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노동당(대한민국) 대표)] ---- ||<-2> '''[[노동당(대한민국)|{{{#ffffff 제11대 노동당 대표}}}]][br]{{{+1 나도원}}}[br]Na Dowo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동당 나도원.jpg|width=100%]]}}} || || {{{#ffffff '''출생'''}}} ||[[1974년]] [[2월 12일]] ([age(1974-02-12)]세)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노동당)] || || {{{#ffffff '''약력'''}}} ||노동당 대표[br]노동당 부대표|| || '''SNS''' ||[[https://m.facebook.com/nadowon.laborpart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정치인으로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대표이다. 2011년 진보신당 문화예술위원회 초대 위원장, 2012년 예술인소셜유니온 초대 위원장, 2015년 노동당 경기도당 위원장, 2019년 노동당 부대표 등을 역임하고, 2021년 노동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2022년 노동당과 사회변혁노동자당의 통합을 주도했다. 대중연설에 강하고, 활발한 저술활동을 하는 음악평론가ㆍ문필가이기도 하다. 지하 세계 베이시스트였고, 아르바이트 노동자였으며, 아스팔트 빨갱이를 마다치 않는 음악평론가.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웹진 [이음] 발행인, 예술인소셜유니온 초대 위원장, 노동당 경기도당 위원장 등을 하다 노동당 대표가 되었다. 여러 음악 웹진 운영진과 페스티벌 제작진으로 활동했다.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예술인복지재단 등의 사업에 자문·심사·연구위원으로 참여했다. 대표저서로 『결국, 음악』(2011), 『시공간을 출렁이는 목소리 노래』(2012) 등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74년 출생]][[분류:노동당(대한민국) 대표]][[분류:노동당(대한민국)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