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서)] [목차] == 개요 == 羅企生 (364 ~ 400) [[동진]]의 인물. 자는 종백(宗伯). 양주 예장군(豫章郡) 출신. == 생애 == 나기생은 다재다능하여 조정에 출사해 좌저작랑을 지내던 중, 집안이 가난하고 부모가 연로하다는 이유로 임여(臨汝)의 현령으로 부임하길 청하니, 강주자사 왕의지(王凝之)가 그를 불러 별가로 삼았다. 이후 형주자사 [[은중감]]의 부름에 응해 그의 공조가 되었고, 누차 승진하여 무릉태수에 임명되었다. 융안 3년(399년) 12월, 나기생이 무릉으로 출발하기도 전에 [[환현]]이 군대를 거느리고 강릉(江陵)을 공격해 오자, 은중감은 즉시 명을 내려 나기생을 자의참군으로 삼았다. 나기생은 은중감이 의심이 많고 결단력이 없는 인물인 것을 보고 심히 걱정하며 동생 나준생(羅遵生)에게 이르길, > "은후(殷侯)께선 인자하시나 결단력이 없어 반드시 일을 성공시키지 못 할 것이다. 다만 성공과 실패는 하늘과 땅에 달려 있으므로 나는 마땅히 그를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이다." 라 하였다. 과연 은중감이 환현에게 패하여 도망치자, 나기생을 제외한 휘하의 문무 관리들 중 누구도 그를 수행하려 하지 않았다. 나기생이 장차 은중감을 따라가기 위해 문 밖으로 나설 때, 나준생이 형에게 말했다. > "이처럼 헤어져야만 하는데 어찌 악수조차 하지 않고 떠나려 합니까!" 이미 죽음을 각오한 나기생 역시 동생을 다시는 만나지 못 할 것이라 생각하고, 동생과 악수를 나누기 위해 말머리를 돌렸다. 나기생이 나준생의 손을 잡자, 나준생은 형을 붙잡을 작정으로 손을 놓아주지 않고 그를 말에서 끌어내리며 말했다. > "집에 노모도 계시는데 장차 어딜 가시렵니까?" 그러자 나기생 또한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 "오늘의 일로 나는 분명 죽을 것이다. 너희들이 아들로서의 도리를 잃지 말고 부모님을 봉양한다면, 우리 문중은 충과 효를 동시에 이루는 셈인데 한스러울 일이 어디 있겠느냐! " 하지만 나준생은 계속 형을 끌어안고 놓아주지 않았다. 한편, 멀찍이 떨어져 나기생을 기다리던 은중감은 그가 오지 않으리라 생각하고 먼저 떠나려 하자, 나기생이 외쳤다. > "생사를 함께 하겠습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은중감은 그 소리를 듣고도 말을 더욱 채찍질하며 나기생을 남겨둔 채 길을 떠났다. 환현이 군대를 이끌고 강릉에 입성하니, 강릉의 모든 사람들이 밖으로 나와 환현을 영접했지만 나기생만은 가지 않고 은중감의 저택을 관리했다. 혹자가 그에게 환현을 만나볼 것을 권했으나, 나기생은 오히려 정색하고 > "나는 은후(殷侯)의 관리로, 본래대로라면 그 분과 도망쳐야 했지만 동생이 나를 힘으로 붙잡는 추태를 부리는 바람에 결국 함께 참수당하지 못 하고 이렇게 살아남게 되었소. 이런 내가 무슨 낯짝으로 환현에게 굴복해 목숨을 구걸하겠소!" 그 말을 전해들은 환현은 무척 노여워했으나, 그를 여전히 잘 대접해주면서 동시에 일전의 언행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였다. 그럼에도 나기생은 끝까지 환현에게 강경한 태도를 취하니, 결국 무슨 짓을 해도 나기생을 설득시킬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환현은 그를 불러,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남길 말을 물었다. 이에 나기생이 답했다. > "[[사마소|문제]]께서 [[혜강]]을 살해하셨으나, 그의 아들인 [[혜소]]는 되려 진나라의 충신이 되었습니다. 그러니 공께서는 제 동생을 용서하여 노모를 보살피도록 해주시옵소서." 환현은 이를 허락하고 나기생을 처형했다. 향년 37세. 이후 환현은 약속대로 정월 말에 대사면령을 내려 나준생에게 따로 죄를 묻지 않았다. 일전에 환현은 나기생의 모친 호씨(胡氏)에게 고구(羔裘)[* 질 좋은 염소 가죽으로 만든 갖옷.] 한 벌을 선물한 적이 있었는데, 나중에 아들이 환현에게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호씨는 그 날 바로 선물 받은 고구를 불태워버렸다. [[분류:동진 및 오호십육국시대/인물]][[분류:364년 출생]][[분류:400년 사망]][[분류:장시성 출신 인물]][[분류:중국의 살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