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519년 출생]][[분류:1592년 사망]][[분류:김해 김씨]][[분류:조선의 국구]][[분류:조선의 문관]] [include(틀:조선의 부원군(국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11208, #7e2f22 20%, #7e2f22 80%, #511208)" '''[[선조(조선)|{{{#ffd400 조선 선조의 장인}}}]] | [[공성왕후|{{{#ffd400 공성왕후의 부친}}}]][br]해령부원군(海寧府院君) [br]{{{+1 김희철}}}[br]金希哲'''}}} || || '''출생''' ||[[1519년]]([[중종(조선)|중종]] 14)|| || '''사망''' ||[[1592년]]([[선조(조선)|선조]] 25)|| || '''[[봉호|{{{#ffd400 봉호}}}]]''' ||해령부원군(海寧府院君)|| || '''[[본관|{{{#ffd400 본관}}}]]''' ||[[김해 김씨]]|| || '''[[자(이름)|{{{#ffd400 자}}}]]''' ||원명(原明)|| || '''부모''' ||부친 - 김종수(金從壽)[br]모친 - [[하동 정씨]] 정복이(鄭福伊, {{{-3 1499 ~ ?}}})[* [[계양군]]의 외증손녀이자 [[정인지]]의 증손녀.]|| || '''형제자매''' ||{{{#!folding 2남 4녀 중 장남 [ 펼치기 · 접기 ] 남동생 - 김희현(金希賢, {{{-3 1533 ~ ?}}})[br]여동생 - 김응몽(金應夢)의 처({{{-3 1528 ~ ?}}})[br]여동생 - 이여돈(李汝惇)의 처({{{-3 1531 ~ ?}}})[br]여동생 - 김호선(金好善)의 처({{{-3 1535 ~ ?}}})[br]여동생 - 김옥이(金玉伊) }}}|| || '''부인''' ||[[안동 권씨]]({{{-3 1538 ~ ? }}})|| || '''자녀'''[* 선원록에서 6녀인 박건의 처 김천정까지만 기록이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0녀는 잘못된 기록인 것으로 추정.] ||{{{#!folding 슬하 1남 6녀 [ 펼치기 · 접기 ] 양자 - 김예직(金禮直, {{{-3 1565 ~ 1623}}})[* 남동생 김희현의 차남.][br]장녀 - 김효옥(金孝玉, {{{-3 1547 ~ ?}}})[br]차녀 - 김덕해(金德海, {{{-3 1551 ~ ?}}})[br]3녀 - '''[[공빈 김씨]]'''[br]5녀 - 김덕영(金德榮, {{{-3 1556 ~ ?}}})[br]5녀 - 김천향(金天香, {{{-3 1558 ~ ?}}})[br]6녀 - 김천정(金天貞, {{{-3 1562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무신. == 생애 == 김종수(金從壽)의 아들이다. 1583년(선조 16년)에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종4품)이 되었으나 [[사헌부]]의 탄핵으로 면직되었다. 그 뒤 무과에 급제한 뒤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에 올랐다. 딸인 [[공빈 김씨]]가 선조의 후궁(後宮: 恭嬪)이 되어 [[임해군]]·[[광해군]] 두 왕자를 낳아 왕의 총애를 받았다. 즉, 광해군과 임해군의 외할아버지인 셈. 또 그의 12대손이 바로 [[김종필]]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의병장이 되어 왜군과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고 전사했다. 사후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로 추증되었으며, 광해군이 즉위한 뒤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해령부원군(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領議政 海寧府院君)에 추봉되었고, 그의 3대 조상도 추증되었다. 슬하로 딸밖에 없어 양자로 김예직(金禮直)을 들였다. == 가족 관계 == * 증조부 - 김영정(金永貞) - 시호는 안경(安敬), [[광해군]] 즉위후 정헌 대부 병조 판서에 증직되었다. * 증조모 : [[전의 이씨]](全義 李氏) * 조부 : 김세균(金世鈞) * 조모 : [[진주 강씨]](晉州 姜氏) - 강이행(姜利行)의 딸 * 부 : 김종수(金從壽) * 모 : [[하동 정씨|정복이]](鄭福伊) - 정승우(鄭承祐)의 차냐, 영의정 [[정인지]](鄭麟趾)의 증손녀이자 [[계양군]]의 외증손녀 * 부인 : [[안동 권씨]](安東 權氏) - 권장(權璋)의 딸 * 장녀 : 증(贈) 참판(參判) [[광주 이씨|이민강]](李民康, 1542 ~ ?)에게 출가 - [[정석군]]의 외고손자 * 차녀 : 밀양인 감찰(密陽人 監察) [[밀양 박씨|박윤]](朴潤)에게 출가 * 3녀 : [[공빈 김씨|공성왕후]](恭嬪 金氏, 1553년 ~ 1577년 음력 5월 27일) * 사위 : 조선 제 14대 왕 [[선조(조선)|선조]](宣祖, 1552년 ~ 1608년) * 외손자 : [[임해군]](臨海君) 이진(李珒, 1574년 ~ 1609년) * 외손자 : 조선 제 15대 왕 [[광해군]](光海君) 이혼(李琿, 1575년 ~ 1641년) * 4녀 : 창녕인 첨지(昌寧人 僉知) [[창녕 성씨|성준]](成準)에게 출가 * 5녀 : 전주인 덕인정(全州人 德仁正) [[전주 이씨|이준]](李壿)에게 출가 * 6녀 : 미상 * 7녀 : 고령인 호판(高靈人 戶判) [[고령 박씨|박건]](朴楗)에게 출가 * 8녀 : 현감(縣監) 남간(南侃)에게 출가 * 9녀 : 첨사(僉使) 박진남(朴震男)에게 출가 * 10녀 : 만호(萬戶) 하순(河淳)에게 출가 * 양자 - 김예직[* 국무총리 [[김종필]]의 직계선조](金禮直, 1565년 ~ 1623년) == 대중매체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희철(조선).jpg|width=100%]]}}}|| * [[왕의 여자]]에서는 [[권성덕]]이 연기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희철, version=57)] [[분류:조선의 무관]][[분류:조선의 국구]][[분류:김해 김씨 안경공파]][[분류:1519년 출생]][[분류:159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