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토교통부장관)] ---- || {{{#fff '''김현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도|{{{#cfa547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cfa547 고양시 일산서구}}}]])'''}}} || || 제18대[br][[김영선(1960)|김영선]] || → || '''제19대[br]김현미''' || → || ''선거구 개편''[br]'''김현미'''[*A [[제20대 국회]]에서 [[고양시]] [[일산서구]] 선거구가 [[고양시 정]]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도|{{{#cfa547 경기}}}]] [[고양시 정|{{{#cfa547 고양시 정}}}]])'''}}} || || ''선거구 개편''[br]'''김현미'''[*A] || → || '''제20대[br]김현미''' || → || 제21대[br][[이용우(1964)|이용우]] || ---- [include(틀:역대 예산결산특별위원장)] }}} || ---- ||<-2> '''[[국토교통부장관|{{{#fff 대한민국 제4대 국토교통부장관}}}]][br]{{{+1 김현미}}}[br]金賢美 | Kim Hyun-me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현미장관.png|width=100%]]}}} || ||<|2> '''출생''' ||[[1962년]] [[11월 29일]] ([age(1962-11-29)]세) ||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읍]] 연정리[* [[http://www.jnewsk.com/news/articleView.html?idxno=67232|#]]] || || '''거주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하이파크시티 일산아이파크 1단지[*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01111_0001230247|"김현미 한마디에 거지 아파트 됐다" 일산 주민들 '부글부글']]][* 과거에는 [[연천군]]에도 별장을 가지고 있는 다주택자였다. 다주택 규제 정책을 밀어붙이면서 본인이 다주택인 점에 대해 비판이 있자, 연천 별장을 매각했다. 그런데 그걸 [[시동생]]한테 팔고, 남편은 여전히 [[전세]]로 거주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 || '''본관''' ||[[김해 김씨]] || || '''현직''' ||[[전북대학교]] 특임교수 || ||<|2> '''재임기간''' ||제4대 국토교통부장관 || ||[[2017년]] [[6월 21일]] ~ [[2020년]] [[12월 28일]]|| || '''SNS''' ||[[http://hyunmee.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http://blog.naver.com/429khm|[[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facebook.com/hyunmeek|[[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yunmeek, 크기=22)] | [[https://www.youtube.com/user/hyunmee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김병태, [[어머니]] 신정순 || || '''형제자매''' ||1남 7녀 중 둘째 || || '''배우자''' ||백장현 || || '''자녀''' ||슬하 2남[* [[장남]]은 [[1990년]] 생이고, [[차남]]은 [[1994년]] 생이다.] || || '''학력''' ||신태인국민학교[* [[https://www.jjan.kr/article/20170702615060|#]]] {{{-2 (졸업 / 50회)}}}[br]왕신여자중학교[* [[https://school.jbedu.kr/wangsin/M010401/view/1004522?s_idx=28|#]]] {{{-2 ([[졸업]] / 11회)}}}[br][[전주여자고등학교]] {{{-2 ([[졸업]] / 51회)}}}[br][[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정치외교학]] 81 / [[학사]])}}}[br][[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 ([[석사]]과정 중퇴)}}} || || '''종교''' ||[[개신교]] {{{-2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0569&code=23111111&cp=nv|출처]]][* [[거룩한빛광성교회]] 권사라고 한다.]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17대 국회의원|'''17''']],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 || '''경력''' ||새천년민주당 부대변인[br]대통령비서실 국내언론비서관[br]열린우리당 대변인[br]열린우리당 경기도당위원장[br]새정치민주연합 원내정책수석[br]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br]예산결산특별위원장[br]제17, 19, 20대 국회의원[br][[국토교통부장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제19, 20대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을 지냈다.[* 다만 17대는 비례대표를 역임하였다.] 또한 [[문재인 정부]]의 첫 [[국토교통부장관]]이자 역대 최장수 국토교통부장관이다. == 생애 == 1962년 11월 29일, [[전라북도]] [[정읍시|정읍군]](現 [[정읍시]]) [[신태인읍]] 연정리에서 아버지 김병태와 어머니 신정순 사이에서 8남매(1남 7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김종문(1907)|김종문]](1907 ~ 1951)은 제헌 국회의원, 작은할아버지는 [[경찰서장]]이었으며, 아버지 김병태(金鋲泰, 1940. 2. 12 ~ 2010. 6. 29)[* 1978년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정읍군, 무소속), 재선 정읍시의회 의원,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6475|제3대 정읍시의회 후반기 의장]] 등을 역임했다.]는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정읍군, 무소속), 제3대 정읍시의회 후반기 의장, 숙부 김규태(金圭泰)는 [[대한민국 공군|공군]] [[대령]]을 지낸 [[금수저]] 집안이었다고. 하지만 신태인국민학교(50회), 왕신여자중학교(11회), [[전주여자고등학교]](51회)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81학번)에 입학한 뒤 [[민주화운동]]에 투신했고, 연세대학교 졸업 이후에는 형광등 제조 [[공장]]에 위장취업해 [[노동운동]]에 종사했으나, 이를 알게 된 가족들의 만류로 6개월 만에 그만두었다. === 정치 입문 === [[1987년]] [[평화민주당]]을 시작으로 [[민주당계 정당]] 당직자로 활동하다가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부[[대변인]]에 임명되면서 본격적인 정치인으로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여타 부대변인이 정치인들의 이력서 채우기 용도였던 것과 달리 김현미는 부대변인으로서의 상당한 역량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0133966|당시 한나라당이 그에 대응하는 맞수를 발굴할 필요성을 느끼게 할 정도였다.]] 부대변인 활동은 2002년 대선 종료 때까지 계속되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16대 대선]] 때는 [[노무현]] 후보 선대위에서 부대변인으로 맹활약했다. [[노무현]]이 TV토론 종료 후에 "김 부대변인이 웃는 것을 보니 제가 잘 했나 봅니다"라고 할 정도로 상당히 신뢰했던 인물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초대 청와대 대변인으로도 거론되었지만, 결국 국내언론1[[비서관]]으로 청와대에 입성하게 되었다. 이후 2003년 8월 정무2 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겨 2004년 초까지 청와대에서 활동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17대 총선]]를 앞두고 전북 지역 출마를 고려했으나, [[비례대표]]로 선회하여 [[열린우리당]] 11번에 배치되면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선거 기간 동안에는 선대위 총선기획단 부단장 겸 대변인 역할을 맡아 열린우리당의 과반수 의석 획득에 큰 공을 세운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때에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선거구에서 출마했으나, 현역 의원이었던 [[한나라당]] [[김영선(1960)|김영선]] 후보에게 패배하였다. 4년간 절치부심한 후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정) 선거구에 출마하여 [[새누리당]] 김영선 의원과 다시 만나 김영선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재선 이후 [[문재인]] 대표 체제에서 초대 당대표 [[비서실장]]과 원내정책수석 등 당내 중책을 맡으며 중앙정치인으로 입지를 다져나갔다. === 20대 국회의원 ===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일산서구에서 일산 2동이 떨어져나간 [[고양시 정]] 선거구에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또다시 새누리당 [[김영선(1960)|김영선]] 후보를 따돌리고 3선에 성공하였다. [[http://blog.naver.com/429khm/220682607750|당선사례]] 3선이 확정된 이틀 후인 4월 15일 더불어민주당의 비상대책위원으로 선임되었다. [[20대 국회]] 출범 이후, 2016년 6월 13일 [[대한민국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대 1기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여성 의원이 해당 위원장으로 선출된 것은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이다. === [[국토교통부]]장관 === ==== 장관 내정 ====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었고, 당선된 뒤 [[문재인 정부]]의 초기 [[국토교통부장관]]으로 내정되었다. 그동안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전문성을 인정받아 왔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적폐청산 요소로 지명된 4대강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기로 유명하며, 내각 여성 30% 이상 기용 공약에 부합하는 인사이기에 여러 가지 정무적 고민이 있었던 장관 지명이라는 평. 다만 국토 및 건설과는 전문성이나 경험이 없는 전형적인 낙하산이기 때문에 논란도 있다.[* 실제로도 장관 취임 이후에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김현미와 오랜 교분을 유지하고 있는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정동영]] 의원은 [[https://twitter.com/coreacdy/status/877708845228843008|'국토부를 개혁해 내는 데 열정을 가진 사람']]이라고 호평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임명과 [[안경환]] 법무부장관 후보자 사퇴로 인하여, 청와대와 야당의 공방으로 분위기가 급속도로 냉각되어 [[인사청문회]] 보고서 채택이 계속해서 연기되었다. 하지만 21일 자유한국당이 불참한 [[국토교통위원회|국토위]]에서 국민의당의 협조로 김현미 후보자의 청문보고서가 통과되었다. 청문보고서에서 다양한 상임위원회 활동으로 장관으로서 역할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는 의견이 첨부되었다. 이로써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국토교통부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자질면에서 청문보고서는 "김 후보자는 최초의 여성 국토부 장관 후보자로서 그동안 [[정무위원회|정무위]], [[기획재정위원회|기획재정위]], 서민주거복지특별위 및 예결위 등에서 부동산 관련 조세, 금융 및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관련 의정활동을 수행해 왔기 때문에 타 부처와 균형 있는 상호 이해 및 정책공조에 적절히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이 첨부되었다. 2017년 6월 12일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 후보자는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의원의 국회 인사청문회 서면질의서에서 [[대도시권 광역교통청|수도권 광역교통청]] 신설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설치 방안을 장기적으로 간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12/0200000000AKR20170612129300003.HTML|언론보도]] ==== 취임 이후 ==== >살 만한 주택이 부족해서 집값이 오르는 게 아니라 투기세력 때문에 집값이 오르는 거다. 취임사에서 부동산 '투기세력'을 정조준했다. [[http://www.huffingtonpost.kr/2017/06/23/story_n_17263420.html|전문]][* 정작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의 주택보급률은 아직도 100% 미만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환경이 매우 열악하다고 평가받는 재건축 대상 아파트, 구축 빌라, 반지하 까지 전부 다 합산해도 수도권에 거주하는 세대수보다 주택 수가 적다는 이야기.][* 문제는 그 [[LH 사태|투기세력이...]]] 2017년 7월 30일부터 8월 6일까지 하계 휴가를 가졌으나 휴가중인 8월 2일에 갑자기 당정회의에 참석하여서 [[8.2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후 다시 휴가를 떠나는 해프닝을 보여주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신중한 검토를 거쳤어야 할 [[8.2 부동산 대책]]이 사실은 [[문재인]] 대통령의 '''집값 잡으면 피자 쏜다'''라는 발언 이후 담당 부처 장관이 제외된 곳에서 급조된 졸속 대책이라는 의혹이 [[http://www.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44|제기]]되기도 하였다. 또한 연천군 주택은 지난 2012년 경기 연천 일대 2483㎡ 대지를 1억8000만원(공시지가 7672만원)에 매입했고, 이후 2015년 대지 일부인 873㎡에 단독주택(85.95㎡)을 지은 것으로 알려진다. 구입 당시에는 농사를 짓겠다고 땅을 취득했지만, 이후 4개월 만에 건물을 짓겠다며 형질을 변경했고, 이 과정에서 땅값이 2배로 뛰었다는 논란도 제기됐다. 임기 중 부동산 폭등으로 인해 욕을 엄청 먹었으며,[* 다만 [[9.13 부동산 종합대책|9.13 대책]] 이후로는 상황이 반전될 기미가 보이는 상황이었다가, 2019년 6월 들어 다시 아파트 값이 오르기 시작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22/2019062200213.html|#]] ] 여의도 및 용산 개발, 그린벨트 등 부동산 정책을 두고 [[박원순]] 서울시장과의 정책 엇박자 논란도 있었다. 그 외에도 [[진에어]] 사태, [[BMW 차량 연쇄 화재 사고]], [[강릉선 KTX 탈선 사고]] 등의 사건사고가 계속 터지면서 욕을 바가지로 얻어먹었다. 게다가 일각에서는 지나치게 [[북한]]만 신경쓰는 [[친북]]행위를 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본인 말로는 욕을 하도 많이 먹어서 150세까지 살 것 같다고. [[http://m.khan.co.kr/view.html?art_id=201901050600035|#]] 또 2019년 새해부터는 [[문재인 정부/평가/경제/부동산 정책#s-4|공시지가 파동]]을 일으켜 시장을 왜곡시키고 세금을 뜯어간다는 비판을 받았다. [[2019년]] 2월 [[유시민의 알릴레오]]에 출연해 최근의 부동산 투기에 대해서 언급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FW8DWpolyw|#]] [[문재인 정부]]의 [[2019년]] [[3월]] 둘째 주에 진행할 개각에서 [[문재인 정부]] 초기 내각 중 [[제20대 국회|현역]] [[제20대 국회의원|국회의원]] 출신 [[장관]]들과 함께 개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_ttFHK9nia8|#]] 그러나 그런일 없고 최장수 장관으로 2020년 6월 말 기준 아직도 현역이다. ==== 유임 이후 ==== 2019년 3월 8일 후임 국토교통부 장관으로 [[최정호(1958)|최정호]]가 지명되었으나, 자신의 다주택 이력으로 인하여 3월 31일 사퇴하여 김 장관이 유임되었다. 4월 8일 김 장관은 "나는 임기가 조금 연장된 장관이 아니라 [[문재인 정부]]의 2번째 국토부 장관이라는 각오로 이 자리에 섰다"며 "'전임 김현미 장관'이 추진하던 사업 중 좋은 정책은 일관되게 계승해 나가고, 미진했거나 진척이 없는 사업은 더 속도를 내고 새로운 과제를 발굴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9040832161|#]] 유임 이후에도 꾸준히 논란거리를 만들어내고 있다. 2019년 5월 [[3기 신도시]] 2곳을 추가로 발표했는데, 자기 지역구인 [[일산신도시|일산]] 근처에 [[창릉신도시]]를 짓기로 하여 지역구 주민들로부터 배신자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일산신도시와 인접한 [[운정신도시]] 주민들도 반발하고 있다. 3기 신도시 발표 이후 일산을 버리고 고향 [[정읍시|정읍]]에 출마한다는 [[https://www.youtube.com/watch?v=pZSoeDqB5R8|소문까지 돌았지만]], 본인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에서 [[http://www.segye.com/newsView/20190626511385|일산에 출마하겠다고 하였다]]. 내려가던 집값이 다시 올라가자 김 장관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택지비와 건축비에 건설업체 적정 이윤을 보태 분양가를 산정하여, 그 가격 이하로 분양하는 제도이다.]를 검토하겠다고 하였지만, 공급 감소로 장기적으로 집값 상승을 부추길 수밖에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9070901071703008001|#]] 또 거기에 국토부가 발표한 '혁신성장과 상생발전을 위한 택시제도 개편방안'을 두고 [[타다(서비스)|타다]]의 진입장벽을 높여 택시업계만 보호하고 [[혁신성장]]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527320|#]] 자세한 내용은 [[/비판 및 논란|하위 문서]] 참조. 총선을 9개월 정도 앞두고 부동산·도시 전문가인 [[김현아]] 의원과 [[분양가상한제]], [[일산신도시|일산]] 집값 등을 소재로 논쟁을 벌이는 중이다. 김현미의 창릉신도시 추진으로 인해 지역구의 여론이 상당히 악화된 만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에서 김현아 의원이 김 장관의 지역구에 출마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는 상황이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710_0000707305|#1]]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19/07/546009/|#2]][* 그러나 후술하겠지만 결국 자의 반 타의 반 불출마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8월 12일, 여러 비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발표되었다. [[서울특별시|서울]], [[과천시|과천]], [[세종특별자치시|세종]], [[분당구|분당]] 등 투기과열지구에 적용된다고 한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19/08/620318/|#1]]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1908127927e|#2]] 2019년 9월 18일 차기 총선에 불출마할 것이라는 내용의 기사들이 보도되었지만([[https://news.v.daum.net/v/20190918074901020|#]]), 보도 당일 '사실무근'이라는 반박 기사도 등장했다.([[https://news.v.daum.net/v/20190918120306154|##]]) 2019년 10월 31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에서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수도권 광역급행철도 D노선]] 등의 대책이 담긴 '광역교통 2030'을 발표했는데, 총선용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재원 조달 방안이 없는데다가, 기존 [[1기 신도시]], [[2기 신도시]]들에 대한 대책도 미비한 상황이다.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101/98168219/1|#]] 2019년 11월 21일 [[2019년 한국철도공사 총파업|한국철도공사 총파업]]에 대해 "추가 수익이나 비용 절감 없이 일시에 4,000여명 인력을 증원하는 건, [[코레일]] 재무여건 악화와 운임 인상 등 국민부담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파업을 비판하면서 직무 복귀를 촉구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1221746721108|#]] 결국 후임 인선문제, 각종현안이 산적해있는데다 또한 지역 여론 악화[* [[3기 신도시]] 관련으로 자신의 선거구인 고양시 여론이 본인과 더불어민주당에게 급격히 나빠졌다.]로 인해 자의 반 타의 반 불출마 결정에 이르렀다. 2020년 1월 3일, 마찬가지로 국무위원과 국회의원을 겸직 중인 [[박영선]], [[진영(정치인)|진영]], [[유은혜]] 장관과 함께 공식 불출마 선언을 했다.[[http://news1.kr/articles/?3807768|#]]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언급으로부터 1년 이후인 2020년 6월,[* 상한제 시행은 2020년 4월에 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7월로 연기되었다.] 서울, 수도권, 지방 할 것 없이 매매가, 전세가 모두 올라버리면서[* 심지어 중간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경제 전반이 큰 타격을 입은 상황이었다.] 서민들이 집 사기도 임대하기도 어렵게 되었다. 건설사들의 공급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주택 인허가 물량도 상한제 언급 이후 떨어졌다. 시행하기 전인데도 벌써부터 청약 광풍, 공급 축소, 집값 급등 등의 부작용만 불러오게 된 것이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Z40WFRQW7|#]] 한편 취임 이후 온갖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는데도 집값이 잡히지 않자, 21번째 부동산 대책인 '[[6.17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지만, 이에 대한 논란이 많다. 해당 문서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부총리|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임명설이나, 차기 [[전라북도지사]] 출마설이 돌고 있다. [[https://news.joins.com/article/olink/23409917|#]] 7월 2일,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문재인]] 대통령이 김현미 장관을 [[청와대]]로 불러 부동산 대책에 대해 지시를 내렸다.[* 이날 [[리얼미터]] 조사에서 부동산 정책 불만, 남북관계 악화, 인국공 사태 등 악재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지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50%선이 붕괴했다. 특히 그동안 문재인 정부 지지율이 40대 다음으로 높었던 30대에서 7.4%p 하락해 낙폭이 가장 컸다. [[http://www.realmeter.net/리얼미터-7월-1주-차-주중-동향-文-대통령-긍정-49-4-vs-부정-46-1/|#]] 30대가 경제 문제에 민감해 부동산 및 인국공 사태에 민감하게 반응했다는 분석이 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70209310003303|#]]] 실수요자와 서민들의 부담을 줄이고, 이를 위해 세금부담을 완화하며, 다주택자 등 투기성 주택 보유자에 대해서는 부담을 강화하고, 공급 물량도 크게 늘리라는 것. 그리고 고가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를 강화하는 종부세법 개정안을 21대 국회 최우선 입법과제로 내세웠다.[* 물론 문재인의 인식 역시 논란이 있다. 공급 확대를 주문한 것은 맞는 방향이나, 여전히 과세 강화, 대출 규제 등 수요 억제에 치우쳐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효과는 있을지 몰라도 중장기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전망이 있다.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02/2020070204341.html|#]]] [[http://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209755|#]] 결국 재건축, 재개발 등 공급 확대를 골자로 한 [[8.4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는데, 이조차도 재건축 조합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2020년 8월 12일 발표된 쿠키뉴스·데이터리서치의 여론조사에서, 문재인 정부의 성공적인 국정수행을 위해 물러나야 할 인물 2위(19.3%)로 김현미가 꼽혔다. 1위(32.7%)는 [[추미애]].[* 3위부터는 [[김상조]], [[홍남기]], [[이인영]], [[노영민]] 순으로 꼽혔는데, 응답 비율에 큰 차이가 없어 거기서 거기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나마 추미애는 정부여당 지지층들의 강한 지지로 인해 국정수행에 많은 기여를 한 인물 1위(20.9%)로 꼽히기라도 했지만, 김현미는 그런 것도 없어 2.8%로 기여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008110348|#]] 2020년 9월 17일, [[이스타항공]] 관련 논란의 중심에 있는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과는 누나-동생 사이로 친밀하고, 이스타항공 매각을 위한 만남도 가졌다는 내용의 녹취록이 공개되었다. 참고로 두 사람 모두 전북 전주에 연고가 있다. [[https://www.chosun.com/politics/2020/09/17/WUWPTWD4SVHTRH2G6D4ZPSO5RQ/|#]] 2020년 9월 22일, 취임 1190일을 맞아 '''역대 최장수 국토교통부장관이 되었다'''. 종전 최장수 장관은 [[이명박 정부]] 당시 [[정종환]] 국토해양부장관으로, 1189일 동안 재임했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092132477|#]] 2020년 11월 11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서 김현미가 주는 표창을 거절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제5회 부동산 산업의 날에서 국토부장관 표창 수여자 후보를 내지 않은 것이다. 협회 관계자는 [[매일경제]]와의 통화에서 "시간이 촉박해 후보자 검증이 어렵다는 취지로 안건을 부결했지만, 협회 내에서 '''전국의 임대인과 임차인의 몰매를 맞는 장관이 주는 상을 받을 수 없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말했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11/1159101/|#]]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0/11/11/V4PIQPSNMRDXJDXGOOMPGGMBZY/|#]] ==== 교체 ==== [youtube(IGVqXzAomLM)] 2020년 12월 4일, 청와대가 개각을 단행하며 3년 반 동안 문재인 정부의 국토교통부 장관을 맡았던 김현미 역시 교체 대상에 포함되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15846625995240&mediaCodeNo=257&OutLnkChk=Y|#]] 후임 장관으로는 [[변창흠]] LH 사장이 내정되었는데, 김현미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규제와 세금을 좋아하는 사람인지라 부동산 정책 기조는 그대로일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기 과거 발언들이 알려지면서 '''김현미 매운맛 버전'''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04/2020120402056.html|#]]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01204/104293744/2|#]] 이와 관련해 [[이혜훈]]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의원은 "김현미는 종범, 변창흠은 주범"이라며 "'정책 전환은 없다'는 시그널"이라고 비판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ZBJY2XKI5|#]] [[변창흠]] 후보자에 대해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12월 28일 여당에서 단독으로 인사청문보고서를 채택하고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하면서, 1285일(약 3년 6개월)만에 장관직에서 퇴임하게 되었다. 이날 이임사에서 "집 걱정을 덜어드리겠다는 약속을 매듭짓지 못하고 떠나게 되어 무척 마음이 무겁고 송구하다"면서도, "수도권 127만가구 공급 기반을 확충하고 31년 만에 임차인의 거주권을 2년에서 4년으로 보장하는 [[임대차 3법]]이 통과된 만큼, 머지않아 우리 국민들의 주거 안정은 꼭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끝까지 임대차 3법을 옹호했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12/1327882/|#]] === 퇴임 이후 === 2021년 5월 [[전북대학교]] 특임교수로 임명되었다. 특임교수 임기가 2022년 5월까지인데다가 서울권 대학이 아닌 [[전라북도]]의 [[거점국립대학교]]인 전북대로 온 것으로 인해 정치적 기반을 전북으로 옮겨 [[전라북도지사]] 선거나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해당 지역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현재 [[전주시 을]] 지역구인 [[이상직]] 의원이 재판을 받고 있고, 전북 지역구 국회의원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할 경우 발생하는 보궐선거에 출마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출마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냐는 예측이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2/0002187068?sid=102|#]] 2021년 12월 9일, 경기 연천군 일대에 2480m^^2^^의 농지를 매입하고 주택을 지었지만 농사를 짓지 않는 등 농지법 위반을 비롯한 여러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경찰 조사를 받았다.[[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1209/110704281/2|#]] 조사 결과 무혐의 처분이 나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4755335?sid=102|#]]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기점으로 상당히 난처한 입장에 처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4802636?sid=100|대선 패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부동산 정책이 거론되었던 만큼]]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의 주무부처 장관이었던 김현미 전 장관에게도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질 수밖에 없는 상황. 결국 대선 직후 민주당 21대 대선 경선 후보자였던 김두관 의원은 김현미 전 장관을 포함한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582536?sid=100|부동산 정책 책임론자들에 대한 출당을 단호하게 요구함으로써 책임론이 불거졌다.]] 2022년 3월 30일 더불어민주당 [[박지현(정치인)|박지현]] 비상대책위원장이 전 정권에서 부동산 정책 등 논란이 있었던 사람은 6월 1일 지방선거에 공천하지 않겠다고 으름장을 놓기도 하였다. 결국 2022년 4월 7일까지 있었던 [[전라북도지사]] 예비후보등록을 하지 않으면서 불출마했다. ==== 사의재 활동(2023~) ==== 2023년 1월, 본인, [[김상조]], [[김수현(교수)|김수현]] 등 문재인 정부의 인재들이 구국의 신념으로 뭉쳐 사의재라는 씽크탱크를 구성한다고 한다. [[https://namu.news/article/1867943#gsc.tab=0|文정부 인사들 모여 정책포럼 발족…김상조·김수현 등 참여]] == [[/비판 및 논란|비판 및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현미/비판 및 논란)] == 어록 == >부동산 정책은, 투기를 조장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정부가 결정해야 한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7년 6월, [[국토교통부장관]] 취임사에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1693798#home|#]] >'''사는 집 아니면 파시라''' >---- >[[8.2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 [[청와대]] 공식 페이스북 인터뷰에서. >'''동네 물 나빠졌네''' >---- > 2020년 1월, 일산 주민 간담회에서 >[[유체이탈 화법|"집을 팔면 좋죠. 좋았겠는데 그런 점은 저도 아쉽게 생각한다."]] >---- >청와대 참모들 중 다주택자들은 집을 팔라는 [[노영민]] 비서실장의 말에 1명만 따른 것에 대해 >[[이용호]]: 부동산 대책이 다 실패하지 않았나? >김현미: 지금까지 정책은 다 ~~잘~~ 종합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봅니다.[* 국토부에서 '''잘'''이라는 단어는 안썼다고 정정보도를 요청했다.[[https://www.gov.kr/portal/ntnadmNews/2197607|#]] ] >---- >2020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 질의답변 중, [[이용호]] 무소속 의원의 질의에 대해. >'''"부동산 대책은 4번 냈고 22번째라는 것은 언론이 온갖 것들을 다 붙여서, 4번째인데 22번째라고 한 것."''' >---- >2020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 질의답변 중, 22번째 부동산 대책을 내지 않았냐는 [[이용호]] 무소속 의원의 질의에 대해. >참고로, 김현미가 이 말을 할 당시 청와대피셜 주요 부동산 정책만 해도 10건이다. [[http://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5571#L3|#]] >'''서울 주택공급은 부족하지 않다.''' >---- >2020년 7월 14일,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서 한 말. >사실 김 장관은 2017년 정권 초부터 일관되게 이 주장을 하였으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030926|서울 주택 공급은 부족하지 않다는 기조를 바꾸지 않았다]] >이 말을 하고 겨우 3주 뒤, 정말 [[영끌]]해서 모은 13만 가구 공급 계획을 내놓았다. 그나마 그 13만 가구 중 확실한 분량은 3만 가구가 전부이다. 11월에는 국민들의 원성이 하늘을 찌르니 이미 서울시에서 실패했던 호텔을 주거시설로 임대하겠다는 급조된 정책을 내놓았다. 애시당초 진작에 제대로 된 주택공급을 늘렸으면 됐을 일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집값은 11%만 올랐다"''' >---- >2020년 7월 24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서병수]] [[미래통합당]] 의원의 질문에 답변하며. >참고로, 11%는 빌라, 단독주택등을 '''모두''' 포괄한 단어다. >'''"문재인 정부 들어 서울 아파트값은 14%만 올랐다"''' >---- >2020년 7월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5&aid=0001362846|#]] >'''"현장과 괴리된 통계는 정부에 대한 불신만 키웁니다. 또한 [[사다리 걷어차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는 위험천만한 일이기도 합니다."''' >---- >국토부장관 취임사에서. 집값이 11% 상승했다는 발언을 한 뒤, [[JTBC 뉴스룸]]에 출연했을 때 앵커에게 [[문적문|부메랑처럼]] 돌아오게 된 발언이다. 앵커가 김현미의 과거 발언을 읽어주면서 기억하냐고 묻자, 김현미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쪽에서 한 말이 아니냐고 답해 비웃음을 산 건 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962995|#]] >'''[[유체이탈 화법|"다주택자와 법인 등이 내놓은 물건을 30대가 영끌해서 샀다는 데 안타까움을 느낀다"]]''' >---- >2020년 8월 2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의 질의에 대해. [[30대]]의 영끌이 안타깝다는 해당 발언애 대해 부동산 시장 현실을 모른다는 비판이 나왔다.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29/2020082990049.html|#]] 더불어민주당의 박성민 최고위원도 "'영끌' 등 청년들의 심리를 이해하지 못하는 듯한 발언들이 정치권에서 여러 번 나왔다"며 "섬세하지 못한 정치권의 반응은 청년들에게 상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862785|#]] >'''[[가짜 뉴스|"몇 개 아파트를 모아서 10억원이 넘는 것을 가지고 서울 전체인 것처럼 해서 기사를 쓴 것으로 알고 있다"]]''' >---- >부동산114의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10억원 돌파" 발표에 대해. 해당 발언에 대해 정부가 원하지 않는 통계 수치를 무시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실제로 2020년 8월 [[KB국민은행]] 조사에서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9.85억으로 10억에 근접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27/2020082700211.html|#]] [[https://www.sedaily.com/NewsView/1Z6QBLUN39|#]] >'''[[의도는 좋았다|"과거 여당이 임대차법 안한 이유, 이제 알겠다"]]''' >---- >2020년 10월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임대차 3법]] 시행 후 임대차 시장 혼란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자 "과거 야당에서 서민주거복지 특위에 있을때, 기재위 간사를 할 때 '임대차3법을 개정하자'고 했는데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 의원들이 법 개정하면 단기간 이런일(혼란)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고 술회하였다. 현 상황에 대해서도 "당시 여당이 저한테 그런 이야기를 했는데 요즘 이런 상황에서 '이래서 안한다 했겠구나' 생각을 한다"며 심정적인 어려움을 드러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4489055|#]] >'''"아파트가 빵이라면 밤새워서라도 만들겠다"''' >---- >2020년 11월 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회의 중 주택 공급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1130/104219219/1|#]] >"(3기 신도시) 발표 직전까지 우리가 실제로 택지를 검토하던 곳은 거의 언급이 안 되고 빗나갔다. 신기하고 짜릿했다" >---- >2018년 12월 31일, 당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3기 신도시 후보지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보안이 잘 지켜져 "신기하고 짜릿했다"는 취지로 말했는데,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부동산 투기 사건|LH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 사건]]이 드러나며 누리꾼들의 조롱 대상이 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3476715|#]] == 여담 == * 평소에 수소차를 자주 타고 다닌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2915283|#]] * [[전주시]]에 김현미 장관을 공개처형하라는 벽보가 붙은 적 있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9022710162430497|#]] * 동료 의원에 의하면, 최정호 사퇴로 인한 장관 유임 이후 가족여행 계획도 다 취소해버렸다고 한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436492|#]] * [[창릉신도시]]의 [[3기 신도시]] 지정을 두고 지역구 배신 논란이 심해지자, [[방탄소년단]]의 Ma City라는 곡을 공유했다. 해당 곡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도시가 자신의 지역구인 일산이기 때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520500076|#]] 그러나 지금까지 일산신도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통 등의 대책은 상당히 미비한 상태이다.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는 공통점이 많으며 상당히 친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두 의원 모두 62년생이라는 점, 부대변인으로 인지도를 높였다는 점, [[일산신도시|일산]]이 지역구라는 점, [[문재인 정부]]에서 의원과 장관을 겸직하고 있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 불출마 선언을 했다는 점 등 공통점이 여럿 있다. 덕분에 두 사람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에서 공동으로 공약을 발표하고 공동유세를 하기도 했다. 그리고 김현미 장관이 청년 주거 문제를 점검하기 위해 현장에 나갔을 때 일부 주민들이 김현미를 교육부장관으로 알고 건의/비판을 했는데, 김 장관이 그걸 유 장관에게 전달했다고 한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1031169068148|#]] * [[이광재]]와 [[최재성(정치인)|최재성]]을 헷갈린 적이 있다. [[http://m.blog.daum.net/dink0726/1917|#]] * [[이용우(1964)|이용우]]가 자신의 지역구를 사수하는 데 성공하자 그에게 감사를 표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755434|#]] * 2020년 6월 30일 [[국토교통부]]가 [[추풍령휴게소]]에 [[경부고속도로]] 50주년 기념비를 세웠다. 그런에 이곳에 본인의 이름은 적혀있는 반면,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주도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이름은 쏙 빼먹어서 논란이 되었다.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08/2020070800069.html|#]] * 국토교통부장관 시절 쇼킹부동산, [[라이트하우스]] 같은 집값 하락론을 펼치는 부동산 유튜버들을 구독한 게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자 계정을 비공개로 바꾸었다가 삭제했다.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0/09/02/KAUQGHMJFBCI3BMRS7PXYN2TIE/|#]] [[:파일:국토부장관 유튜브.png|유튜브 캡쳐]]. 구독 채널이 알려지면서 여러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조롱과 비웃음을 샀다. 2023년 현재 유튜브 계정은 복구된 상태지만, 구독 목록은 비공개 상태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6 - 2000 || 정계 입문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창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현재 || 당명 변경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열린우리당)] || '''8,145,824 (38.26%)''' || '''당선 (11번)''' || '''초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 경기 고양 일산서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40,198 (41.84%) ||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통합당)] || '''63,432 (50.64%)''' ||<|2> '''당선 (1위)''' || '''재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고양시 정|고양 정]]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6,959 (49.15%)''' || '''3선'''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대 비례 열우당.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8대 총선 김현미.jpg|width=10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7대 총선}}}]] [[비례대표|{{{#000000,#e5e5e5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11번)}}}]]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8대 총선}}}]] [[고양시 정|{{{#000000,#e5e5e5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대 총선 김현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대 총선 김현미.jpg|width=10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9대 총선}}}]] [[고양시 정|{{{#000000,#e5e5e5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0대 총선}}}]] [[고양시 정|{{{#000000,#e5e5e5 (경기 고양시 정)}}}]] ||}}}}}}}}} || == 둘러보기 == [include(틀:김현미)] ---- [include(틀:문재인 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열린우리당 제17대 국회 비례대표)]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경기도)]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기도)]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부동산)] [[분류:김현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