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아시아의 섬]][[분류:베트남의 섬]][[분류:2004년 태풍]][[분류:2010년 태풍]][[분류:태풍/중국]][[분류:2016년 태풍]][[분류:2021년 태풍]][[분류:제명된 태풍]] [목차] == 섬 == === 개요 === 꼰선(Côn Sơn)은 [[베트남]] 바리어붕따우성에 속한 섬들로 이루어진 제도인 [[꼰다오]] 섬 중 가장 큰 섬으로서 꼰다오 현의 현청 소재지이다. 대한민국 [[인천국제공항]]에서 직항이 있으며 공항 활주로의 길이가 비교적 긴 푸꾸옥 국제공항에 비하면 이곳 꼰다오 공항은 1,800m 밖에 안 되는 활주로로 인해 봄바르디에 ATR72-68인승 기종만 이착륙할 수 있다. 즉 반드시 [[떤선녓 국제공항]]을 거쳐서만 올 수 있는 공항이다보니 푸꾸옥에 비하면 관광객이 매우 적고 가기도 어렵다. 2019년 3월 기준 하루 꼰다오 공항에 취항한 항공사는 [[베트남항공]]의 자회사인 VASCO로 호치민 시 떤선녓 국제공항과 껀터 국제공항에서 일 7-10편 정도가 운행 중이다. === 특징 === 꼰선(Côn Sơn)의 기후 및 지형의 특징은 열대몬순기후에 속한 북위 8도에 걸쳐 있는 [[꼰다오]] 제도는 11월에서 4월이 건기이며 5월부터 10월 말까지는 우기에 속한다. 다만 건기가 시작되는 11월에서 2월까지는 동풍이 매우 강하게 불어 그로 인해 날씨의 변화 폭이 꽤 큰 편으로 되도록이면 2월 말에서 4월 중순까지 꼰다오 특유의 건기를 즐길 수 있다. 꼰다오 섬의 지형은 해안절벽을 기준으로 해안까지는 상당히 급한 경사를 이루고 해안가는 비교적 평탄한 지형을 갖고 있어 조수가 낮은 썰물 때에는 대부분 해수욕장에서 산호 백사장을 볼 수 있으며 베트남에서 가장 깨끗한 물, 아름다운 해변을 즐길 수 있다. == 태풍 명칭 == [include(틀:태풍 명칭)] 꼰선(Conson)은 [[베트남]]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성(건축)|성채]]를 뜻하며, 1의 섬과는 이름만 비슷할 뿐 큰 연관성은 없다. 2004년까지는 '콘손'으로 쓰였으나, [[국립국어원]]에 의해 2010년부터는 '꼰선'으로 정정되었다. 2023년 3월, 이루어지지 못했던 제명이 이루어졌다. == 2004년 제4호 태풍 == [include(틀:2004년 태풍)] || [[2004년|{{{#FFF '''2004년'''}}}]] [[태풍|{{{#FFF '''태풍'''}}}]] || || 제3호 [[오마이스#s-2]] → '''제4호 콘손''' → 제5호 [[찬투#s-2]] || |||||| '''{{{+5 {{{#!html 2004년 제4호 태풍 콘손}}}}}}'''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04년 6월 7일 3시 ~ 2004년 6월 11일 18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br][include(틀:국기, 국명=대만)][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white 태풍 등급}}} ||<-2><:> {{{#000 '''3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42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60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51 m/s''' || ||<:>10분 평균 || '''41 m/s''' || == 2010년 제2호 태풍 == [include(틀:2010년 태풍)] || [[2010년|{{{#FFF '''2010년'''}}}]] [[태풍|{{{#FFF '''태풍'''}}}]] || || 제1호 [[오마이스#s-3]] → '''제2호 꼰선''' → 제3호 [[찬투#s-3]] || |||||| '''{{{+5 {{{#!html 2010년 제2호 태풍 꼰선}}}}}}'''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10년 7월 12일 9시 ~ 2010년 7월 18일 9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br]'''[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하이난 성]]'''[br][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br][include(틀:국기, 국명=라오스)] || || [[템플릿:태풍#s-2.2.3|{{{#white 태풍 등급}}}]] ||<-2><:> {{{#000 '''1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61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70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41 m/s''' || ||<:>10분 평균 || '''36 m/s''' || === 2010년 제2호 태풍 꼰선 진로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 7월 12일 15시 || 60kn || 40kn ||<|2><#00faf4> 열대폭풍 ||<#00faf4> 약 || || 7월 12일 21시 || 60kn || 55kn ||<|7><#ccffff> 중 || || 7월 13일 3시 || 65kn || 60kn ||<|3><#ffffcc> 1등급 || || 7월 13일 9시 || 70kn || 60kn || || 7월 13일 15시 || 65kn || 60kn || || 7월 13일 21시 || 60kn || 55kn ||<|9><#00faf4> 열대폭풍 || || 7월 14일 3시 || 50kn || 50kn || || 7월 14일 9시 || 55kn || 50kn || || 7월 14일 15시 || 50kn || 45kn ||<|3><#00faf4> 약 || || 7월 14일 21시 || 50kn || 45kn || || 7월 15일 3시 || 50kn || 45kn || || 7월 15일 9시 || 50kn || 50kn ||<|5><#ccffff> 중 || || 7월 15일 15시 || 50kn || 55kn || || 7월 15일 21시 || 60kn || 60kn || || 7월 16일 3시 || 70kn || 60kn ||<|4><#ffffcc> 1등급 || || 7월 16일 9시 || 75kn || 60kn || || 7월 16일 15시 || 75kn || 65kn ||<|3><#fdaf9a> 강 || || 7월 16일 21시 || 70kn || 70kn || || 7월 17일 3시 || 60kn || 70kn ||<|4><#00faf4> 열대폭풍 || || 7월 17일 9시 || 55kn || 60kn ||<|2><#ccffff> 중 || || 7월 17일 15시 || 50kn || 50kn || || 7월 17일 21시 || 45kn || 45kn ||<|2><#00faf4> 약 || || 7월 18일 3시 || 30kn || 40kn ||<#5ebaff> 열대저기압 || || 7월 18일 9시 ||<-4><#fff> '''소멸 및 감시 종료''' || == 2016년 제6호 태풍 == [include(틀:2016년 태풍)] || [[2016년|{{{#FFF '''2016년'''}}}]] [[태풍|{{{#FFF '''태풍'''}}}]] || || 제5호 [[오마이스#s-4]] → '''제6호 꼰선''' → 제7호 [[찬투#s-4]] || |||||| '''{{{+5 {{{#!html 2016년 제6호 태풍 꼰선}}}}}}'''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1606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016년 8월 9일 9시 ~ 2016년 8월 15일 9시||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95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85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28 m/s''' || ||<:>10분 평균 || '''23 m/s''' || == 2021년 제13호 태풍 == [include(틀:제명된 태풍)] [include(틀:2021년 태풍)] || [[2021년|{{{#FFF '''2021년'''}}}]] [[태풍|{{{#FFF '''태풍'''}}}]] || || 제12호 [[오마이스(2021년 태풍)|오마이스]] → '''제13호 꼰선''' → 제14호 [[찬투(2021년 태풍)|찬투]] || |||||| '''{{{+5 {{{#!html 2021년 제13호 태풍 꼰선}}}}}}''' || ||<#3594D3> {{{#ffffff 위성사진}}}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nson20210906.jp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nson20210914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21년 9월 6일 15시 ~ 2021년 9월 12일 3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br][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하이난 성]][br][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 || [[템플릿:태풍#s-2.2.4|{{{#white 태풍 등급}}}]] ||<-2><:> {{{#000 '''1등급'''}}}[*JTWC] || || [[템플릿:태풍#s-2.2.4|{{{#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56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92hPa'''[*KMA '''중심기압 980hPa, 10분 최대 풍속 29m/s''']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33m/s''' || ||<:>10분 평균 || '''26m/s''' || ||<|3><#3594D3> {{{#ffffff 피해}}} || 사망자 || '''22명''' || || 실종자 || '''28명''' || || 피해총액 || '''3610만 달러'''[* 2021 USD] || === 발생 이전 === ====# 93W 열대요란 → 17W TD #==== 9월 1일 9시, 북위 24.6도, 동경 164.1도에서 93W 열대요란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3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12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되었다. 한편, [[한국 기상청]] 태풍영역 일기도에서는 중심기압 1010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되고 있다. 9월 1일 15시, [[JTWC]]에서 [[웨이크섬]] 북북서쪽 해상에 있는 93W 아열대성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MEDIUM으로 격상하며 [[JTWC]]에서 감시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3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10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되었다. 9월 1일 21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93W 열대요란이 [[웨이크섬]]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10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발달했다고 표시되었다. 9월 2일 3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93W 열대요란이 [[웨이크섬]]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8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발달했다고 표시되었다. 9월 2일 5시 30분, [[JTWC]]에서 [[웨이크섬]] 북서쪽 해상에 있는 93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하였다. 9월 2일 9시, [[JTWC]]에서 93W 열대요란을 17W [[열대저압부]]로 지정하였다. 한편, [[한국 기상청]]에서 93W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을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중심기압이 조금 낮아졌다고 발표했다. 9월 3일 9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17W [[열대저압부]]가 [[미나미토리시마]]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10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중심기압이 조금 상승하면서 약화되었다고 표시되었다. 9월 3일 21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17W [[열대저압부]]가 [[일본]] 동쪽 해상에서 중심기압 1012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중심기압이 더 상승하면서 약화되었다고 표시되었다. 9월 4일 3시, [[JTWC]]에서 17W [[열대저압부]]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였다. 9월 4일 21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17W [[열대저압부]]가 사라졌다. ====# 94W 열대요란 → [[찬투#s-5|19W TD]] #==== 9월 3일 9시, [[괌]] 남쪽 해상에서 발생한 94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LOW로 예측하며 [[JTWC]]에서 감시를 시작하였다. 9월 6일 3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94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되었다. 9월 6일 9시, [[JTWC]]에서 [[괌]] 서쪽 해상에 있는 94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하였다. 9월 6일 15시를 기해 18W TD가 제13호 태풍 꼰선으로 발달하면서 19W TD는 자동으로 제14호 태풍 찬투의 유력 후보로 넘어가게 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찬투, 문단=5)] ==== 95W 열대요란 → 18W TD ==== 9월 5일 15시, [[필리핀]] 동남동쪽 해상에서 발생한 95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LOW로 예측하며 [[JTWC]]에서 감시를 시작하였다. 9월 5일 21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5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되었다. 9월 6일 3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5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되었다. 9월 6일 8시, [[JTWC]]에서 [[필리핀]] 남동쪽 해상에 있는 95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하였다. 9월 6일 9시, [[JTWC]]에서 [[필리핀]] 남동쪽 해상에 있는 95W 열대요란을 18W TD로 격상시켰다. === 발생 이후 === ==== 9월 6일 ==== 9월 6일 15시를 기해 18W TD가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35kn(18m/s), 10분 순간풍속 50kn(26m/s), 1분 평균 풍속 50kn(26m/s)[* JTWC에서 9월 6일 15시 풍속을 수정해서 재차 발표하였다. 수정 전 세력은 1분 평균 풍속 40kn(21m/s)였다.], 강풍 직경 330km의 세력으로 발달하면서 '''2021년 제13호 태풍 '꼰선'(Conson)"'이라는 이름을 부여받았다. 9월 6일 15시 기준 꼰선의 예상 최전성기 세력은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분 평균 풍속 70kn(36m/s)이다. 동일 21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로 15시 대비 급격히 발달하였으며, 이로 인해 꼰선의 예상 최전성기 세력이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55kn(28m/s)로 조정되었다. ==== 9월 7일 ==== 9월 7일 0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2hPa, 10분 평균 풍속 50kn(26m/s), 10분 순간풍속 70kn(36m/s)로 발달하였다. 동일 3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6hPa, 10분 평균 풍속 50kn(26m/s), 10분 순간풍속 70kn(36m/s)로 중심기압이 조금 상승했다. 동일 9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로 약화되었다. 약화의 주요 원인은 필리핀 열도로 인한 육상 마찰이다. 동일 21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40kn(21m/s), 10분 순간풍속 60kn(31m/s)로 약화가 진행 중이나 태풍의 이동 속도가 느려져(고작 15km/h) 대략 36시간 후에나 필리핀에서 빠져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9월 8일 ==== 9월 8일 3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로 재발달하였다. ==== 9월 9일 ==== 9월 9일 9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로 중심기압이 조금 내려갔다. 동일 21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50kn(26m/s), 10분 순간풍속 70kn(36m/s)로 발달하였다. ==== 9월 10일 ==== 9월 10일 12시에 강풍 직경이 330km에서 445km로 커졌다. 동일 15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55kn(28m/s), 10분 순간풍속 80kn(41m/s)로 발달하였다. 동일 18시에 강풍 직경이 445km에서 560km로 커졌다. ==== 9월 11일 ==== 9월 11일 12시에 강풍 직경이 560km에서 440km로 다시 작아졌다. 동일 15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50kn(26m/s), 10분 순간풍속 70kn(36m/s)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이 440km에서 330km로 더 작아졌다. 동일 18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2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이 330km에서 300km로 더 작아졌다. 동일 21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40kn(21m/s), 10분 순간풍속 60kn(31m/s)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이 330km에서 260km로 더 작아졌다. ==== 9월 12일 ==== 9월 12일 3시에 [[일본 기상청]]과 한국 기상청에서 태풍 꼰선이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면서 공식 예보를 종료하였다. ==== 9월 13일 ==== 9월 13일 3시에 [[JTWC]]에서 태풍 꼰선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면서 한미일 기상청 모두가 태풍 꼰선의 예보를 종료하였다. === 제명 === 2023년 3월 8일 11시 45분부터 15분 동안 최종 논의되어 2022년에 이루어지지 못한 [[곤파스]], [[라이(태풍)|라이]]의 제명 및 [[말라카스(태풍)|말라카스]], [[메기(태풍)|메기]], [[망온]], [[노루(태풍)|노루]], [[날개(태풍)|날개]], [[힌남노]]와 함께 제명되었다. 이번 제55차 태풍위원회 회의에서 총 9개의 태풍 이름을 제명함으로서 기존 기록인 6개의 태풍 이름을 제명한 것을 훨씬 뛰어넘게 되었다. == 여담 == 2021년 제13호 태풍 꼰선은 [[일본 기상청]]의 태풍발생예보 없이 급발생한 태풍이다. 일본 기상청,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 한국 기상청에서는 태풍 발생 예보가 아예 없었으나 오직 JTWC만이 8월 말부터 태풍 발생 예보를 이미 진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2개의 열대저압부가 있었는데 그 중에 19W TD가 먼저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예상을 뒤집고 필리핀 동쪽 앞바다에서 활동 중이던 18W TD가 태풍으로 급발달했다. 그리고 19W TD는 [[찬투#s-5|제14호 태풍 찬투(CHANTHU)]]라는 이름을 부여받았다. 오히려 태풍 발생 이전에는 꼰선이 한반도 북상 가능성이 있는 태풍이라고 언급되었으나 [[찬투(2021년 태풍)|이 태풍]]의 급발달로 다음 태풍에게로 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