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꼬마향고래}}}[br]Dwarf sperm whale}}}''' || ||<-2> [[파일:꼬마향고래.jpg|width=100%]] || ||<#F93> '''학명''' || ''' ''Kogia'' '''[br]G.R. Gray, 1846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경우제류|경우제목]]^^Cetartiodactyl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하목'''}}}]] ||[[고래|고래하목]]^^Cetace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소목'''}}}]] ||[[이빨고래|이빨고래소목]]^^Odontoceti^^||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꼬마향고래과^^Kogi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꼬마향고래속^^''Kogia''^^'''|| ||<-2><#f9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종'''}}}]] || ||<-2><#fff> * 꼬마향고래(''K. sima'') * 쇠향고래(''K. breviceps'') || [[파일:ㄲㅁㅎㄱㄹ.jpg|width=500]] [목차] [clearfix] == 개요 == 넓게는 향유고래상과 꼬마향고래과 꼬마향고래속[* 향유고래과 꼬마향고래아과로 분류하자는 주장도 있다.]에 있는 종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좁게는 꼬마향고래속의 꼬마향고래(''Kogia sima'')만을 이르는 말. == 상세 == 고대에는 여러 속의 꼬마향고래류가 살고 있었지만 현재는 꼬마향고래속 종류를 제외하고 전부 [[멸종]]하였다. 현존하는 꼬마향고랫과 종류는 '쇠향고래(Pygmy sperm whale, ''Kogia breviceps'')'와 '꼬마향고래(Dwarf sperm whale, ''Kogia sima'')'밖에 없다. 이 둘은 등지느러미의 길이로 구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꼬마향고래의 등지느러미가 쇠향고래의 것보다 크다. 가까운 친척으론 [[향유고래]]가 있으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생긴 건 '''향유고래의 축소판'''이라 볼 수 있다. 향유고래와 마찬가지로 머리에 경뇌유(향유)가 있다. 다른 점이 있다면 향유고래와 다르게 등지느러미가 더 길고 주둥이는 향유고래보다 더 짧고 뭉툭하다. 향유고래는 적극적인 보호로 개체수가 늘어나서 작정하고 찾으면 잘 보이는 것에 반해 꼬마향고래류는 살아 있는 개체를 관찰하기 매우 힘들다. 지금까지 알 수 있는 정보 대부분은 좌초된 [[시체]]를 통해서 얻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녀석의 생태에 대해서도 알려진 것이 없으며 개체수도 제대로 조사되지 않았기 때문에 멸종위기등급을 매길 수 없다는 문제가 생겼다. 위기 상황에서는 항문선에서 [[먹물]] 같은 액체를 뿜어내며 도망치는 방어기제가 있다고 한다. [[https://youtu.be/nGpVCzbNhUQ|#]] [[분류:꼬마향고래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