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투모로우바이투게더/음반]] [[분류:한국의 음반]] [[분류:2020년 음반]] [include(틀:투모로우바이투게더)] ||<-5>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음반 목록|{{{#ffffff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음반'''}}}]] || || {{{-2 일본 싱글 1집}}}[br][[MAGIC HOUR|'''{{{#BBA3CB MAGIC HOUR}}}''']][br]{{{-2 (2020)}}} || {{{+1 →}}} || {{{-2 한국 미니 2집}}}[br]'''꿈의 장: ETERNITY'''[br]{{{-2 (2020)}}} || {{{+1 →}}} || {{{-2 일본 싱글 2집}}}[br][[DRAMA(투모로우바이투게더)|'''{{{#6F5743 DRAMA}}}''']][br]{{{-2 (2020)}}} || ||<-5>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음반 목록#한국 음반|{{{#ffffff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한국 음반'''}}}]] || || {{{-2 정규 1집}}}[br][[꿈의 장: MAGIC|'''{{{#01dc8c 꿈의 장: MAGIC}}}''']][br]{{{-2 (2019)}}} || {{{+1 →}}} || {{{-2 미니 2집}}}[br]'''꿈의 장: ETERNITY'''[br]{{{-2 (2020)}}} || {{{+1 →}}} || {{{-2 미니 3집}}}[br][[minisode1: BLUE HOUR|'''{{{#CBD9EE minisode1: BLUE HOUR}}}''']][br]{{{-2 (2020)}}} || ||<-2> {{{+1 '''꿈의 장: ETERNITY'''}}}[br]2ND MINI ALBU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꿈의 장: ETERNITY 앨범 쟈켓.jpg|width=100%]]}}} || || 발매일 || [[2020년]] [[5월 18일]] || || 가수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 총괄 프로듀서 || [[방시혁]] || || 기획사 || [[빅히트 뮤직]] || || 유통사 || [[드림어스]] || || 곡 수 || 6곡 || || 재생 시간 || 22분 11초 || || 타이틀곡 ||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 || 비고 || [[https://ibighit.com/txt/kor/discography/detail/the_dream_chapter-eternity.html|[[파일:빅히트 뮤직 로고.svg|width=40&theme=light]][[파일:빅히트 뮤직 로고 화이트.svg|width=40&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0년]] [[5월 18일]] 발매된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미니 2집. 타이틀 곡은 2번 트랙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신인상 10관왕에 빛나는 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5월 18일]] 두 번째 미니 앨범 '꿈의 장: ETERNITY'를 발매한다. '꿈의 장: ETERNITY'는 데뷔 앨범 '[[꿈의 장: STAR]]', 정규 1집 '[[꿈의 장: MAGIC]]'에 이어 나와 다르면서도 닮은 친구들을 만난 소년들이 겪는 경험을 이야기로 풀어냈다. 현실이라는 벽에 부딪히고, 친구들과 갈등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우리가 함께했던 시간만큼은 영원하기를 바라는 소년들의 간절한 마음이 담겨 있다. 이번 앨범에는 1번 트랙 'Drama'를 시작으로 타이틀곡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리메이크곡 '샴푸의 요정', 다섯 멤버의 첫 자작곡 '거울 속의 미로', 개성 있는 가사가 돋보이는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실험적인 느낌을 주는 'Eternally'까지 총 6곡이 수록되어 있다. 10대들의 취향을 저격하는 개개인의 빛나는 비주얼, 작사와 작곡 능력까지 겸비하며 뛰어난 실력을 갖춘 다섯 멤버는 이번 앨범을 통해 핫한 대세 그룹으로서 입지를 굳힐 전망이다.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공식 홈페이지에 첨부된 꿈의 장: ETERNITY 소개문.[[https://ibighit.com/txt/kor/discography/detail/the_dream_chapter-eternity.html| ]] == 프로모션 == || 날짜 || 제목 || 비고 || ||<-3> {{{-2 2020년}}} || || 4월 28일 || The Dream Chapter: ETERNITY || [[https://youtu.be/gwAo0CE1oD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월 29일 || The Dream Chapter: ETERNITY Concept Trailer || [[https://youtu.be/DKmr0Y-lyp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2분 17초에 나오는 [[모스 부호]]는 '''SAVE ME'''를, 2분 50초에 나오는 모스 부호는 '''SOS'''를 의미한다.][* 3분 10초께부터 [[윤상]]의 [[There Is A Man...#어떤 사람 A|어떤 사람 A]] 일부가 삽입되었다. '다 끝나기 전에 그 이름을 불러야 할텐데', '내가 지금 여기 서 있다고', '널 위한 무대에서 난 언제나 그냥 지나가는 사람' 등의 가사를 보면 노래가 콘셉트 트레일러를 명확히 표현함을 알 수 있다.] || || 4월 30일 || The Dream Chapter: ETERNITY - Concept Photo Teaser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5783954902220802, 크기=20)] || || 5월 1일 || The Dream Chapter: ETERNITY - Concept Photo 'Port' || {{{-3 단체}}}[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5874552707440640, 크기=20)][br]{{{-3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연준]]}}}[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5874556557836290, 크기=20)][br]{{{-3 [[범규]]}}}[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5874561523904512, 크기=20)][br]{{{-3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빈]]}}}[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5874566372487168, 크기=20)][br]{{{-3 [[태현]]}}}[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5874570097049601, 크기=20)][br]{{{-3 [[휴닝카이]]}}}[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5874574085812225, 크기=20)] || || 5월 4일 || The Dream Chapter: ETERNITY - Concept Photo 'StarBoard' || {{{-3 단체}}}[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6961730334191617, 크기=20)][br]{{{-3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연준]]}}}[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6961734109130753, 크기=20)][br]{{{-3 [[범규]]}}}[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6961738001399811, 크기=20)][br]{{{-3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빈]]}}}[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6961742116028416, 크기=20)][br]{{{-3 [[태현]]}}}[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6961745857335297, 크기=20)][br]{{{-3 [[휴닝카이]]}}}[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6961750236196864, 크기=20)] || || 5월 6일 || The Dream Chapter: ETERNITY - Tracklist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57686490018050053, 크기=20)] || || 5월 7일 ||<|2>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Official Teaser || {{{-3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연준]]}}}[[https://youtu.be/Bmt4o6NXR_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3 [[범규]]}}}[[https://youtu.be/uMbVKjF_cq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월 8일 || {{{-3 [[태현]]}}}[[https://youtu.be/TrrD3BrnqZ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3 [[휴닝카이]]}}}[[https://youtu.be/bRqzJLovZT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3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빈]]}}}[[https://youtu.be/MBu4EGjz1Q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영상이 올라온 순서대로 배경음이 추가된다.] || || 5월 11일 ||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Official Teaser 1 || [[https://youtu.be/pKrUdu-8on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월 13일 ||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Official Teaser 2 || [[https://youtu.be/W_9o_eW0zO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월 15일 || The Dream Chapter: ETERNITY Preview || [[https://youtu.be/m6HQCvD7fd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로고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1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500ff, #ad41fa, #9500ff)" [[파일:투모로우바이투게더 꿈의 장: ETERNITY 로고.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ke0GTL4OKM)]}}}||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꿈의 장: ETERNITY 로고..gif|width=100%]]}}}|| === 사진 === || Concept Photo TEASER[* 아래 문구는 'Ceci n'est pas un nounours', [[프랑스어]]로 뜻은 '이것은 곰 인형이 아니다'이다. 그리고 우측 하단의 수들 '13 31 45 15'를 해석하면 'clue'^^단서^^라는 단어가 나온다.][* 티저의 그림은 [[르네 마그리트]]의 [[:파일:attachment/Pipe.jpg|이미지의 반역]]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본 그림의 하단에도 'Ceci n'est pas une pipe'^^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는 유사한 내용이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ETERNITY_Concept_Photo_Teaser.jpg|width=100%]]}}} || || Concept Photo 'Port'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 단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단체_ETERNITY.jpg|width=10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 개인 ] {{{#!wiki style="margin: 0px -5px -10px" ||<-2>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ffffff 수빈}}}]] ||<-2>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ffffff 연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수빈_ETERNITY.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연준_ETERNITY.jpg|width=100%]]}}} || || [[범규|{{{#ffffff 범규}}}]] ||<-2> [[태현|{{{#ffffff 태현}}}]] || [[휴닝카이|{{{#ffffff 휴닝카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범규_ETERNITY.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태현_ETERNIT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휴닝카이_ETERNITY.jpg|width=100%]]}}} || }}}}}}}}} || || Concept Photo 'StarBoard'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 단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단체(2)_ETERNITY.jpg|width=10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 개인 ] {{{#!wiki style="margin: 0px -5px -10px" ||<-2>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ffffff 수빈}}}]] ||<-2>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ffffff 연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수빈(2)_ETERNITY.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연준(2)_ETERNITY.jpg|width=100%]]}}} || || [[범규|{{{#ffffff 범규}}}]] ||<-2> [[태현|{{{#ffffff 태현}}}]] || [[휴닝카이|{{{#ffffff 휴닝카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범규(2)_ETERNITY.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태현(2)_ETERNIT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XT_휴닝카이(2)_ETERNITY.jpg|width=100%]]}}} || }}}}}}}}} || == 수록곡 == || The Dream Chapter: ETERNITY - Tracklis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꿈의 장: ETERNITY 트랙리스트.jpg|width=100%]]}}}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편곡 || || 1 || Drama ||<-2> [[Supreme Boi]], Jake Torrey, Noah Conrad, Roland “Rollo” Spreckley, [[EL CAPITXN]] || - || || 2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1dc8c, #01dc8c); font-size: 0.865em; color: #1f2023; letter-spacing: -0.2px" TITLE}}}}}}[br]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2> [[Slow Rabbit]], [[방시혁]], [[Supreme Boi]], Melanie Joy Fontana, Michel “Lindgren” Schulz, Eric Zayne, Naz Tokio || - || || 3 || 샴푸의 요정 ||<-2> 장기호 || [[Supreme Boi]], [[Slow Rabbit]] || || 4 || 거울 속의 미로 ||<-2> [[Slow Rabbit]],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9500ff 연준}}}]], [[범규|{{{#9500ff 범규}}}]], ADORA, [[휴닝카이|{{{#9500ff 휴닝카이}}}]],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9500ff 수빈}}}]], [[태현|{{{#9500ff 태현}}}]] || - || || 5 ||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2> Sam Klempner, [[Supreme Boi]], Melanie Joy Fontana, Michel “Lindgren” Schulz, [[Slow Rabbit]], Krysta Youngs, Julia Ross || - || || 6 || Eternally ||<-2> [[FRANTS]], [[Supreme Boi]], [[Slow Rabbit]], Pauline Skott, Peter St James, Ruuth, Chris James, [[방시혁]], danke || - || || The Dream Chapter: MAGIC Preview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ke0GTL4OKM)]}}} || === Dram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NmWAaA_nUE)]}}} || ||{{{+3 '''Drama'''}}} {{{-1 Track 1}}}[br]3분 29초[br]{{{-2 펑키한 [[기타|{{{#ffffff 기타}}}]] 리듬과 캐치한 [[피아노|{{{#ffffff 피아노}}}]], 매력적인 [[브라스|{{{#ffffff 브라스}}}]]가 조화를 이루는 펑크 팝(Funk Pop) 장르의 곡이다. 학교에서 주인공이나 다름없던 '너'와 우연히 친구가 되면서 그동안 꿈꿔왔던 드라마 같은 시간을 보냈지만 '너'는 주연이고 '나'는 엑스트라였을 뿐, '나'를 위한 드라마는 없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같은 스토리는 제목 그대로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노랫말과 대조되는 경쾌한 리듬과 다채로운 악기 사운드, 중독성 있는 멜로디 라인이 귀를 사로잡는다.}}}[br][b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작곡 ] || 작사 || 작곡 || ||<-2> [[Supreme Boi]], Jake Torrey, Noah Conrad, Roland “Rollo” Spreckley, [[EL CAPITXN]] || }}}}}} || || {{{#!folding [ 가사 ] [br]^^'''ALL {{{#cc48ff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ff83a2 저 환호성 난 매일 그 뒤 쿨한 미소는 너의 주무기}}} {{{#ffda00 처음 만났던 운동장의 court 나도 주인공만 같던 movie scene}}} {{{#0bf1c3 네 패스 하나에 바로 나도 그 scene 안에 Spotlight 불빛 아래 내 자리}}} {{{#cc48ff 날 향해 던져준 너의 다정한 그 말에 나도 한순간에 주연이}}} {{{#0bf1c3 O}}}{{{#00c4f2 h}}} {{{#0bf1c3 o}}}{{{#00c4f2 h}}} {{{#0bf1c3 내}}}{{{#00c4f2 디}}}{{{#0bf1c3 뎌}}} {{{#0bf1c3 한}}}{{{#00c4f2 발}}} {{{#ff83a2 O}}}{{{#00c4f2 h}}} {{{#ff83a2 o}}}{{{#00c4f2 h}}} {{{#ff83a2 g}}}{{{#00c4f2 i}}}{{{#ff83a2 v}}}{{{#00c4f2 e}}} {{{#ff83a2 m}}}{{{#00c4f2 e}}} {{{#ff83a2 a}}} {{{#00c4f2 h}}}{{{#ff83a2 i}}}{{{#00c4f2 g}}}{{{#ff83a2 h}}}{{{#00c4f2 l}}}{{{#ff83a2 i}}}{{{#00c4f2 g}}}{{{#ff83a2 h}}}{{{#00c4f2 t}}} {{{#cc48ff O}}}{{{#ffda00 h}}} {{{#cc48ff o}}}{{{#ffda00 h}}} {{{#cc48ff 꿈}}}{{{#ffda00 꿔}}}{{{#cc48ff 온}}} {{{#ffda00 d}}}{{{#cc48ff r}}}{{{#ffda00 a}}}{{{#cc48ff m}}}{{{#ffda00 a}}} {{{#ffda00 T}}}{{{#ff83a2 i}}}{{{#ffda00 m}}}{{{#ff83a2 e}}} {{{#ffda00 t}}}{{{#ff83a2 o}}} {{{#ffda00 s}}}{{{#ff83a2 h}}}{{{#ffda00 o}}}{{{#ff83a2 w}}} {{{#ffda00 m}}}{{{#ff83a2 y}}} {{{#ffda00 p}}}{{{#ff83a2 l}}}{{{#ffda00 a}}}{{{#ff83a2 y}}} {{{#00c4f2 이건 내 drama}}} {{{#ffda00 꿈꿔본 drama}}} {{{#00c4f2 이건 내 drama}}} {{{#0bf1c3 저 환호성 난 nobody 스티커 사진 속 넌 주인님}}} {{{#cc48ff 아이구 죄송 넘은 내 선 엑스트라1 은 오늘도 통편집}}} {{{#00c4f2 함께 하고 있지만 마음이 이상해 자꾸 CG같애 내 몸이}}} {{{#ffda00 어느새 다가온 퇴장이란 그 문 앞엔 작고 시시한 내 결말이}}} {{{#ff83a2 O}}}{{{#00c4f2 h}}} {{{#ff83a2 o}}}{{{#00c4f2 h}}} {{{#ff83a2 잘}}} {{{#00c4f2 가}}} {{{#ff83a2 내}}} {{{#00c4f2 망}}}{{{#ff83a2 상}}} {{{#00c4f2 O}}}{{{#cc48ff h}}} {{{#00c4f2 o}}}{{{#cc48ff h}}} {{{#00c4f2 다}}}{{{#cc48ff 가}}}{{{#00c4f2 온}}} {{{#cc48ff b}}}{{{#00c4f2 y}}}{{{#cc48ff e}}}{{{#00c4f2 -}}}{{{#cc48ff b}}}{{{#00c4f2 y}}}{{{#cc48ff e}}} {{{#ffda00 O}}}{{{#ff83a2 h}}} {{{#ffda00 o}}}{{{#ff83a2 h}}} {{{#ffda00 널}}} {{{#ff83a2 위}}}{{{#ffda00 한}}} {{{#ff83a2 d}}}{{{#ffda00 r}}}{{{#ff83a2 a}}}{{{#ffda00 m}}}{{{#ff83a2 a}}} {{{#0bf1c3 T}}}{{{#ffda00 i}}}{{{#0bf1c3 m}}}{{{#ffda00 e}}} {{{#0bf1c3 t}}}{{{#ffda00 o}}} {{{#0bf1c3 g}}}{{{#ffda00 e}}}{{{#0bf1c3 t}}} {{{#ffda00 a}}}{{{#0bf1c3 w}}}{{{#ffda00 a}}}{{{#0bf1c3 y}}} {{{#cc48ff 이건 네 drama}}} {{{#0bf1c3 이건 네 drama}}} {{{#cc48ff 이건 네 drama}}} {{{#cc48ff Oh my god 네 눈부신 drama 내 내가 무슨 상관 내 내가 무슨 상관}}} {{{#ff83a2 O}}}{{{#00c4f2 h}}} {{{#ff83a2 m}}}{{{#00c4f2 y}}} {{{#ff83a2 g}}}{{{#00c4f2 o}}}{{{#ff83a2 d}}} {{{#00c4f2 마}}}{{{#ff83a2 법}}} {{{#00c4f2 같}}}{{{#ff83a2 은}}} {{{#00c4f2 d}}}{{{#ff83a2 r}}}{{{#00c4f2 a}}}{{{#ff83a2 m}}}{{{#00c4f2 a}}} {{{#ff83a2 내}}} {{{#00c4f2 내}}}{{{#ff83a2 가}}} {{{#00c4f2 무}}}{{{#ff83a2 슨}}} {{{#00c4f2 상}}}{{{#ff83a2 관}}} {{{#00c4f2 내}}} {{{#ff83a2 내}}}{{{#00c4f2 가}}} {{{#ff83a2 무}}}{{{#00c4f2 슨}}} {{{#ff83a2 상}}}{{{#00c4f2 관}}} {{{#ffda00 Oh oh 무대 위 drama는 Oh oh 여전히 찬란}}} {{{#0bf1c3 Oh oh we have no problem Nothing but my name}}} {{{#ff83a2 O}}}{{{#00c4f2 h}}} {{{#ff83a2 o}}}{{{#00c4f2 h}}} {{{#ff83a2 잘}}} {{{#00c4f2 가}}} {{{#ff83a2 내}}} {{{#00c4f2 망}}}{{{#ff83a2 상}}} {{{#cc48ff O}}}{{{#00c4f2 h}}} {{{#cc48ff o}}}{{{#00c4f2 h}}} {{{#cc48ff 다}}}{{{#00c4f2 가}}}{{{#cc48ff 온}}} {{{#00c4f2 b}}}{{{#cc48ff y}}}{{{#00c4f2 e}}}{{{#cc48ff -}}}{{{#00c4f2 b}}}{{{#cc48ff y}}}{{{#00c4f2 e}}} {{{#ffda00 O}}}{{{#ff83a2 h}}} {{{#ffda00 o}}}{{{#ff83a2 h}}} {{{#ffda00 널}}} {{{#ff83a2 위}}}{{{#ffda00 한}}} {{{#ff83a2 d}}}{{{#ffda00 r}}}{{{#ff83a2 a}}}{{{#ffda00 m}}}{{{#ff83a2 a}}} {{{#0bf1c3 T}}}{{{#ffda00 i}}}{{{#0bf1c3 m}}}{{{#ffda00 e}}} {{{#0bf1c3 t}}}{{{#ffda00 o}}} {{{#0bf1c3 g}}}{{{#ffda00 e}}}{{{#0bf1c3 t}}} {{{#ffda00 a}}}{{{#0bf1c3 w}}}{{{#ffda00 a}}}{{{#0bf1c3 y}}} {{{#00c4f2 이건 네 drama}}} {{{#ffda00 이건 네 drama}}} {{{#00c4f2 이건 네 drama}}} }}} || ====# Dance Practice #==== || TX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DRAMA' Dance Practi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bGCUD2-0J4)]}}} || ====# 기타 #==== || 날짜 || 섬네일 || 채널 || 제목 || 비고 || ||<-4> {{{-2 2020년}}} || || 5월 24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524 투모로우바이투게더 Drama 릴레이댄스 섬네일.jpg|width=100%]]}}}|| [[M2|[[파일:mnet m2 로고.png|width=50]]]] || [릴레이댄스] TX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Drama || [[https://youtu.be/2YMxbFLSgn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응원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응원법, 문단=4.1)] ===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1E8UNF7N4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fff; background-color: #ffffff; font-size: 0.6em;" {{{#9500ff '''TITLE'''}}}}}}[br]{{{+3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1 Track 2}}}[br]3분 21초[br]{{{-2 [[트랩(음악)|{{{#ffffff 트랩}}}]] 비트에 [[신디사이저|{{{#ffffff 일렉트로 신스(Electro Synth)}}}]]가 가미된 트렌디한 [[팝 음악|{{{#ffffff 팝(Pop)}}}]] 장르의 노래이다. 마법 같은 순간이 끝나고 불타버린 세계 앞에서 겪는 혼란과 두려움, 친구 관계의 균열로 인한 외로움을 이야기한다. 혼란스러워하는 소년들의 심정을 담은 가사에 걸맞게, 조금은 우울하고 다크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감성적인 피아노 선율로 시작해 독특한 효과음과 악기 소리가 더해져 거칠면서도 여린 느낌이 공존하는 곡이다. 속삭이는 듯한 보컬과 유니크한 [[내레이션|{{{#ffffff 내레이션}}}]] 구간이 특징이며, 듣는 재미를 배가시킨다.}}}[br][b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작곡 ] || 작사 || 작곡 || ||<-2> [[Slow Rabbit]], [[방시혁]], [[Supreme Boi]], Melanie Joy Fontana, Michel “Lindgren” Schulz, Eric Zayne, Naz Tokio || }}}}}} || || {{{#!folding [ 가사 ] [br]^^'''ALL {{{#cc48ff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ffda00 I'm yours you were mine 세계의 비밀 마법 같던 영원의 그 약속}}} {{{#0bf1c3 별빛 아래 꽃피운 둘만의 Scintilla Now see them burn in fire}}} {{{#ff83a2 폐허가 된 여기 재가 된 memories}}} {{{#cc48ff Together together We forever forever you know}}} {{{#ff83a2 약속했던 둘만의 something something 불꽃 속에서 넌 등을 돌리지}}} {{{#00c4f2 무너진 모래성 who's a liar 세계의 끝에서 춤추는 fire}}} {{{#ffda00 안 들리니 널 찾는 내 목소리}}} {{{#00c4f2 또 홀로 남겨지는 나 구해줘}}} {{{#0bf1c3 Can't you see me 마법의 그날처럼 say Believe me}}} {{{#ffda00 불타버린 내 맘을 come and feel me feel me Oh can't you see me}}} {{{#ff83a2 My friends don't understand me no}}} {{{#0bf1c3 Can't you see me}}} {{{#cc48ff Friends don't understand me understand me anymore Friends don't understand me anymore more}}} {{{#0bf1c3 Can't you see me}}} {{{#00c4f2 Friends don't understand me understand me anymore Friends don't understand me anymore more}}} {{{#ff83a2 원망해 널 참 많이}}} {{{#0bf1c3 Cuz you don't understand me}}} {{{#00c4f2 원망이 멈추게 please }}} {{{#cc48ff 내 손을 잡아줘 다시}}} {{{#ffda00 Together together We forever forever you know}}} {{{#ff83a2 꿈속에서 사라진 something something 남겨진 섬 잊혀진 그 멜로디}}} {{{#00c4f2 무너진 모래성 who's a liar 세계의 끝에서 춤추는 fire}}} {{{#0bf1c3 안 들리니 널 찾는 내 목소리}}} {{{#cc48ff 또 홀로 남겨지는 나 구해줘}}} {{{#ffda00 Can't you see me 마법의 그날처럼 say Believe me}}} {{{#0bf1c3 불타버린 내 맘을 come and feel me feel me Oh can't you see me}}} {{{#cc48ff My friends don't understand me no}}} {{{#ffda00 Can't you see me}}} {{{#ff83a2 Friends don't understand me understand me anymore Friends don't understand me anymore more}}} {{{#ffda00 Can't you see me}}} {{{#0bf1c3 Friends don't understand me understand me anymore Friends don't understand me anymore more}}} {{{#00c4f2 Bad bad 그저 아픈 꿈이길 바라}}} {{{#cc48ff Sad sad 돌려놔줘 나를 네 옆에}}} {{{#0bf1c3 Can't you see me 마법의 그날처럼 say Believe me}}} {{{#ffda00 불타버린 내 맘을 come and feel me feel me Oh can't you see me}}} {{{#ff83a2 My friends don't understand me no}}} {{{#0bf1c3 Can't you see me}}} {{{#cc48ff Friends don't understand me understand me anymore Friends don't understand me any Shh more}}} {{{#0bf1c3 Can't you see me}}} {{{#ffda00 Friends don't understand me understand me anymore}}} {{{#00c4f2 Friends don't understand me anymore more more more}}} }}} || ==== 뮤직비디오 ==== ||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MFHUTJ13Ys)]}}} || ==== Dance Practice ==== || TX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Dance Practi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wdOeu8I4Ho)]}}} || ==== 기타 ==== || 날짜 || 섬네일 || 채널 || 제목 || 비고 || ||<-5> {{{-2 2020년}}} || || 5월 19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519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릴레이댄스 섬네일.jpg|width=100%]]}}}|| [[M2|[[파일:mnet m2 로고.png|width=50]]]] || [릴레이댄스] TX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 [[https://youtu.be/PQRWWFRLGF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월 20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520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BE ORIGINAL Teaser 섬네일.jpg|width=100%]]}}}||<|4> [[스튜디오 춤|[[파일:스튜디오 춤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스튜디오 춤 로고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 [BE ORIGINAL] 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Teaser) || [[https://youtu.be/GLXI37RAeX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월 23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523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BE ORIGINAL 섬네일.jpg|width=100%]]}}}|| [BE ORIGINAL] 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 [[https://youtu.be/O9BqpP7uYl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월 31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531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BE ORIGINAL Full Focused 섬네일.jpg|width=100%]]}}}|| [BE ORIGINAL] 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Full Focused) || [[https://youtu.be/bEPVV9zbGO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월 16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616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BE ORIGINAL Behind 섬네일.jpg|width=100%]]}}}|| [BE ORIGINAL] 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 'Can't You See Me? + PUMA' (Behind) || [[https://youtu.be/4q-QdgR1jw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응원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응원법, 문단=4.2)] ==== Pre-Sequel ==== || TX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 [[시퀄|{{{#ffffff Pre-sequel}}}]]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X8crJq-YpQ)]}}} || === 샴푸의 요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B-7UxCBcQ0)]}}} || ||{{{+3 '''샴푸의 요정'''}}} {{{-1 Track 3}}}[br]4분 27초[br]{{{-2 [[투모로우바이투게더|{{{#ffffff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처음으로 발표하는 리메이크 곡으로,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ffffff 연준}}}]]이 랩 메이킹에 참여했다. 1990년대 인기를 끌었던 가수 '[[빛과 소금(밴드)|{{{#ffffff 빛과 소금}}}]]'의 명곡 '[[샴푸의 요정(노래)|{{{#ffffff 샴푸의 요정}}}]]'을 [[네오 사이키델리아|{{{#ffffff 네오 사이키델릭}}}]]의 하위 장르인 [[드림 팝|{{{#ffffff 드림 팝(Dream Pop)}}}]] 장르로 재해석했다. TV 속 샴푸 광고 모델을 사랑하게 된 동화 같은 가사, 멤버들의 청량한 목소리와 [[아카펠라|{{{#ffffff 아카펠라}}}]] 하모니가 어우러져 신비롭고 몽환적인 느낌을 준다. [[신디사이저|{{{#ffffff 신스(Synth)}}}]] 악기의 따뜻하면서도 오묘한 사운드가 유니크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노래 곳곳에 숨어있는 아날로그적인 사운드가 레트로한 매력을 더한다.}}}[br][b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작곡 ] || 작사 || 작곡 || 편곡 || ||<-2> 장기호 || [[Supreme Boi]], [[Slow Rabbit]] || }}}}}} || || {{{#!folding [ 가사 ] [br]^^'''ALL {{{#cc48ff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ff83a2 네모난 화면 헤치며 살며시 다가와}}} {{{#ffda00 은빛의 환상 심어준 그녀는 나만의 작은 요정}}} {{{#cc48ff 이른 아침 안개처럼 내게로 다가와}}} {{{#0bf1c3 너울거리는 긴 머리 부드런 미소로 속삭이네}}} {{{#00c4f2 그녀만 보면 외롭지 않아 슬픈 마음도 멀리 사라져}}} {{{#ffda00 그녀는 나의 샴푸의 요정 이제는 너를 사랑할 거야}}} {{{#cc48ff 그저 넌 존재하는 줄로만 in a fairytale 네모난 화면 헤치며 살며시 내게 다가온 너라는 요정 왠지 말 건네는 것만 같아 말로는 설명 안 되는 느낌 걷는 것만 같은 기분 저기 구름 위를 어느샌가부터 나의 마음속에 자리하고 있는 거야 넌 마치}}} {{{#0bf1c3 이른 아침 안개처럼 내게로 다가와}}} {{{#ffda00 너울거리는 긴 머리 부드런 미소로 속삭이네}}} {{{#00c4f2 그녀만 보면 외롭지 않아 슬픈 마음도 멀리 사라져}}} {{{#ff83a2 그녀는 나의 샴푸의 요정 이제는 너를 사랑할 거야}}} {{{#0bf1c3 멀}}}{{{#00c4f2 리}}}{{{#0bf1c3 서}}} {{{#00c4f2 나}}} {{{#0bf1c3 홀}}}{{{#00c4f2 로}}} {{{#0bf1c3 바}}}{{{#00c4f2 라}}}{{{#0bf1c3 보}}}{{{#00c4f2 던}}} {{{#0bf1c3 그}}}{{{#00c4f2 녀}}}{{{#0bf1c3 는}}} {{{#00c4f2 언}}}{{{#0bf1c3 제}}}{{{#00c4f2 나}}} {{{#0bf1c3 나}}}{{{#00c4f2 의}}} {{{#0bf1c3 꿈}}} {{{#00c4f2 그녀만 보면 외롭지 않아 슬픈 마음도 멀리 사라져}}} {{{#cc48ff 그녀는 나의 샴푸의 요정 이제는 너를 사랑할 거야}}} }}} || ====# Dance Practice #==== || TX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샴푸의 요정' Dance Practi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aamxYLDOIE)]}}} || ====# 기타 #==== || 날짜 || 섬네일 || 프로그램 || 제목 || 비고 || ||<-5> {{{-2 2020년}}} || || 5월 27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527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샴푸의 요정 릴레이댄스 섬네일.jpg|width=100%]]}}}|| [[M2|[[파일:mnet m2 로고.png|width=50]]]] || [릴레이댄스] TX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샴푸의 요정 || [[https://youtu.be/Shv_zUq2ee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거울 속의 미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0hjuwisA5Y)]}}} || ||{{{+3 '''거울 속의 미로'''}}} {{{-1 Track 4}}}[br]3분 46초[br]{{{-2 [[빅히트 뮤직|{{{#ffffff 빅히트}}}]] 사단의 프로듀서 '[[Slow Rabbit|{{{#ffffff 슬로우 래빗(Slow Rabbit)}}}]]'과 [[범규|{{{#ffffff 범규}}}]]가 공동으로 프로듀싱 한 [[브릿팝|{{{#ffffff 브릿 팝(Brit Pop)}}}]] 장르의 곡이다.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ffffff 연준}}}]]을 주축으로 다섯 멤버 전원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자작곡으로 [[투모로우바이투게더|{{{#ffffff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데뷔하기 전에 만들어졌다. 힘겨웠던 연습생 시절 반복되는 일상을 미로로 표현해 누군가 자신을 찾아주길 바라는 간절한 마음, 외로운 감정을 솔직하게 풀어냈다. [[기타|{{{#ffffff 기타}}}]], [[피아노|{{{#ffffff 피아노}}}]], [[베이스 기타|{{{#ffffff 베이스}}}]]의 미니멀한 악기와 멤버들의 감성적이고 담담한 보컬만으로 곡이 진행돼 잔잔한 감동을 선사한다.}}}[br][b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작곡 ] || 작사 || 작곡 || ||<-2> [[Slow Rabbit]],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9500ff 연준}}}]], [[범규|{{{#9500ff 범규}}}]], ADORA, [[휴닝카이|{{{#9500ff 휴닝카이}}}]],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9500ff 수빈}}}]], [[태현|{{{#9500ff 태현}}}]] || }}}}}} || || {{{#!folding [ 가사 ] [br]^^'''ALL {{{#cc48ff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cc48ff 끝은 어딜까 달려 보지만 In the mirror 속의 미로}}} {{{#ffda00 보호란 통제가 날 가두고 아파도 더는 투정 부리면 안 돼 나를 꼭 감춰둔 세상 세상}}} {{{#cc48ff Please don't give up on me}}} {{{#ff83a2 We'll be going up 넘어지지 마 In the mirror 속 네 위로}}} {{{#0bf1c3 커다란 틀에 날 맞추기엔 여전히 작고 작은 것만 같은데 나를 좀 찾아줘 제발 제발}}} {{{#00c4f2 거울 앞에서 난 또 굴복해 여긴 너무 컴컴해}}} {{{#ffda00 여리기만 한 내 어깬 숨지도 펴지도 못해}}} {{{#cc48ff 미로 속 끝에 미로 속 끝에 거울 저 편에 저기 저 편에 나를 찾아줘 제발 제발}}} {{{#00c4f2 Please don't give up on me}}} No oh oh oh oh oh oh No oh oh oh oh oh oh {{{#0bf1c3 여리기만 한 내 어깰 기대어 쉴 수가 있게 쉴 수 있게}}} No oh oh oh oh oh oh No oh oh oh oh oh oh {{{#cc48ff 나를 찾아줘 제발 제발}}} {{{#0bf1c3 빛을 따라 난 손을 뻗지만 In the mirror 속 날 밀어}}} {{{#00c4f2 깨지고 나뉜 그 형체 속에 나조차 진짜 날 찾을 수 없게 해 나를 좀 찾아줘 제발 제발}}} {{{#ffda00 거울 앞에서 난 또 굴복해 여긴 너무 컴컴해}}} {{{#ff83a2 여리기만 한 내 어깬 숨지도 펴지도 못해}}} {{{#cc48ff 미로 속 끝에 미로 속 끝에 거울 저 편에 저기 저 편에 나를 찾아줘 제발 제발}}} {{{#ffda00 이젠 날고 싶어 영원을 나는 피터팬처럼 fly fly fly}}} {{{#0bf1c3 별이 되고 싶어 처음 흘렸던 그 맑은 땀처럼}}} {{{#cc48ff 거울 앞에서 난 또 굴복해 여긴 너무 컴컴해}}} {{{#00c4f2 여리기만 한 내 어깬 숨지도 펴지도 못해}}} {{{#ffda00 미로 속 끝에 미로 속 끝에 거울 저 편에 저기 저 편에 나를 찾아줘 제발 제발}}} {{{#cc48ff Please don't give up on me}}} No oh oh oh oh oh oh No oh oh oh oh oh oh {{{#ff83a2 여리기만 한 내 어깰 기대어 쉴 수가 있게 쉴 수 있게}}} No oh oh oh oh oh oh No oh oh oh oh oh oh {{{#00c4f2 나를 찾아줘 제발 제발}}} }}} || ===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S-Zmy3fDuU)]}}} || ||{{{+3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1 Track 5}}}[br]3분 25초[br]{{{-2 낯선 세상을 만나고 처음 맛보는 자유에 짜릿한 쾌감을 느끼지만, 점점 자신을 배척하는 세상과 충돌하면서 두려움을 느끼는 소년의 모습을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ffffff 퓨마}}}]]에 비유했다. 자유를 갈망하는 맹수의 시선으로 담아낸 개성 있는 가사가 돋보인다. 강렬한 느낌의 [[트랩(음악)|{{{#ffffff 트랩(Trap)}}}]] 장르를 기반으로 한 [[힙합|{{{#ffffff 힙합(Hip hop)}}}]] 곡으로, 악기 구성이 단순하지만 반복적인 리듬만으로도 폭발적인 에너지를 전한다. 힙합 바이브가 강하면서 무게감이 있어 [[투모로우바이투게더|{{{#ffffff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확장된 음악적 스펙트럼을 느낄 수 있다.}}}[br][b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작곡 ] || 작사 || 작곡 || ||<-2> Sam Klempner, [[Supreme Boi]], Melanie Joy Fontana, Michel “Lindgren” Schulz, [[Slow Rabbit]], Krysta Youngs, Julia Ross || }}}}}} || || {{{#!folding [ 가사 ] [br]^^'''ALL {{{#cc48ff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ff83a2 West side east side Didn't know where to where to go Tonight we ride 적막한 이 밤의 소음}}} {{{#00c4f2 어둠 속 저 문이 열려 누가 막아 아무도 West side east side It doesn't matter anymore}}} {{{#cc48ff 뜨거 뜨거 뜨거 뜨거 뜨거 발이 데인 나 눈떠 느껴 숨 쉬어 꿈꿔 꿈꿔왔던 세상}}} {{{#00c4f2 생애 제일 거대한 night sky 내 발의 speed는 벌써 마하 눈앞의 저 green light 뭐가 뭐가 두려워}}} {{{#ff83a2 They came catch my back 절대 잡히면 안 돼 They came catch my friends 짙게 깔린 저 안개}}} {{{#cc48ff 여긴 사방은 까맣고 심각한 분위기로 귓가에 들리는 건 Bang bang bang 달려야 해}}} {{{#ffda00 But 왠지 나는 기뻐 처음 느껴본 이 기분 처음 자유를 만난 지금}}} {{{#0bf1c3 Woo 왠지 나는 기뻐 내 선택이 내 leader 내가 나의 believer}}} {{{#cc48ff 두근대네 심장이 처음 보는 나의 피}}} {{{#ffda00 번져가네 조금씩 나를 뛰게 하는 뛰게 하는 피}}} {{{#0bf1c3 동물원을 벗어나고 나서 마주친 세상은 너무 낯선}}} {{{#ffda00 누구 하나도 나를 안 반겨 매일 같은 걸음아 날 살려 race}}} {{{#00c4f2 밤이 되면 저 달엔 얼굴 그리웠던 엄마의}}} {{{#ff83a2 서글퍼진 맘 내 두 번째 걸음마}}} {{{#cc48ff I told ya 홀로 서기엔 아직 너무 어려 (너무 어려) 이 세상은 jungle full of warriors (warriors) 조준경이 너의 목을 노려 수천 개의 눈이 인터넷에 접속 (접속 접속) 조심해 네 적이 삽시간에 퍼져 (퍼져 퍼져) 꿈에 닿을 때까지 얼마나 더 걸려 그 질문엔 매번 총성만이 번져 난 계속 숨을 쉬기 위해 다시 run up}}} {{{#ffda00 But 왠지 나는 기뻐 처음 느껴본 이 기분 처음 자유를 만난 지금}}} {{{#0bf1c3 Woo 왠지 나는 기뻐 내 선택이 내 leader 내가 나의 believer}}} {{{#cc48ff 두근대네 심장이 처음 보는 나의 피}}} {{{#ffda00 번져가네 조금씩 나를 뛰게 하는 뛰게 하는 피}}} {{{#ff83a2 West side east side Didn't know where to where to go Tonight we ride 적막한 이 밤의 소음}}} {{{#00c4f2 어둠 속 저 문이 열려 누가 막아 아무도 West side east side It doesn't matter anymore}}} {{{#0bf1c3 (Oh no)}}} }}} || ====# 뮤직비디오 #==== ||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Official Teaser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hgYuWAJVtw)]}}} || ||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Official Teaser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oAzJeNa5Ag)]}}} || ||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mTgS5OXgbU)]}}} || ====# Dance Practice #==== || TX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Dance Practi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z7bJKO_JzU)]}}} || ====# 기타 #==== || 날짜 || 섬네일 || 프로그램 || 제목 || 비고 || ||<-5> {{{-2 2020년}}} || || 6월 4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604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BE ORIGINAL Teaser 섬네일.jpg|width=100%]]}}}||<|2> [[스튜디오 춤|[[파일:스튜디오 춤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스튜디오 춤 로고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 [BE ORIGINAL] 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Teaser) || [[https://youtu.be/w5hn0m7pdE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월 6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606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BE ORIGINAL 섬네일.jpg|width=100%]]}}}|| [BE ORIGINAL] 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 [[https://youtu.be/DI-p_p4jjl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월 7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607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릴레이댄스 섬네일.jpg|width=100%]]}}}|| [[M2|[[파일:mnet m2 로고.png|width=50]]]] || [릴레이댄스] TX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 [[https://youtu.be/U43vKXhyFT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월 13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613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BE ORIGINAL Full Focused 섬네일.jpg|width=100%]]}}}||<|2> [[스튜디오 춤|[[파일:스튜디오 춤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스튜디오 춤 로고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 [BE ORIGINAL] 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 (Full Focused) || [[https://youtu.be/ACMz-l1zgp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월 16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616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 BE ORIGINAL Behind 섬네일.jpg|width=100%]]}}}|| [BE ORIGINAL] 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 'Can't You See Me? + PUMA' (Behind) || [[https://youtu.be/4q-QdgR1jw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응원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응원법, 문단=4.3)] === Eternall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oLDgCgCrg0)]}}} || ||{{{+3 '''Eternally'''}}} {{{-1 Track 6}}}[br]3분 37초[br]{{{-2 익숙하고도 낯선 그리움을 쫓아 과거의 기억을 찾아가는 소년들의 노래이다. 반복되는 악몽 속 자신들을 이끄는 불가사의한 존재, 알 수 없는 감정에 대한 물음을 담았다. 몽환적인 [[팝 음악|{{{#ffffff 어쿠스틱 팝(Acoustic Pop)}}}]]에서 시작해, 어둡고 불길한 기운의 완전히 다른 비트로 전환되는 [[얼터너티브 R&B|{{{#ffffff 얼터너티브(Alternative) R&B}}}]] 곡이다. 미니멀하면서 조각난 [[노이즈(음악)|{{{#ffffff 노이즈}}}]]로 채워진 트랙이 실험적인 느낌을 주며, 멤버들의 새로운 보컬 스타일이 독특함을 더했다. 단순하고 반복적인 멜로디 라인이 중독성을 불러일으킨다.}}}[br][b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작곡 ] || 작사 || 작곡 || ||<-2> [[FRANTS]], [[Supreme Boi]], [[Slow Rabbit]], Pauline Skott, Peter St James, Ruuth, Chris James, [[방시혁]], danke || }}}}}}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cc48ff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ff83a2 제발 멈춰 매일 밤 꾸는 이 악몽 잡힐 듯 말 듯 한 네 손}}} {{{#0bf1c3 이젠 말해줘 입가를 헤매는 이름 이 슬픈 꿈의 의미를}}} {{{#ffda00 추억의 미로 속 잠긴 내 마음 구해줘 날 영원의 꿈 제일 깊은 곳 잠든 푸른색 비밀로}}} {{{#00c4f2 Don't go breaking my heart don't go 조각난 세상 잊혀진 둘의 일기 속 데려가 줘 그 비밀로}}} {{{#cc48ff 눈을 떠보니 그 밤 불꽃비가 내리던 날 악몽을 부르는 춤 끝나지 않는 리듬}}} {{{#0bf1c3 비명을 삼킨 이 어둠 커지는 너와 내 틈 눈앞에 펼쳐진 이 낙서 다시 꿈속을 헤쳐}}} {{{#cc48ff 추억의 미로 속 잠긴 내 마음 구해줘 날 영원의 꿈 제일 깊은 곳 잠든 푸른색 비밀로}}} {{{#ffda00 Don't go breaking my heart don't go 조각난 세상 잊혀진 둘의 일기 속 데려가 줘 그 비밀로}}} {{{#ff83a2 I want to end this world}}} {{{#cc48ff 눈을 떠보니 그 밤 불꽃비가 내리던 날 악몽을 부르는 춤 끝나지 않는 리듬}}} {{{#0bf1c3 비명을 삼킨 이 어둠 커지는 너와 내 틈 눈앞에 펼쳐진 이 낙서 다시 꿈속을 헤쳐}}} {{{#ffda00 추억의 미로 속 잠긴 내 마음 구해줘 날 영원의 꿈 제일 깊은 곳 잠든 푸른색 비밀로}}} {{{#00c4f2 Don't go breaking my heart don't go 조각난 세상 잊혀진 둘의 일기 속 데려가 줘 그 비밀로}}} }}} || ====# 뮤직비디오 #==== ||<-5> 'Eternally' || || {{{-3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빈]]}}}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76530751077400579, 크기=20)] || {{{-3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연준]]}}}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76530890525437952, 크기=20)] || {{{-3 [[범규]]}}}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76893164045955073, 크기=20)] || {{{-3 [[태현]]}}}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76893311660253185, 크기=20)] || {{{-3 [[휴닝카이]]}}}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HitEnt/status/1276893440123387905, 크기=20)] || || 'Eternall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xlloUcfUy0)]}}} || == 음반 구성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음반 구성 ] [[파일:투모로우바이투게더 미니 2집 사양.jpg|width=100%]]}}}}}} || == Comeback Show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투모로우바이투게더/콘텐츠, 문단=2.3)] == 음악 방송 == || 프로그램 || [[더 쇼|[[파일:더 쇼 로고.svg|width=50]]]] || [[쇼 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50]]]]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5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50&theme=dark]]]]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22.png|width=50]]]] || || 5월 3주[* 1주차] ||<-2> - ||<-3> 컴백 || || 5월 4주[* 2주차] ||<-2> 컴백, {{{#ff0000 '''1위'''}}} || - ||<-2> '''2위''' || || 6월 1주[* 3주차] ||<-4> - || 22위 || || 6월 2주[* 4주차] ||<-5>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투모로우바이투게더/활동, 문단=6.3)] == 성적 == === 음원 === ==== 차트 최고 기록 ==== || 음원 서비스 || 차트 || 순위 || ||<|3> [[멜론(음원 서비스)|[[파일:멜론 로고.svg|width=80]]]] || 실시간 차트 || 5위 || || 일간 차트 || 55위 || || 주간 차트 || 90위 || ||<|2> [[지니뮤직|[[파일:지니뮤직 로고.svg|width=80]]]] || 실시간 차트 || 6위 || || 일간 차트 || 33위 || || [[FLO|[[파일:FLO 로고.svg|width=80]]]] || FLO 24시간 차트 || 71위 || || [[벅스(음원 서비스)|[[파일:벅스 로고.svg|width=80]]]] || 실시간 차트 || 17위 || ||<-3> {{{-1 [[https://가이섬.com/melon/song/32603264|주요 음원 서비스의 '9와 4분의 3 승강장에서 너를 기다려 (Run Away)' 차트 순위 추이]]}}} || === 음반 === ==== 총 판매량 ==== || 날짜 || 월간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비고 || ||<-4> {{{-2 2020년}}} || || 5월 || 247,153 || 247,153 || - || || 6월 || 28,805 || 275,958 || 커리어 하이 || || 7월 || 57,028 || 332,986 ||<|5> - || || 8월 || 6,237 || 339,223 || || 9월 || 7,380 || 346,603 || || 10월 || 3,356 || 349,959 || || 11월 || 3,135 || 353,094 || || 합산 ||<-3> {{{#ff0000 '''353,094'''}}} || ==== 초동 판매량 ==== || 날짜 || 일간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비고 || ||<-4> {{{-2 2020년}}} || || 5월 18일 || 125,2** || 125,2** || 커리어 하이 || || 5월 19일 || 10,6** || 135,8** ||<|6> - || || 5월 20일 || 24,5** || 160,3** || || 5월 21일 || 3,9** || 164,2** || || 5월 23일 || 3,3** || 167,5** || || 5월 24일 || 4,9** || 171,5** || || 5월 25일 || 9,4** || 181,0** || || 합산 ||<-3> {{{#ff0000 '''181,0**'''}}} || == 여담 == * [[꿈의 장: STAR#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CROWN)|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꿈의 장: MAGIC#9와 4분의 3 승강장에서 너를 기다려 (Run Away)|9와 4분의 3 승강장에서 너를 기다려]]에 이어 타이틀곡의 제목이 매우 길다. *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이 앨범의 타이틀 곡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 (Can't You See Me?)'''으로 한국 가수 최초로 미국 라디오 디즈니 '올해의 여름곡' 부문에서 수상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빌보드 선정,선정=2020년 최고의 K-Pop 25곡,순위=16)]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20년 최고의 K-P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