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틱톡커 겸 유튜버, rd1=기몌민, other2=동명의 前 아나운서, rd2=김혜민(아나운서))] [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97년생 아프리카TV 소속 여성 인터넷 방송인, rd1=혜밍)] ||<-2> '''{{{+1 김혜민}}}[br]金惠敏 | Kim Hyeoim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imhyemin.jpg|width=100%]]}}} || ||<-2> '''[[한국여자바둑리그/2023시즌|{{{#fff 2023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br]포항 포스코퓨처엠 1지명}}}]]''' || ||<|2> '''출생''' ||[[1986년]] [[9월 2일]] ([age(1986-09-02)]세)|| ||[[서울특별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충암중학교]] {{{-2 (졸업)}}}[br][[명지대학교]] {{{-2 (바둑학 / 학사)}}}|| || '''직업''' ||[[바둑기사]]|| || '''소속''' ||[[한국기원]]|| || '''입단''' ||[[1999년]]|| || '''단급''' ||九단|| || '''누적 우승 경력''' ||3회||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한국기원]] 소속 [[프로]] [[여자]] [[바둑기사]]. == 상세 == [[1999년]] 입단에 성공하였다. 이 당시 13세 2개월로 당시 [[한국기원]] [[프로]] [[바둑기사]] 중 최연소라 [[경향신문]] [[스포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112000329121001&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9-11-20&officeId=00032&pageNo=21&printNo=16910&publishType=00010|1면]]에 나오기도 했을 정도. 입단 이전에는 [[안경]]을 썼다가, 입단 이후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인 성적이나 승률은 준수했지만, 계속해서 [[루이나이웨이]], [[박지은(바둑)|박지은]], [[조혜연]] 등에 밀려서 [[우승]] 타이틀은 한 차례도 따지 못하는 부진한 행보를 이어갔다. 그러나 [[2013년]] 드디어 [[여류국수전]] 타이틀을 따냄으로써, 입단 13년 5개월 만에 한을 풀었다. [[http://news.donga.com/3/all/20130319/53826137/1|기사]] 그리고 [[2016년]] [[꽃보다 바둑 여왕전]]을 따냄으로써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370&aid=0000002273|두 번째 타이틀을 차지했다]]. [[2016년]] [[한국여자바둑리그]]가 진행되던 시절 [[결혼]]에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370&aid=0000001995|골인]]하고 [[2017년]] [[한국여자바둑리그]] 중에 [[출산]]을 하여 [[한국기원]]에서 한동안 육아휴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7년]] [[9월]] [[지지옥션배]] 특별대국에 나와서 [[백성호]] 九단을 물리친 바 있다.[[http://www.cyberoro.com/news/news_view.oro?num=523455|기사]] 2018년 11월 여자 기성전에서 최정에게 0-2로 패하며 준우승했다. 2019년 5월 28일, 2019 [[한국여자바둑리그]] 3라운드 2경기에서 [[후지사와 리나]] 四단을 상대로 승리하여 승단 조건이 충족되어, 국내 여자 바둑기사 중 네 번째로 九단에 올랐다. 2020년 11월 6일 여자 국수전에서 최정에게 0-2로 지면서 준우승했다. 2022년 열린 [[제9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에서 전기 우승자였던 [[서봉수]]에게 반집을 이기더니 8강에서는 [[김미리]], 4강에서는 최규병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이민진]]과 대결했는데 백을 잡고 20집반이라는 대차로 승리하며 대주배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에 둘째를 임신한 상태라서 2022년 여자바둑리그에는 불참했다. 2022년 11월 17~18일 여자 국수전 결승에서 최정에게 0-2로 지면서 준우승했다. == 주요 경력 == * [[1999년]]: 입단 * [[2013년]]: 여류국수전 우승(vs 박지연) * [[2016년]]: [[제1회 꽃보다 바둑 여왕전]] 우승(vs [[이슬아(바둑)|이슬아]]) * [[2019년]]: 九단 승단 * [[2022년]]: [[제9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 우승(vs [[이민진]]) ==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 2021년 8월 11일 현재, 공식 대국만 기록] == === 한국 기사 === [[김은지(2007)|김은지]] 三단 2:3 [[김채영]] 七단 6:9 [[박지연(1991)|박지연]] 五단 9:13 [[박지은(바둑)|박지은]] 九단 7:19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九단 4:7 [[오정아]] 五단 9:8 [[이민진]] 八단 14:4 [[정유진(2006)|정유진]] 三단 1:1 [[조혜연]] 九단 9:14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 3:14 [[서봉수]] 九단 1:2 [[조훈현]] 九단 0:1 [[유창혁]] 九단 1:5 [[이창호]] 九단 0:2 === 중국 기사 === [[루이나이웨이]] 九단 2:9 [[왕천싱]] 五단 3:4 === 일본 기사 === [[셰이민]] 六단 1:3 [[후지사와 리나]] 六단 4:0 [[분류:1986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바둑 기사/한국]][[분류:충암중학교 출신]][[분류:명지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