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김현수}}}[br]金玄洙'''}}} || ||<|2> '''출생''' ||[[1914년]] [[8월 11일]] || ||[[충청남도]] [[논산시]] [[논산시/행정|부적면]] 아호 161 || || '''사망''' ||미상 || || '''이명''' ||김정안(金汀岸), 김정환(金正煥), 후잉(湖影), 주신화(朱新華) || || '''학력''' ||낙양군관학교 {{{-2 (졸업)}}} || || '''서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23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1914년 8월 11일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에서 태어났다. 1935년 4월 중국 남경으로 건너가 낙양군관학교를 졸업하고, 1936년 1월에 [[김구]]파의 일원으로 [[상하이시|상하이]]에서 남화한인청년연맹에 가입했다. 이후 1937년 11월 [[중국]] [[상하이시|상하이]]에서 [[친일반민족행위자|친일파 거두]]인 상해거류민회 회장 이갑녕(李甲寧)을 처단하는 활동 등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선고받고, 1941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수형자에 대한 처우개선을 요구하는 옥중 투쟁을 이끌다 추가로 징역 1년을 받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3년 김현수와 그의 조카 김용수 씨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논산시 출신 인물]][[분류:1914년 출생]][[분류:몰년 미상]][[분류:건국훈장 애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