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기)] [[파일:꿩고기.jpg]] [목차] == 개요 == [[꿩]]을 이용해서 만든 고기. 살짝 시큼하면서도 담백한 맛이 난다. 또한 [[지방(화학)|지방]]이 적고 [[단백질]] 함량이 높지만, 그만큼 육질이 굉장히 뻑뻑하다. 꿩은 닭보다 크기도 작고 먹을거리는 없지만 보양식으로 많이 알려졌다. 지방이 거의 없고 단백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성인병을 걸릴 확률도 낮추며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 말린 꿩고기를 건치(乾雉), 말리지 않은 꿩고기를 생치(生雉)라고 부른다.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주요 [[베어 그릴스|단백질 공급원]]으로, [[한양]] 내에는 생치전과 건치전에서 꿩을 팔았다. 그러나 꿩은 대부분이 야생동물이어서 수렵으로 충당되는 수량에 한계가 있다. 그러다 보니 현대에 들어서는 [[닭]]이 그 위치를 대신했다. 꿩도 사육이 가능하고 실제로 꿩 사육을 하는 농장들도 있지만, 닭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닭보다 가격은 비싼데 양이 적어 수지타산이 안 맞기 때문. 원래는 닭 대신 [[떡국]]에 들어가는 재료였다.[* 옛날에는 소나 돼지 같은 경우 중요한 재산이였고 특히 소 같은 경우 농업에 필요한 필수 자산인 가축이였으니 오늘날 떡국처럼 소고기 고명을 넣는 것은 마을잔칫날이나 제삿날처럼 특별한 날에 얻어먹거나 부자가 아니라면 힘들었다. 그에 비해서 꿩은 농한기철에 사냥하면 값싸게 얻을수 있었기 때문에 꿩을 떡국 재료로 쓴것이다. 그러나 꿩 사냥도 노하우가 있어야 해서 꿩을 못 잡았을 때 닭을 쓴 것이 아래의 속담으로 이어진다.] 기르기도 어렵고, 잡기도 어려운 꿩 대신 잘 날지 못하여서 사육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닭을 넣어서 단가를 맞추는 방식으로 대체했기 때문에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이 생겼다. 고기 자체의 맛은 닭하고 그다지 다르지 않지만 조금 거친 [[맛]]이 난다. 신선한 고기는 윗 사진처럼 [[육회]]로도 먹는 모양이고[* 위 사진은 접시에 밑반찬까지 있으므로 식당에서 사육꿩으로 만든 요리일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사육동물이 아닌 야생동물 육회는 냉동시키지 않으면 기생충에 감염될 우려가 있기때문에 신선한 회로 먹고싶으면 사육꿩으로 먹어야된다.][* [[식객(만화)|식객]]에서 언급된 바에 의하면 주로 가슴살 부분이 회로 애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평양냉면]]의 [[육수]]는 이것을 푹 고은 육수로 하는 것이 정석. 다만 육수 한정이라면 [[폐계]](노계)로도 대체 가능하다고 한다.[* [[식객(만화)|식객]]에서 언급한 내용이다.] 또한 [[잡채]] 역시 원래 꿩고기가 들어가는 대표적인 요리였다. 오늘날 당면이 들어가는 잡채는 '당면잡채'라고 불렀고, [[음식디미방]]에서는 여러가지 산나물에 꿩고기를 넣는게 원래의 잡채 요리였다.[* 잡채에 당면이 들어가기 시작한 건 1919년 황해도 사리원에 당면 공장이 차려지면서부터다. 이 시절 당면공장이 만두 순대 따위의 여러 한국 음식에 당면이 들어가게 만드는 일등공신이다.] 꿩고기 가슴살은 별미로 부드러운 맛이 일품이라 [[수안보]] 같은 지역에서는 꿩고기 음식점이 많다. == 요리 == 일단 꿩을 구한 후 털을 뽑아야 한다. 껍질이 상하지 않게 조심히 털을 뽑아 낸후 날갯족지와 다리는 잘라내자. 다리와 몸통 가슴 부분을 잘 분리한 다음 찜을 해 먹거나 튀겨 먹거나 살을 발라서 만두로 해 먹기도 한다. 뼈는 모아서 육수로 끓이는데 보통 냉면이나 떡국의 육수로 이용된다.[* 소고기 유통이 많아짐에 따라 소고기로 대채되는 중이지만 전통을 고집하는 음식점은 비싼 원가에도 불구하고 꿩육수를 사용한다.] 일부 사냥꾼들은 털을 뽑기 번거롭다는 이유로 그냥 껍질을 통째로 벗기는 걸 선호한다. 꿩의 배 껍질을 손가락으로 꼬집어 칼집을 내고 벗긴 뒤 발, 날갯족지, 머리를 가위로 잘라낸다. 그 후 가슴살과 총배설강이 만나는 얇은 부분에 칼집을 내고 살짝 찢은 뒤 손가락을 깊숙히 넣어 내장을 뽑아낸다. 그리고 등을 가위로 쪼개 안쪽을 찬물로 씻어내고 피를 뺀다. 서울에서는 보기 힘들지만 지방에 가면 꿩요리집들이 아직 있으며 꿩[[샤브샤브]]가 그나마 접하기 쉬운 음식이다. 다만 최근 명맥이 많이 사라졌다 보니 찾는 사람들만 찾는 음식이 되어 네이버 등에서 정보를 얻기 힘든 경우가 많다. 그래도 수요처들이 있다보니 사육장들이 있기 때문에 지역 어르신들에게 물어보면 파는 곳을 가르쳐주기도 하는 경우가 많으니 어른들께 물어보자. [[북한]] 요리 중 [[냉면]]을 비롯하여 꿩 육수를 사용해야만 제대로라고 인정받는 음식들이 많이 있다. [[김정일]] 밑에서 일한 [[후지모토 겐지]]가 그런 주문을 받으면, 꿩 사냥을 해야 하기에 예약이나 다름없다라고 김정일의 요리사에서 밝혔다. [[만두]]에 꿩의 살코기를 넣어 만드는 꿩만두라는 전통요리도 존재한다. 이 역시 [[떡국]]에 넣어서 먹었다는 듯. 한때 실제로 2006년 하반기 드라마 [[황진이(KBS)|황진이]]가 유행할 당시 꿩고기를 넣은 냉동만두인 [[고향만두]] 황진이 만두가 출시된 적이 있었으나 별 인기가 없어 묻혔다. 사실 꿩고기가 그렇게 많이 든 것도 아니었고. [[뼈]]가 일반 닭보다 많이 단단하다. 그래서 이북사람이 운영하는 평양냉면 집에서 원래 꿩의 뼈로 육수를 내는데 어쩌다 들어있는 꿩의 뼛조각 때문에 손님들 이가 많이 부러졌다고 한다. 그래서 재료비 문제보다 배상금 부담이 너무 커져서 [[닭고기]]로 바꾼 사례도 있다. 뼈가 단단한 것 뿐만 아니라, 잔뼈도 엄청나게 많다고 한다. [[한식대첩 고수외전]] 제3경연에서 꿩요리(전치수)를 선보인 서울-데일 조가 '''[[펜치]]'''로 잔뼈들을 뽑아내는 모습을 보여 판정단이 놀라워하기도 했다. [[제주도]]에서는 꿩으로 [[엿]]을 만든다. 꿩엿인데 딱딱한 엿이 아닌 물엿이다. [[꿩탕]]이라는 꿩고기를 끓여 만든 탕도 있다. 또는 메밀칼국수로 만들어 먹는다. == 창작물에서 == * 꿩을 의인화한 [[장끼전]]에서 장끼가 사냥꾼이 놓은 덫에 걸려 죽는다. 소설이 쓰여진 조선 후기 당대 사람들의 꿩을 고기로 먹는 식습관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 [[헌트쿡]]에서 최초로 잡는 사냥감이 꿩이며 꿩고기는 꿩 [[콘소메]]수프를 이용한 레시피가 많아서 초반부터 후반까지 자주 사냥해서 얻어야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꿩, version=255, paragraph=4)] [[분류: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