ||<-2>{{{+1 }}}{{{+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30|{{{#ffffff 30(풍유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35|{{{#ffffff 35(풍유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44|{{{#ffffff 44(장유, 진영)}}}]]}}}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56|{{{#ffffff 56(풍유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58-1|{{{#ffffff 58-1(풍유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60|{{{#ffffff 60(풍유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61|{{{#ffffff 61(풍유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72|{{{#ffffff 72(풍유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김해 버스 도시형2|{{{#ffffff 도시형2(칠산서부동)}}}]]}}} {{{+1 }}}|| 외동차고지 종점 버스는 제외 || [[분류:경상남도의 버스 터미널]][[분류:김해시의 교통]][[분류:김해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