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 영화]][[분류:전쟁 영화/제2차 세계 대전]][[분류:2007년 영화]] || '''원제''' || 俺は、君のためにこそ死ににいく || || '''장르''' || 드라마 || || '''러닝 타임''' || 2시간 15분 || || '''개봉일시''' || [[2007년]] [[5월 12일]] || || '''감독''' || 신조 타쿠 || || '''출연''' || 키시 케이코, 토쿠시게 사토시, 쿠보츠카 요스케 , 츠츠미 미치타카 || [목차] == 시놉시스 == ||[[쇼와 시대|쇼와]] 19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열세에 몰린 [[일본군]]은 연합군의 [[필리핀]] 상륙을 저지하고 전황을 뒤바꾸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군용기에 폭탄을 실어 공격을 감행하는 [[카미카제]] 특별 공격대를 편성. [[일본 해군]]과 라이벌 관계에 있던 [[일본 육군]]도 마찬가지로 지지않고 '진무대' '특별공격비행대'를 편성한다. 그러나 필리핀은 함락되고 연합군은 쇼와 20년 봄 [[오키나와]]에 상륙, [[일본군]]은 오키나와를 사수하고자 각지의 비행장에서 특공대를 발진. 일본 육군 최대의 특공기지였던 [[가고시마]]의 치란 비행장에서는 패전까지 493명의 특공대원이 있었다. 여기서 특공대원의 어머니라 불렸던 '토리하라 토메' 와 그 양아들의 시점에서 이들의 삶을 그린다.|| == 등장인물 == * 토리하라 토메(鳥濱トメ) - 기시 케이코 분 상점가에서 비행대원들이 단골인 토야마 식당을 운영[* 지금은 실제로 식당이던 곳이 특공 관련한 박물관이 되었다. 덤으로 치란 비행장은 "특공평화기념관"으로 탈바꿈하였다.]하는 여성. 대원들에게는 어머니 같은 존재. * 타니시 마사야(田西正也) - 토쿠시게 사토시 분 * 반도 카츠지(板東勝次) - 쿠보츠카 요스케 분 * 타바타 코이치(田端絋一) - 츠츠이 미치타카 분 == 줄거리 == 영화는 비행훈련을 받는 대원들의 일상과 [[필리핀]]에서 오오니시 타키지로 [[일본 해군]] [[중장]]이 특공 작전을 결의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특공은 무모하며 해군도 성과가 없었고, [[오키나와]]까지 날아가는 게 무리였기에 3번이나 출격했다가 되돌아왔고, 살아 돌아온 것을 질책하는 상사에게 빡친 [[소위]]가 시험비행에서 자폭해버린다. 결국 작전은 실행되고 특공 자체는 실행했지만 결국 [[일본]]은 패배하고 이후 살아남은 사람들의 비참한 모습과 토메가 [[야스쿠니 신사]]에서 죽은 대원들을 본다는 것으로 영화는 끝난다. == 에피소드 == 특공대원과 토메가 교류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했다는 점, 타이틀의 '당신'이 [[쇼와 덴노]]를 암시한다는 것, 제작총지휘 / 각본에 [[우익]]적 언동으로 유명한 [[이시하라 신타로]]가 맡았다는 것으로[* 이시하라와 토메는 생전에 교류가 있었으며, 거기에 픽션을 첨가하여 각본을 집필], 제작 전부터 '[[태평양 전쟁]] 찬미, 우익적 표현이 많은 영화가 아닌가?' 하는 의견으로 주로 좌파에서 비판을 받았다. 한 예로 좌파로 분류되는 이즈츠 카즈유키 감독[* '[[박치기#s-3|박치기!]]'의 감독, 비슷한 시기에 상영.]은 '전쟁 미화 영화' 등으로 영화를 보지 않고 비판했다. 이런 비판에 대해 출연자인 쿠보즈카 요스케는 영화의 기자회견에서 '영화를 보고 평론해 달라', '이 영화를 보고 전쟁찬미라고 하는 사람은 바보(이즈츠를 지칭)라고 생각한다. 한 번 더 보는 게 좋다. 보기 전에 말하는 녀석은 바보. 왼쪽이다 오른쪽이다 하는데 새는 양 쪽의 날개가 없으면 날지 못한다고 생각으로 매일 살고 있습니다' 라고 반론.[* 쿠보즈카는 [[재일 조선인]]의 [[일본]] 사회에서의 자립 과정을 그린 [[GO(영화)|GO]]의 주인공 스기하라 역을 맡기도 했다. 재일 영화에 출연한다고 [[친한파]]일 리는 없겠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한국인 입장에서는 뭔가 아스트랄한 출연이었다.] 신조 타쿠 감독은 '영화를 보고 코멘트 해 주길. 그것이 상대의 예의이자 룰. 퍼포먼스적 발언이라면 본인에게 되돌아간다', '[[오키나와]] 출신으로서 국가([[기미가요]])도 모른 채 상경했다. 우익이라 하려면 좋으실 대로. 사실에 있는 대로 그렸다' 라고 코멘트. == 비판 == 영화 시작 부분에서는 [[이시하라 신타로]]의 메시지가 나오는데, '슬프지만 아름다운 이야기', '사나이들의 아름답고 늠름했던 [[일본인]]으로서의 모습' 같은 문장이 나온다. 특공을 결의하는 부분에서는 '아시아를 해방하기 위한 전쟁' 이라는 중장의 대사도 나오며 시종일관 이런 것들을 가리켜 '아름답다' 는 식의 나레이션이 나온다. 특공대원의 잔무를 도와주는 여성들의 대사 중에는 '적함에 멋지게 돌격해 주세요', '여기서 모두를 위해 [[혈서]]를 쓰는 거야' 같이 멀쩡한 사람을 태연하게 사지로 모는 정신 나가 보이는 장면들도 나온다. 이런 배달의 기수 같은 장면들만 가득한 것은 아니고 군인끼리, 혹은 가족끼리 있는 장면에서는 작전의 무모함이나 [[일본]]의 패배 같은 일견 모습을 그리면서도 군인 대 타인의 시선으로는 "특공은 군신이며 나라를 위해 죽는 것"이라는 일관성 없는 각본과, 전쟁의 각종 부작용 묘사(해군 중장은 마지막에 [[할복]]) 덕분에 이게 무슨 블랙코미디인가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 이시하라의 메시지와 토메의 나레이션으로 이 영화의 내용을 한 줄 요약하자면 '아름다운 특공 희생자 덕분에 우리(현재 일본인)가 살아가고 있다' 정도가 되겠다. 일본인들의 역사 의식이 얼마나 수준 낮은지 알 수 있는 작품이다. == 극중 [[한국인]] == 영화에서는 [[한국인]]도 나오는데, '카네야마' 라는 이름의 캐릭터로 2컷 정도가 나온다. 소위 계급으로 탁경현(卓庚鉉)이라는 사람이 실제 모델. 탁경현에 대해서는 책과 영화로도 나와있다.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은 이 영화에서 한국인 카네야마가 '너무나도 자랑스럽게 일본(또는 천황)을 위해 죽으러 간다(또는 말했다)' 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다. 근거로 극 중 2번째 컷(첫번째는 식당에서 토메 씨가 친근해서 좋다는 내용)의 대사를 통으로 옮겨본다. >카네야마: 아주머니, 제 이 사진 아주머니께 맡기겠습니다. 제가 죽더라도 아무도 찾지 않겠지만요. >토메: 알았어. >카네야마: 친척들 모두 특공지원에는 반대했어요. 조선인이 거기까지 할 필요는 없다고. 어머니한테 육군장교의 제복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열심히 돈 벌어서 육군사관학교까지 보내주셨어요. 저희 어머니. >토메: 어머니는 어떻게 되셨니? >카네야마: 반 년 전에 돌아가셨습니다. 아무것도 모르겠습니다. 이 전쟁이 끝나고 우리나라 조선은 [[8.15 광복|어떻게 될 것인가]]. 나 자신은 도대체 무엇을 위해서, 누구를 위해서 죽는 것인가. 확실한 것은, 무슨 일이 있더라도 저는 내일 죽는다는 것입니다. >카네야마: 아주머니, 노래 불러도 되겠어요? >토메: 당신이 부르는 거야? 드문 일이네. >카네야마: 나의 조국의 노래에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 >나 노래 못 부르죠? 극우성으로 비판 받는 [[극우 미디어물]]에 이런 장면이 있다는 건 아이러니하다. 그러나 대동아공영권을 생각해보면 극우적 장면이 아니라고 변호해주기도 곤란하다. 애초에 일본 극우들의 헛소리 레파토리가 "조선인은 자진해서 입대했다. 조선인은 천황폐하의 통치 아래 발전했으며, 일본은 조선인을 차별하지않고 사이좋게 살았다." 따위의 정신나간 개소리다. 이 장면 또한 일본의 식민 지배를 미화하기 위한 장면에 불과하며, 조선의 미래가 걱정된다는 대사도 '''일제의 패망 후에 일본의 지배 하에 놓이지 않을 조선이 걱정이다''' 라는 늬앙스다. 결코 조국의 미래를 고뇌하는 대사가 아니니 이 점을 유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