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희봉(1907))]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김희봉}}}'''[br]'''金熙琫'''}}}}}}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희봉(창녕 독립운동가).jpg|width=100%]]}}} || || '''자 / 호''' ||찬문(贊文) / 간취(澗翠) || || '''본관''' ||[[서흥 김씨]][* 영남현풍파(嶺南玄風派)-중파(仲派) 25세 희(熙) 항렬.] || ||<|2> '''출생''' ||[[1874년]] [[11월 25일]] || ||[[경상도]] [[창녕군|창녕현]] 월미면 계팔동[br](現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계상리 계팔마을[* [[서흥 김씨]] 집성촌이다.] 637번지) || || '''사망''' ||[[1928년]] [[1월 7일]] (향년 53세) || || '''상훈''' ||대통령표창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9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생애 == 1874년 11월 25일 경상도 창녕현 월미면 계팔동(현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계상리 계팔마을)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 운동]] 당시 그는 영남 지방 유림 중 한 사람으로서 경상도 유림들로부터 [[파리 강화 회의]]에 제출할 독립청원서의 서명을 받아 내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런데 1919년 음력 3월 18일경 [[일본 제국 육군]] 헌병에 발각되면서, 그는 고암면 원촌리 출신의 유학자인 심재(深齋)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6644&docId=548382&categoryId=46644|조긍섭]](曺兢燮)과 함께 대구 헌병사령부에 연행, 구금되어 고초를 겪었다. 그해 5월 16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을 언도받고 출옥했다.[[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911&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1749&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597&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38252&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 그후 그는 3.1 운동 1주기를 즈음하여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을 벌이기로 계획하고, 1920년 2월 창녕면 장날에 「통곡아팔역 동포 오주열강(慟哭我八域 同胞 五州列强)」이라는 선언문을 작성, 낭독하였으나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다시금 고초를 겪었다. 이후 옥고의 여독으로 고통받다가 1928년 1월 7일 죽었다. 1999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희봉, version=1)]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창녕군 출신 인물]][[분류:서흥 김씨]][[분류:1874년 출생]][[분류:1928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