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興元 (? ~ 681년) [목차] == 개요 == [[신라]] 중대의 [[장군]], [[정치인]]. [[삼국통일전쟁]]의 주요 전쟁공신이지만 이후 [[신문왕]]에게 찍혀 [[김흠돌의 난]] 때 [[숙청]]되는 비운을 맞는다. 여러 기록에서는 성을 제외한 흥원(興元)으로 기록되었지만 신문왕의 [[김흠돌의 난|반란 토벌]] 교서에 의하면 김씨. == 생애 == 668년 고구려의 마지막 운명을 결정지은 [[평양성 전투(668년)]]에 계금당 부대를 이끄는 계금당 총관(罽衿幢摠管)으로서 참전했다.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 [[이세적]]과 함께 [[보장왕]]을 당나라로 압송했다. 이 당시 관등은 [[아찬]]. 670년, [[당나라]]와 [[나당전쟁]]이 벌어지자 당나라 휘하 [[웅진도독부]] 소속 백제 유민들과 맞붙었으나, 전투가 두려워 군영에서 퇴각했다. [[임전무퇴]]를 지키지 못해 신라 군율상 [[사형]]당해야 했지만[* 그 군율 때문에 [[김원술]]이 전투에서 지고도 무사히 퇴각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김유신 내외로부터 의절당했다.], [[문무왕]]이 용서하고 다만 관직에서만 물러나게 했다. 이후 자세한 기록은 없지만 대충 사면되었는지 관등은 한 단계 올라 [[대아찬]]이 되었지만, 면직당한 데 불만이 쌓여있었는지 문무왕 말년에는 역심을 품고 [[김흠돌]], [[김군관]], [[진공(신라)|진공]] 등과 [[반란]]을 준비했다. 그러나 문무왕이 붕어한 후 문무왕의 [[장례]] [[상복]]을 벗기도 전에 신문왕이 반란 세력의 리더급인 [[김군관]]의 관직을 강등하는 선수를 쳤고, 이들은 서둘러 [[김흠돌의 난]]을 일으켰지만 실패해서 처형당했다. [[분류:신라의 귀족]][[분류:68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