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배우, rd1=김혜주(배우), other2=롯데멤버스 대표이사, rd2=김혜주(기업인) )] [include(틀:KBS의 성우)] ||<-2>
{{{#ffffff '''{{{+1 김혜주}}}'''[br]Kim Hye-j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kbsvoice.net/747151165232273.jpg|width=100%]] [[파일:김혜주_P_001.jpg|width=100%]]}}} || || '''출생''' ||[[1975년]] [[6월 26일]] ([age(1975-06-26)]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소속''' ||[[KBS 성우극회]] 28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전속: [[2000년]] ~ [[2002년]][br]프리랜서: [[2003년]] ~ 현재 || || '''링크''' ||[[http://blog.naver.com/purityit|[[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hyejoo0626|[[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김혜주의해주쇼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성우. 2000년 [[KBS 성우극회]] 28기로 입사했으며 2003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개명 전 이름은 김유현. 한때 [[상명대학교]]에서 연극교양으로 강의하였고 평은 좋은 편이었다. 현재는 [[동서울대학교]] 연기예술실용음악과 전임 교수로 일하고 있다. == 성우 갤러리의 평가 == [[성우 갤러리]]에서의 별명은 '''캐락부인.''' [[애니맥스|애니맥스 코리아]] 개국 초기에 방영한 [[암굴왕]]에서 '후작 부인'이란 배역을 맡았는데 이때 대사가 "이곳은 어떠한 쾌락도 즐길 수 있는 도시"였는데 여기서 '쾌락'을 '캐락'이라 발음해서 이에 감명받은 초창기 성우갤러들이 이러한 별명을 붙여준 것. 애니원 초창기 시절에 틀어준 히트가이 J에선 그나마 사람이 들어도 문제없는 연기를 보여줬으나 몇 년 후 방영된 [[십이국기/애니메이션|십이국기]]에서 보여준 요우카 역은 당시 아무것도 모르고 티비를 본 시청자들을 얼 빠지게 만들 정도로 경악하게 만드는 연기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애니원에서 일반인 더빙도 했었나?' 라고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오죽했으면 시청자 게시판에 ''''아무리 돈 없어도 일반인을 불러다 더빙시키냐'''' 는 등의 논란이 있었다. 지금은 잘 나오진 않지만 마지막이라 볼 수 있는 애니 출연작인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를 보면 나아진 듯. 물론 김혜주의 제대로 된 연기를 연출했다는 점에서 [[서정은(PD)|서정은]] PD는 후에 능력자로서 그 능력을 인정받기도 하였다(...). 그 전에도 한 성우갤러가 "드라마를 보는데 어디서 많이 들은 목소리가 났다" 며 어느 드라마에 카메오 출연한 영상을 보여줬는데 연기가 매우 자연스러워서 이를 본 성우갤러들이 경악했던 적이 있다.[* 이 경우는 그럴 법도 한 것이 대본을 보면서 연기할 때와 대본을 외우고 연기를 할 때는 그 상황이 다르다. 대본을 외우고 하는 것은 NG가 날 가능성이 더 크지만 대신 대본에 쓰인 글자에 얽매이지 않고 더 넓은 시야로 상황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연기하는 것이 더 수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성우 중에서도 대본을 외우고 녹음을 하는 성우들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당연한 말이지만 대부분의 성우들은 대본을 보면서도 자연스러운 화법을 구사한다. 그렇기 때문에 성우겠지만 말이다.] == 기타 == * [[멘사]] 회원이다. 한국 성우로서는 유일하다. 일본 성우계에는 [[코마츠 쇼헤이]]와 [[코이와이 코토리]]가 있다. * 성우 학원에서 강사 일을 했던 적이 있다. * 2003년에 진짜 성우를 찾는 [[SBS]] [[진실게임(예능)|진실게임]]에 일반인들 및 성우 지망생들과 함께 출연한 적이 있다.([[https://programs.sbs.co.kr/enter/truthgame/vod/62996/22000301106|176회]], [[https://programs.sbs.co.kr/enter/truthgame/vod/62996/22000301111|177회]]) 사실 2년 전에 같은 주제로 선배 성우 [[최원형]]이 출연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처럼 총 10명이 출연했고 2차에 걸쳐 2명만 남기고 3차에서 최종 판정을 내리는 형식이었다. 김혜주는 "라디오 드라마"라는 명의를 달고 출연했는데, 최원형과 마찬가지로 1차는 통과했지만 2차에서 탈락해 버려서 2차 판정을 무르고 다시 데려오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당연히 연기로는 나무랄 데가 없었지만 [[컬트삼총사]]의 정성한이 "너무 떨고 있다"는 얘기를 했을 정도로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그래도 최종 판정에선 진행자들을 포함해서 8인 중 5명이 김혜주가 진짜 성우일 거라고 예상했다. == 출연작 == === 애니메이션 === * [[타카하시 루미코 극장|다카하시 루미코 극장]] - [[인어의 숲]]([[애니원]]) - 사요리 * [[프리큐어 Splash Star]]([[대원방송]]) - '''[[키류 카오루|박아름]]'''[* 평가가 좋은 배역임에도 다른 배역들이 미스캐스팅으로 악명 높은 바람에 안타깝게도 묻혀버렸다.] * [[십이국기/애니메이션|십이국기]]([[대원방송]]) - 요우카 * [[암굴왕]]([[애니맥스]]) - [[외제니 드 당글라르|유제니 드 당글라르]], '''후작부인''' 外 * [[은하공주 디지캐럿]] - 여자 * [[히트가이 J]] - 신시아, 피아 === 외화 === * 10일안에 남자친구에게 차이는 법([[KBS]]) - 그린(샬롬 할로) / 벤의 누나 * 달려라 조니([[KBS]]) - 토니(드위키 리자) * 동거남녀([[KBS]]) - 여직원 * 떴다! 트레이시([[어린이TV]]) - 저스틴 * 라카와나 블루스([[KBS]]) - 버사(로지 페레스) * [[링 시리즈(미국 영화)#s-5.2|링 2]]([[KBS]]) - 어린 에블린([[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 / 기자(켈리 오버턴) * 블라인드 가이([[KBS]]) - 수지(케이티 믹슨) * 블러프([[KBS]]) - 로즈마리(베로니카 오로즈코) * 자호접([[KBS]]) - 일본인(미와 히키타) / 신문팔이 소년 * [[존 말코비치 되기]]([[KBS]]) - 여자친구 * [[착신아리|착신아리 파이널]]([[KBS]]) - 학생(나이토 아리사) * [[판의 미로|판의 미로 - 오필리아와 세 개의 열쇠]]([[KBS]]) - 요리사(페파 페드로체) * 나의 발리우드 신부([[KBS]]) * 링 2([[KBS]]) * 역([[KBS]]) * 컨페션([[KBS]]) * 코렐리의 만돌린([[KBS]]) * 클라라의 결혼식([[KBS]]) * 해바라기([[KBS]]) === TV 방송 === * [[기분 좋은 날]]([[MBC]]) * [[무한도전]]([[MBC]]) - 내레이션 [[법정공방 죄와 길]] [[https://m.blog.naver.com/osh0416/222308692804|#]] === 드라마 === * [[KBS 드라마 스페셜]] - 아트([[KBS2]]) === 특촬물 ===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챔프]]) - [[아즈미(가면라이더 블레이드)|아즈미]] / [[아즈미(가면라이더 블레이드)#s-2|서펜트 언데드]] * [[파워레인저 다이노썬더|디노레인저스]]([[애니박스]]) - [[이마나카 에밀리]]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허리케인레인저(극장판)]] - [[4의 창 웬디 누]] === 라디오 드라마 === * 환타지 특급 - [[드래곤 라자]](KBS 라디오) - 소녀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분류:한국 여성 성우]][[분류:대한민국의 예체능 교수]][[분류:1975년 출생]][[분류:2000년 데뷔]][[분류:멘사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