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창작물 분야 == * 동인계와 관련된 서술에 대한 편집 분쟁이 발생한 경우, 존치하고자 하는 측이 해당 서술이 문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를 밝혀야만 존치할 수 있습니다. * 공식 일러스트레이션이 한국으로 들어오면서 현지화 (예: 검열)이 되었으면 현지화된 일러스트레이션을 우선시합니다. === 워해머 관련 문서 === 엔하위키에서 넘어온 문서들에 [[워해머 갤러리]] 등 워해머 관련 커뮤니티에서 작성된 내용 '''불펌'''의 문제가 지속되어, 워해머 시리즈 관련 내용 전체가 더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러 다음과 같이 합의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들은 편집지침 발효일 이후로 전면 삭제하며, 작성 금지되지는 않으나 '''기존판과 무관하게 재작성'''해야 합니다. * GW와 그 계열사(포지 월드, 블랙 라이브러리 등)의 미니어처 게임([[Warhammer]], [[Warhammer 40,000]], [[Warhammer: Age of Sigmar]] 시리즈)과 그에 대한 설정 관련 정보. * 세력, 병종, 작중 캐릭터, 룰, 운용법, 기타 작중 설정 등이 포함됩니다. * 다음과 같은 내용은 위의 '삭제 및 전면 재작성'에서 제외됩니다. * 게임즈 워크샵과 그 계열사 이외에서 제작된 워해머 시리즈 파생 저작물(예: Dawn of War 시리즈, 토탈 워: 워해머 등)과 그에 연관된 설정, 캐릭터 등의 정보. * 워해머 시리즈와 관련된 인물([[맷 워드]]등의 실존 인물을 뜻하며, 워해머 설정 상의 내용과는 인물과는 무관합니다.) * 워해머 시리즈 관련 최상위 문서, [[Warhammer(구판)]], [[에이지 오브 지그마]], [[Warhammer 40,000]] 문서 자체도 삭제에서 제외됩니다. * 워해머 시리즈를 주제로 하는 동인 2차 창작물 [각주] ==== 룰 관련 문서 ==== * 규정의 적용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면 재작성 대상 문서 중 재작성된 문서 및 문단 * 관련된 문서 또는 문단에는 틀:미니어처 게임을 달아야 합니다. * 다음의 규정을 어길 경우 문서 훼손(나무위키:기본방침의 '편집권 남용')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룰과 코덱스 정보를 등재할 경우 다음의 출처에서만 인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외의 사이트(ex. 워해머 갤러리, 개인 블로그)를 인용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 GW는 번역자의 권리, 즉 2차 창작에 대한 권리를 존중합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warhammer&no=1444734|#]]) 따라서 이를 침해할 수 없습니다.] * GW에서 공식으로 출간한 서적 및 문서(코덱스, 소설, 화이트 드워프 등) * 렉시카넘, 위키아 등 해외 워해머 사이트 * 규정에서 허용된 범위에 있는 텍스트를 등재하더라도 전문을 인용하는 것은 금지되며, 반드시 요약의 형태로 서술하여야 합니다. * 외부의 텍스트를 위키에 등재할 경우 출처를 반드시 기재해야 합니다. * 규정에서 허용된 범위에 있는 텍스트를 등재하더라도 등재 시 저작권 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게시할 수 없습니다. * ex. 지나치게 상세한 자료(상세 스테이터스 자료, 특수 룰 발동 조건 등) * 고유명사 및 GW에 저작권이 있는 용어는 공식적으로 번역된 명칭이 있는 경우 그것만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공식 명칭이 있는 용어를 다른 용어로 대체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어떤 룰이나 대상의 특성에 대해 설명할 때는 그것이 몇 판의 룰에 속하는 것인지 명확하게 밝혀야 합니다. * 룰이 변경되거나 개정된 경우, 새로운 서술을 기존 서술에 추가하라면 반드시 신규 서술이 속한 룰의 출처를 기재하여야 합니다. * 타 종족에 대한 근거 없는 비하성 서술은 금지됩니다. [각주] === [[사이퍼즈]] 관련 문서 === * 등장인물(신규 캐릭터, 배경 인물 등)의 개별 문서는 [[템플릿:사이퍼즈의 등장인물]] 문서의 양식을 따릅니다. * 단, 플레이어블 캐릭터로서의 내용 외의 문단(광장 npc, 타 게임에 콜라보레이션으로 추가된 경우)은 기타 문단의 앞에 기술하며, NPC 문서, 콜라보레이션 날짜가 빠른 게임에서의 문단, 콜라보레이션 날짜가 늦은 게임에서의 문단 순으로 작성합니다. * 플랜 디코이가 진행 중인 캐릭터는 해당 기간 동안 [[틀:사이퍼즈/플랜 디코이]]를 문서 최상단에 표시하며, 변하는 스킬의 기존 서술은 해당 스킬 문단의 아래쪽에 함께 표기하도록 합니다. === [[Fate 시리즈]] 관련 문서 === * 후유키시의 성배전쟁 참가 서번트는 클래스명 뒤에 해당 성배전쟁 차수를 붙입니다. * 후유키시 외의 성배전쟁 참가 서번트는 클래스명 뒤에 등장작품명을 붙입니다. * Fate/EXTRA 참가 서번트는 /주인공이나 /맞붙는 회전을 붙입니다. * 예외적으로 [[Fate/Prototype]]과 [[Fate/Prototype 창은의 프래그먼츠]] 참가 서번트는 (도쿄 차수)를 붙입니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관련 문서 === * 애니메이션 혹은 죠죠니움 등 공식작이나 미디어믹스 외 출처 불명의 문구는 쓰지 않습니다. * 문두의 가독성을 해치지 않기 위해 등장인물 관련 틀은 각주 아래에 배치합니다. 또한 등장인물 능력 틀과 파트너 틀은 작성하지 않습니다. 스포일러 방지를 위해 최종 보스 틀은 작중 행적에서 그가 최종 보스임이 밝혀질 때 붙입니다. === [[유희왕/OCG]] 카드 관련 문서 === 이하의 조항은 원칙이며, 특정 문서의 특성상 지키기 어려울 경우는 해당 문서에서 이루어지는 토론을 통해 기술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단, "__권장__" 조항은 이러한 강제성이 없습니다. 1. 한글판 또는 일본판 (이하 OCG판)이 존재하는 경우, 최신 기수가 한글판이면 그 텍스트를 그대로 사용, 일본판이면 동일 기수의 유사 효과의 카드를 참조해서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a. 이러한 카드들의 최신 기수 형식에 맞춘 가상 텍스트는 만들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a. 룰이 복잡한 카드여서 룰 설명이 필요할 경우, 공식 데이터베이스 내용의 링크[* &request_locale=ja를 주소 뒷부분에 추가합니다.] 또는 번역을 우선시할 것을 __권장합니다.__ 1. 위에 해당하지 않는 TCG판 월드 프리미어 카드 및 원작 카드에 대해서는 텍스트 기술 방식의 제한을 두지 않되, 가능하다면 발매 시점의 OCG 최신 기수로 기술할 것을 __권장합니다.__ 1. OCG화된 원작 카드의 경우, 다음의 기준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한다면 개별 문단으로의 분리를 허용하고, 분리하지 않을 경우에는 애니메이션과의 차이점을 문장 형태로 짧게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a. 카드 종류[* 몬스터/마법/함정, 몬스터 종류(일반/효과/의식/융합/...), 마법/함정 종류(일반/지속/장착/...)]가 다른 경우 a. 효과에 큰 차이가 있는 경우 a. 원작에서 중요한 역할인 경우 * "카드 종류가 다른 경우"에 해당하는 카드의 종류를 다른 항목에서 참조해야 할 경우, 사용된 작품·시점에서의 종류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원작 카드가 이미 개별 문서 또는 개별 문단에 등재된 이후에 OCG화되었을 경우, 기존 내용은 위의 원칙들에 의거해서 처리하고, 완전 삭제는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다크 다이브 봄버]]와 [[중강갑 거북]]처럼 OCG 내에서 에라타된 카드, 및 [[삼환신]]과 [[아르카나 포스]][* 태그 포스 2 ↔ 그 이후]처럼 게임 간의 데이터가 다른 카드의 경우도 동일한 처리를 원칙으로 합니다. (게임 간 차이는 최신 효과를 위의 원칙들의 OCG 카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처리합니다.) [각주] === [[월드 오브 탱크]] 관련 === * 각 전차들 성능 표는 [[템플릿:월드 오브 탱크]]의 양식을 쓰되 표에 작성할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의 표기법(기본, 단계 등)을 적용합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관련 === * 각 챔피언의 문서는 [[템플릿: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의 양식을 따릅니다. * 챔피언에 대한 패치가 적용되었을 때 아래와 같은 경우, 패치 이전의 내용을 하위 문서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 한 번의 패치에서 3개 이상의 스킬에 단순 수치상의 조정 이상의 변화가 있을 경우. * 패치로 인해 유의미한 플레이상의 변화(라인 변화, 아이템 트리 변화 등)가 일어났다고 토론을 통해 합의될 경우. * 위와 같은 사유로 패치 이전 내용이 하위 문서로 분리될 시, 문서 제목은 패치 번호에 따라 "챔피언 이름/x.xx 업데이트 전"과 같이 정해야 합니다. * 도입부의 대사와 대사 문단에 취소선, 볼드체 등의 삽입을 금합니다. * 스킬을 설명하는 한 줄 글은 최대 2개의 스킬에 1줄만으로 한정합니다. * 스킬의 대사를 문단에 한 줄 글로 삽입하려면 스킬 사용 시의 유일한 대사이거나 저명성 있는 대사여야 합니다. === [[리듬 게임]] 음악 관련 === * 원칙적으로 상용 리듬 게임에 한하여 관련 내용이 서술될 수 있습니다. * [[BMS]]는 비상용일지라도 상위 항목의 절대적인 예외가 됩니다. BMS관련 서술은 BMS 항목에 근거로 둡니다. * BMS 이외에서 곡 저작권자(실연자, 작사자, 작곡자. 저작인접권자 포함.)와 패턴 제작자랑 동일할 경우 상위 항목의 예외로 간주합니다. * 저작권자 및 저작인접권자가 아닌 제3자가 BMS를 제외한 비상용 리듬 게임에 만든 패턴은 원칙적으로 서술하지 아니합니다. 단, 저작권자 및 저작인접권자가 공인한 패턴인 경우에는 예외로 간주합니다. * 패턴인 경우 저작권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 상위 항목의 예시로 [[osu!]] 내에서 2차 사용 권한이 '''확인되지 않은''' 대부분의 곡은 서술하지 아니합니다. 절대 '''승인되지 않은''' 이 아닙니다. * 상용 게임일지라도 저작권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서술하되 항목 부문을 취소선 처리합니다. 좋은 예시로 [[L9]]의 [[네오드럼X]] 부문이 있습니다. * 특이 사항으로 [[드럼마스터]]의 경우에는 "엑스트라 모드 수록곡에 한하여 저작권이 애매하므로 서술을 하되 신뢰를 보장하지 않는다" 라는 서술을 해야 합니다. * BMS는 이하의 기준에 따라 문서 작성을 허용합니다. * 정규 발광(제 1 발광), 제 2 발광, LN 발광 가운데 하나의 난이도 표 이상에 차분이 등재된 경우 * 카피 BMS는 원칙적으로 서술하지 않되, 패턴을 카피한 BMS 중 정규 발광에 등재되거나 등재되었던 차분은 서술을 허용합니다(해당 항목: 부정의 신 차분 중 제1 발광 12레벨에 등재되었던 부정의 나무). * BOF 등의 이벤트에 출품된 BMS * 기존 BMS를 리믹스한 BMS는 원곡의 문서에 추가 서술합니다. * 리듬 게임 수록곡의 표제어는 다음 지침을 따릅니다. * 리듬 게임 수록곡은 '''해당 게임에 기재된 명칭'''(원어명)을 최우선 명칭으로 판안하여 작성합니다. * 리듬 게임 수록곡이란, 리듬 게임의 수록곡으로 처음 공개되고 수록된 오리지널 악곡을 말합니다. 라이센스곡이나, 이전에 공개된 적이 있는 악곡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즉, 이전에 공개된 적이 있는 악곡[* 앨범 수록곡 등]의 경우, 원래 공개된 명칭을 따르고, 이 지침 외의 다른 관련 지침이 있을 경우, 그것을 따릅니다. 따라서, 리듬 게임에 수록될 때, 명칭이 바뀌었더라도[* Deemo 수록곡이 일본어를 영어로 음차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이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星空の花束]] / Carnation은 이전에 일본어 명칭으로 발표된 적이 있었고, 이후 VOEZ에 수록되었으므로 원어(일본어)를, 君が残した世界で / [[Kimi ga Nokoshita Sekai de]]의 경우 Deemo에서 처음 발표되었고 영어로 수록되었으므로 영어로 문서 제목을 작성합니다.] * 한국 정발판(또는 해외판)과 내수판이 서로 다를 경우, '''내수판'''(원어명)을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maimai 시리즈]](해외판은 일본어명을 영어로 음차) 등입니다. *[[:분류:리듬 게임 음악]]은 개별 곡에 분류하지 않고, 그 최하위 분류에 분류합니다. 단, [[FLOWER]]와 같이 채보를 다루는 모든 문단이 분리되어 있는 문서의 경우에는 분류가 가능합니다. * (모든 조항보다 우선 항목으로)'''곡 저작권자가 원치 않을 시 해당 서술을 반드시 삭제해야 합니다.''' [각주] === [[마인크래프트]] 서버 관련 문서 === *서버가 다음의 등재 기준을 모두 만족할 시 개별 문서 생성 혹은 마인크래프트/멀티플레이/목록에 정보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운영 중인 공식 사이트를 소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운영 중인 공식 사이트는 회원 수가 200명 이상이여야 합니다. *운영 중인 공식 사이트에서 회원 수를 '''파악할 수 없을 때''' 아래의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최근 2주간 동시 접속자 수가 서버 최대 접속 가능 인원의 50%를 넘긴 적이 있어야 합니다. *서버 최대 접속 가능 인원 수는 50명을 넘겨야 합니다. *서버 개설 후 1년이 경과해야 합니다. *실제 서버 개설일을 기준으로 하며, 공식 사이트에서 서버 개설일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정확한 개설일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공식 사이트 개설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서버의 운영 시간을 표기하도록 하며, 하마치 서버는 등재를 금지합니다. *문서 분리 시, 문서의 내용이 2000자 이상이어야 합니다. *문서 분리가 되지 않았다면, 500자 내로 간결히 서술해야 합니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총 관리자를 제외한 닉네임 언급을 금지합니다. *문서가 지나치게 홍보성 성격을 띠고 있는 경우, 삭제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홍보용 포스터 첨부 혹은 문서 내에 직접 서버 주소를 발설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문서 분리 시 금전으로 서버 플레이 시 타 유저에 비해 조금이라도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는 서버가 아니어야 합니다.[* 게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아이템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각주] === TV 프로그램 관련 문서 === * 원칙적으로 해당 문서(테이블 포함)의 관련 사이트에는 공식 홈페이지만을 서술합니다. * 공식 홈페이지란,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사 및 제작사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한정합니다. * 단독 문서가 작성된 페이지는 서술이 가능합니다. === 보이스로이드 실황 플레이 === * 개별 문서로 등재하는 기준은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을 따릅니다. * 해당 내용은 [[유카리 실황 플레이/실황자 목록(한국)]] 문서에 등재될 수 있는 기준을 의미하며 하나라도 충족할 경우 해당 문서에 등재될 수 있습니다. * 유튜브 실황 조회수 단편 5만 회, 시리즈의 경우 총합 10만 회 이상 * 개인 채널 구독자 수 2000명 이상 * 유카리 실황만이 아닌 [[CeVIO]], 코토노하 실황 등 TTS실황 들도 해당 문서에 기록될 수 있다. === [[애니메이션]] 목록 문서 === * "심야 방식"이란 주로 일본에서 굳어져 쓰이는, 새벽 편성 프로그램을 그 전 날의 심야 편성으로 표기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 심야 방식의 표기 및 정리, 정렬 등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실제 시간에 의합니다. * 이 지침의 적용 범위는 "애니메이션/XXXX년", "애니메이션/XXXX년 X월" 및 "애니메이션/XXXX년대" 형식의 문서로 합니다. === [[VOCALOID]] 관련 문서 === * 오리지널 곡 * VOCALOID 오리지널 곡의 정의(기준) * 동영상 사이트 및 기타 포털 사이트나 커뮤니티 사이트에 투고된 곡, 앨범 발매 및 음원 사이트에 등록되는 등, 모든 경로로 이용할 수 있는 악곡에 대해 VOCALOID를 최초 작곡 시 가수로 사용한 곡을 뜻합니다. 단, 24시간 내에 다른 버전과 동시 투고된 경우, 양쪽 다 오리지널 곡으로 취급합니다. * 위의 기준 외로 원작자의 명시적인 언급이 있는 경우, 그것을 우선적으로 따릅니다. * 원작자의 어레인지나 커버는 그것 자체로 또 다른 오리지널로 간주합니다. *지적재산권이 소멸하지 않은 원저작물의 핵심요소나 표현방식을 저작권을 행사할 수 없는 타자가 모방하거나 인용하여 악곡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해당 악곡을 VOCALOID 오리지널 곡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 비투고곡 * 비투고곡이라도 충분한 설명을 겸한 문서 작성이 필요합니다. * 독자에게 비투고곡이라 영상이나 음원 자료가 없다는 점을 알리고 스포일러 틀[* {{{[include(틀:스포일러)]}}}]을 작성합니다. 또한 이 조항은 미디어 믹스로서 판매가 된 비투고곡에만 해당됩니다. * 비투고곡의 경우 유튜브 등에서 투고된 영상은 첨부하지 않습니다. * 비투고곡의 경우 음원에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내용은 삼갑니다. * 비투고곡의 경우 미디어믹스에 나온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서술합니다. * 재생기는 달지 않습니다. * 2차 창작 및 활용 * 커버작의 경우에는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 #s-5.4.1|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의 커버작 지침을 적용합니다. * 리듬 게임에 대해서는 흔히 하던 그대로 하단에 서술합니다. * 기타 * [[VOCALOID 오리지널 곡]]에는 프로젝트 홍보[*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 틀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분류:파일/VOCALOID]] - VOCALOID 관련 파일은 이곳에 분류합니다. * [[VOCALOID 오리지널 곡]]과 [[VOCALOID/프로듀서|VOCALOID 프로듀서]] 문서는 각각 [[템플릿:VOCALOID 오리지널 곡]]과 [[템플릿:VOCALOID/프로듀서]]에 기초하여 작성합니다. * [[VOCALOID 오리지널 곡]] 등재 시에는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 #s-5|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을 적용합니다. * 시리즈물인 경우 등재조건의 '시리즈물의 경우에는, 누적 재생 혹은 조회 수가 합계 50만 회 이상이며, 그중 최소 1개의 게시물이 조회 수 1만 이상일 것'을 만족시킨다면 시리즈는 등재 가능하나, 시리즈에 포함되는 등재기준 미달곡은 등재가 불가능합니다. * 등재 기준은 단일 영상이나 음원에만 적용됩니다. * 보편적인 등재 기준인 재생수가 미달된 곡은 등재 조건 만족사항을 '기타' 문단에 기록합니다. * 표제어 * 영어 외의 외국어는 한글로 작성합니다. * 대한민국에서 정식적으로 발매가 이루어져 한국어로 번역이 이루어진 상품의 경우 [[나무위키:편집지침/모든 문서#s-1.2]]의 '1.2. 신규 문서의 표제어 선정 기준이 충돌하는 경우'의 높은 우선 순위를 우선시 하여 작성한다. * VOCALOID 오리지널 곡을 원작으로 미디어 믹스화가 이루어진 경우 VOCALOID 오리지널 곡의 제목을 표제어로서 우선시한다.[* 미디어 믹스 관련 하위문서에는 적용시키지 않는다.] * 리듬 게임 수록곡[* VOCALOID 미디어 믹스 리듬게임(예시: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등)의 수록곡은 제외한다]은 리듬 게임 음악 관련 표제어 지침을 적용한다. 또한, 본 조항은 소급하여 적용한다. * 동음이의어 구분 * [[VOCALOID/프로듀서|프로듀서]] : {{{(프로듀서)}}} * [[VOCALOID 오리지널 곡|오리지널 곡]] : {{{(VOCALOID 오리지널 곡)}}} * '''표제어가 완벽히 일치하는 곡이 두가지 이상 존재할 경우 : {{{(해당 곡을 투고한 프로듀서)}}}, {{{(VOCALOID 오리지널 곡)}}}[* 한쪽 곡은 프로듀서가 한 명만 있으나 다른 쪽 곡이 다수의 프로듀서가 존재 할 경우 적용한다.]''' * 가수 : (VOCALOID) [각주] === 특정 지역용 판본과 특정 언어 번역판의 표기법 === * "(나라 및 지역 이름)판"은 특정 지역을 위해 (혹은 그 지역에서) 제작된 판본을, "(언어 이름)판"은 특정 언어로 번역한 판본을 가리키는 용도로 각각 사용합니다. *(지역)판: Deal or No Deal의 __한국판__ Yes or No; 미국에서 제작된 [[몬스터 하이]] 단편 애니메이션과 별개로 제작된 __일본판__ 단편. [* 이 경우, 각각 "한국어판"과 "일본어판"으로 적으면 틀립니다.] *(언어)판: [[댄 브라운]]이 집필한 [[다빈치 코드]]의 __한국어판__; [[디즈니]] 영화 [[모아나]]의 __프랑스어판__. [* 각각 "한국판"과 "프랑스판"으로 적으면 틀립니다.] *영상매체에서, 일본 작품이 한국에 들어올 때 화면상의 왜색을 없애는 작업을 하거나[* [[카드캡터 체리]]나 [[짱구는 못말려]], [[도라에몽]] 등.] 일본에서 외국 작품에 자체 코너를 삽입[* [[트랜스포머 프라임#s-2.4.3|트랜스포머 프라임]]이나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일본#s-2|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등. 이 둘의 경우 자체 코너와 긴 시간의 자체 주제가를 삽입하는 대신 몇몇 장면이 삭제되었다.]하는 등 따로 편집을 한 경우, "(지역)판"과 "(언어)판" 중 무엇으로 표기할지는 추후 논의합니다 * 영상 매체에서, 공식 번역판 중 같은 언어의 자막판과 녹음판을 따로 구분해줘야 할 경우 각각 "(언어) 자막판"과 "(언어) 녹음판"으로 표기합니다. *[[슈렉 2]]의 무대인 Far Far Away는 __한국어 자막판__에서 "겁나 먼 왕국"으로 번역되었으나 __한국어 녹음판__에서는 다행히도(?) "머나 먼 왕국"으로 번역되었다. * 회사마다 번역판이 따로 있는 경우 반드시 명기한다. 이 때는 "(회사 이름)판"으로 줄이는 것을 허용합니다. * ... 극장 상영 한국어 자막판에서는 이를 얼버무렸으나, OCN 자막판에서는 제대로 번역되었다. * 성 바오로 출판사판에서는 "나르니아"로, 시공사판에서는 "나니아"로 불리는 그 곳이다. * EBS의 한국어 녹음판에서는 김승준이 목소리를 맡았으며, JEI 재능 TV판에서는 전태열이 맡았다. * 한국어 녹음판을 가리킬 때 단순히 "더빙판"이라고만 표기하는 일은 지양합니다. [각주] == 종교 분야 == * 종교 관련 문서의 서술은 인용 및 정보 전달의 차원에서 이루어집니다. === 중립을 지켜야 하는 내용 === 나무위키 측에서는 공식적으로 특정 종교를 긍정도, 부정도 해서는 안 됩니다. 반대로 특정 종교에 반하는 입장 또는 모든 종교에 반하는 입장만을 나무위키의 공식적 입장으로 삼아서도 안 됩니다. 다음 내용은 인용 및 정보 전달의 차원에서 서술되어야 합니다. * 특정 종교의 교리나 교전, 세계관, 신앙고백에 대한 서술은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나무위키는 특정 종교의 입장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수용해서는 안 되며, 반대로 특정 종교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배척해서도 안 됩니다. * 신(神) 존재 증명 관련 서술, 특정 종교의 신론(神論), 신관(神觀), [[신학]](神學)에 대한 서술은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나무위키는 특정 종교의 입장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수용해서는 안 되며, 반대로 특정 종교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배척해서도 안 됩니다. * 신에 대한 믿음, 신앙의 가치, 반신론에 대한 서술은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반신론]](anti-theism)은 신에 대한 관념 자체를 공격하는 의견을 말합니다. 나무위키는 반신론자를 배척해서는 안 되며, 반대로 반신론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삼아 종교인들을 배척해서도 안 됩니다. 나무위키는 기본적으로 [[세속국가]]인 대한민국의 이용자들을 위한 위키이며 세속적(secular)인 관점을 취합니다. 이는 반신론과는 다른 것입니다. * 종교의 사회적 가치, 반종교에 대한 서술은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반종교]](anti-religion)는 종교 그 자체를 무가치하다고 생각하는 의견을 말합니다. 나무위키는 반종교론자를 배척해서는 안 되며, 반대로 반종교론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삼아 종교인들을 배척해서도 안 됩니다. 나무위키는 기본적으로 비종교(Irreligion)적인 입장을 취합니다. 이는 반종교와는 다른 것입니다. === 논증 === * 교리 논박은 허용됩니다. 이는 모든 종교 관련 서술에 적용됩니다. 다만, 합리적 [[이성]]에 의하여 세심하게 검토되고 비평되어야만 하며 인용/정보 전달/논리적 접근/합리적 접근 등의 수단을 쓸 수 있습니다. * 과학의 교도권(magisteria) 하에 속해 있을 경우, 나무위키는 그것이 비록 종교적인 내용이라고 할지라도 [[과학적 방법]] 및 근거중심적(evidence-based) 접근을 통해 검증되는 것을 허용합니다. *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내용일 경우, 나무위키는 그것이 비록 종교적인 내용이라고 할지라도 [[과학적 방법]] 및 근거중심적(evidence-based) 접근을 통해 검증되는 것을 허용합니다. [각주] == 학술 분야 == 1. 이 조항에서 학문 문서는 '00학', 학과 문서는 '00학과, 00대학'을 말합니다. 1. 특정 학과 전공시의 취업/진로 관련 내용은 위키에 쓸 수 있습니다. 1. 취업/진로 관련 내용은 기본적으로 학과 문서에 써야 합니다. * 학과 문서가 아직 작성되지 않은 경우에 한해 학문 문서에 임시적으로 취업/진로 관련 내용을 덧붙여 쓸 수 있습니다. 다만, 학문 문서에 취업/진로 내용이 있는 것에 대해 이의가 제기될 경우 해당 내용을 학문 문서에서 삭제하고 학과 문서로 옮겨야 합니다.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 학문 문서에 덧붙여 쓴 취업/진로 내용은 토막글 수준을 넘어서면 학과 문서로 분리하는 쪽을 권합니다. [각주] == 정치 분야 == * 정치 관련 문서는 서술 내용이 현행법에 반하지 않는 이상 정치 관련 인물이거나 정치 관련 사건이라는 이유만으로 삭제되거나 작성이 금지되지 않습니다. * 정치인 관련 문서에서는 객관적인 범위 안에서 해당 정치인이 한 행동과 결과에 대해서 서술이 가능합니다. * 정치인 관련 문서에서의 취소선을 이용한 유머 및 각종 해당 정치인과 관련 없는 유머의 사용은 금지됩니다. === 대통령의 창씨개명 여부 서술 === * [[대통령]]이 [[창씨개명]]을 했을 경우, 해당 대통령 문서에 창씨개명에 대한 서술이 허용됩니다. * 개요 문단을 포함해 글 첫머리에 넣는 것은 금지합니다. * 내용 위치 때문에 분쟁이 일어날 경우 생애 관련 문단에 넣어야 합니다. * 대통령이 창씨개명한 이름에 대한 리다이렉트 문서를 만드는 것은 금지합니다. === 정책 중 개별 항목이 생성된 세금 === * 개별 문서가 따로 생성된 세금은 이동 보호 및 회원 수정으로 일괄 변경되어야 합니다. * 비로그인 편집 제한이 적용되지 않은 문서는 적용 요청을 해야 합니다. * 추가적인 등재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 최소한 225자만큼의 분량이 있어야 합니다. * 신규 문서인 경우 생성 후에 기간이 지나서 기존 문서가 된 이후에도 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삭제가 가능합니다. * 문서 생성 시점을 기준으로, 다음 사항에 해당되더라도 서술 및 작성이 가능합니다. * 신설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세금 * 폐지되거나 시행이 취소된 세금 * 특정 국가에만 있거나 있었던 세금이라도, 그 국가의 경제 문서에서 분리하거나 서술이 가능합니다. * 권고 사항 * [[구글세]]처럼 널리 쓰이는 이름으로도 생성이 가능하지만, 가급적이면 그 세금의 정식 명칭으로 생성합니다. * [[:분류:세금]]을 넣습니다. == 인물 분야 == === 특정인 관련 문서 === * 특정인 관련 문서란 특정인에 대한 서술이 주요 내용 중 일부로 존재하는 문서입니다. * 특정인에 대한 서술이란 특정되었거나 특정이 가능한 실존하는 인물에 대한 서술입니다. * 특정인 관련 문서에서, 특정인에 대한 서술은 공적인 관심사와 관련된 최소한의 공익성이 존재해야만 합니다. * 특정인 관련 문서에서, 특정인에 대한 서술은 공적 범위를 넘어서 해당 인물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할 수 없습니다. * 특정인 관련 문서에서, 특정인에 대한 서술은 서술의 재미보다 엄정한 사실이 우선됩니다. * 특정인 관련 문서에서, 특정인에 대한 서술은 그 인물의 인격을 침해하는 문투와 표현으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 [[아이돌]] 관련 문서 === * 아이돌 문서 개요(소개) 문단 및 목차, 최상단 부근의 인용문 및 요약은 그 아이돌 그룹의 인사말로 대체하는 것으로 합니다. * 각종 기록들과 평가는 뒤에 여러 매체의 제목을 그대로 인용하며 출처를 명확히 남기도록 합니다. * 이전 구성원이 있는 경우, 둘러보기 틀을 포함하여 단체로 구성원을 소개할 때는 이전 멤버도 함께 밝혀 작성해야 합니다. * 원칙적으로 해당 문서(테이블 포함)의 관련 사이트에는 공식 홈페이지만을 서술합니다. * 공식 홈페이지란, 해당 아티스트의 소속사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한정합니다. * 소속사에서 공식 운영하는 공식 팬카페가 없을 경우에 한해서 해당 아티스트가 가입한 카페일 경우 서술이 가능합니다. * 단독 문서가 작성된 페이지는 서술이 가능합니다. ==== [[러블리즈]] 관련 문서 ==== * 원칙적으로 [[러블리즈]] 관련 문서에서의 야민정음의 사용은 기존 야민정음 서술 규정에 따릅니다. 다만, 아래의 경우에는 예외로 둡니다. * 러블리즈 중 멤버 1명 이상이 공식적인 영상에서 해당 야민정음을 언급한 경우 * [[러블리즈 갤러리]], [[디시인사이드]] 외에서도 통용되는 해당 멤버의 별명 * 공식 카페에서 최소 10회의 언급 이상, 위에 언급한 두 곳의 커뮤니티를 제외하고 두 곳 이상의 커뮤니티에서 각각 3회 이상 언급되었을 경우 ==== [[SNH48]] 등 중국 48 관련 문서들 ==== * [[SNH48]] 등 중국 48 관련 문서들에서 중국어로 된 인명(별명, 애칭 등도 포함)과 지명 등은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합니다. * 물론 다른 문서에서 중국 48과 관련된 서술을 할 때에도 이에 따릅니다. === 나이에 대한 서술 === * 우선적으로 해당 인물이 태어난 생년월일을 기록합니다. * 나이는 '만 나이'만을 사용하며 이는 나무위키에 구현된 [[나무위키:문법 도움말#s-16.7|age 기능]]을 이용해서 출력합니다. * 한국식 '세는 나이'는 기재하지 않습니다. === 배우, 성우 관련 문서 === * 개별 배우, 성우의 문서에서 해당 연기자에 대한 가상 캐스팅 및 희망되는 배역을 서술할 수 없습니다. * 배우나 성우가 참여할 수 있는 작품, 배역, 캐릭터에 대한 문서에서 가상 캐스팅 및 희망되는 연기자를 서술할 수 없습니다. * 단, 공식 설문조사, 연기자 본인이나 해당 작품의 관계자의 언급, 조회수가 1만 이상이며 달린 댓글들 과반수 이상이 그 캐스팅 의견에 호의적인 커뮤니티 사이트 게시글 중 어느 하나를 근거로 제시할 경우 서술이 가능합니다. === 배우, 가수, 코미디언, 방송인 문서의 주요 수상 실적 === * 배우, 가수, 코미디언, 방송인의 개별 문서에서 해당 인물의 '''주요 수상 실적'''을 문서 최상단의 프로필 표(프로필 표가 없을 경우 대표 사진)의 아래에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수상 실적은 연표 형태로 해당 문서가 설명하는 인물의 수상년도를 기준으로 앞뒤 1년까지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토론을 통한 합의가 있을 경우 다른 형태로 작성 가능합니다. * 주요 수상실적의 '''등재 기준'''은 아래와 같다. 이 기준에 들지 않는 수상 실적은 문서의 최하단부에 "수상 내역" 등의 문단으로 주요 수상 실적과 함께 기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등재 기준이나 작성 형태의 제한은 없습니다. * 배우 * [[아카데미 시상식]], [[골든글로브상]], [[칸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베를린 영화제]] '''대상''', '''주연상'''(에 해당하는 상) * [[청룡영화상]], [[대종상]], [[백상예술대상]] '''대상''', '''주연상'''(에 해당하는 상) * KBS(TBC동양방송 포함), MBC, SBS [[연기대상]] '''대상'''(에 해당하는 상) * 가수 *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올해의 싱글상'''(에 해당하는 상) * [[골든디스크 시상식]], [[서울가요대상]],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멜론 뮤직 어워드]] '''대상''', '''올해의 가수상'''(에 해당하는 상) * KBS(TBC동양방송 포함), MBC, SBS [[연말 가요제]] '''대상'''(에 해당하는 상) * 코미디언, 방송인 * [[백상예술대상]] '''대상''', '''예능상'''(에 해당하는 상) * KBS(TBC동양방송 포함), MBC, SBS [[연예대상]] '''대상'''(에 해당하는 상) === 한국 정치인, 연예인의 비판, 논란 및 사건사고 서술 === 특정 한국인의 정치인, 연예인으로서의 행적 중, '''논란''' 및 '''비판'''에 대해 서술할 때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본 규정은, 한국인이 대다수인 나무위키에서 불필요한 정치적인 논쟁, 악성 프로파간다를 방지하는 취지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정치적 논쟁, 악성 프로파간다의 문제가 적은 해외 정치인, 연예인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 본 규정에서 정의하는 정치인의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한민국의 대통령, 국회의원,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장, 기타 [[정무직공무원]], 정당 내에서의 요직 등에 재직 중이거나, 그러한 직을 역임했던 자. * '''논란'''의 경우, 다음과 같은 규정에 따릅니다. 1) 어떤 정치인, 연예인과 관련하여, 해당 정치인이 사건/사고의 중심이거나 그 인물과 연관된 사건/사고가 발생 및 공표되었고, 그에 대해 언론 등에서 '문제'로서 제기되었지만 확실하지 않은 경우/정치적이거나 사상적인 측면에서 옹호, 논박의 여지가 있는 경우. 2) 해당 주제와 같은 주장을 언급하는 복수의 제도권 언론[* 제도권 언론의 기준은,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의 제도권 언론 부분을 따릅니다.]의 보도가 5건 이상인 경우. * '''비판'''의 경우, 다음과 같은 규정에 따릅니다. 1) 위의 '논란'의 기준에 부합하며, '문제'로서 제기된 것 중 명백히 해당 정치인, 연예인의 잘못인 경우. 2) 이 경우, 해당 사건/사고가 해당 정치인, 연예인의 명백한 잘못임을 확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를 확증함에 있어서 개인의 [[독자연구]]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 해당 인물이 해당 사건/사고의 중심이 아니거나, 사회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나 혹은 제도권 언론에서 해당 주제와 같은 주장을 언급하는 내용이 없다면, 논란 또는 비판으로 기록해서는 안 됩니다. === 주술적 내용의 기재 === * '생년월일, 나이, 혈액형, 이름의 뜻 풀이, 성별' 등 '성격, 가치관, 미래 예측'과 관계없는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한 주술적 내용[* 탄생석, 탄생색, 탄생화, 탄생목, 탄생성, 탄생주, 탄생수, 탄생수호신 등]의 기재는 허용하지 않습니다. * 다만 해당 주술적 내용이 단순한 개인정보 이상의 영향을 미쳤다면[* 예: 해당 인물이 해당 주술적 내용에 대해 중요하게 언급함, 특정 주술적 내용으로 인해 해당 인물에게 이익/손해가 생김, 역사적으로 당대에 해당 주술적 내용을 중요하게 여겼음 등] 기타(트리비아, 여담) 문단에 한해 허용합니다. * 그리고 '성격, 가치관' 등에 학술적 영향을 미치는 개인정보[* 예: 나이, 성별 등은 심리적 영향이 있음]는 위치에 관계없이 허용합니다. [각주] == 학교 분야 == * 학교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자료[* 역사, 입시 정보 등]는 되도록 학교 공식 사이트에서 얻은 자료를 사용하며, 근거 없는 고발성 서술은 작성하지 않습니다. * 외톨이 문서의 생성 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링크를 활용합니다.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목록]], [[대한민국의 중학교 목록]],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목록]], [[대한민국의 대안학교 목록]], [[대한민국의 특수학교 목록]], [[산업체 부설학교]], [[해외 국제 학교]], [[해외 한국인 학교]], [[외국인 학교]] * 자신의 출신 학교나 타 학교에 대한 과도한 강조 서술과 주관적인 수식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특정 종합대학의 개별 단과대학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실 경우, 문서명을 '대학교/학부/단과대학'과 같은 형식[*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으로 하여 '대학교/학부' 문서의 하위문서임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각주] === 학교 관련 문서의 정의 === 학교 관련 문서란 초,중등교육법, 평생교육법, 영재교육진흥법에 정의된 학교와 대학교, 전문대학, 개방대학, 대학(교)의 학과 등을 설명하기 위해 존재하는 문서를 말합니다. 여기서 학교의 정의는 교육기본법 제9조를 따릅니다. === '''한국''' 초, 중, 고등학교 관련 문서의 서술 === 해당 규정은 '''대한민국 내에 소재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초·중등교육법 제2조의 각종학교, 평생교육법 제31조의 학교 형태의 평생교육기관 문서에 적용되는 규정입니다. * 기본 정보와 위키 문법을 제외한 1000자 이상의 문서만 생성이 가능합니다. * 초, 중, 고등학교의 문서는 회원 수정으로 일괄 변경해야 합니다.[* 비로그인 편집제한이 적용되지 않은 문서는 적용 요청을 해야 합니다. 적용되지 않은 문서는 작성된 내용이 토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모든 초, 중, 고등학교 문서는 [[틀:초중고교]] 또는 [[틀:심플/초중고교]]를 부착해야 합니다. * 초중고 관련 문서의 작성에는 반드시 [[템플릿:학교]]를 사용해야하며, 템플릿:학교에서 문단화되어 있지 않은 기타 내용은 <기타> 문단에 각 단락별로 300자 이내로 간략하게 서술해야 합니다. * 2018년 2월 17일 이전에 생성된 문서는 [[템플릿:학교]]의 r187을, 그 이후에 생성된 학교 문서는 생성일 기준 가장 최신 리버젼의 [[템플릿:학교]]를 적용해야 합니다. * 단, 언론에 보도된 경우에 한하는 서술에 대해서는 별도의 문단을 만들어 서술할 수 있습니다. * 학교 명칭의 리다이렉트는 통상적인 줄임말, 공식 영문 약칭, 언론에도 사용될 만큼 인지도 있는 약어까지만 허용됩니다. *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타 학교에 대한 언급은 금지됩니다.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은 금지됩니다. * 학교 내의 특정 인물에 대해서는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s-4|인물 등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서술이 가능합니다.(학생, 교직원, 급식 관계자, 매점, 기숙사 관련 포함.) * 학교 내에서 일어난 사건·사고에 대해서는,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이 가능합니다. 단, 꼭 학교 이름이 실명으로 보도된 경우가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 학교 내 특정 조직(급식, 매점 등)은 언론 보도나 공식대회 입상기록이 없는 한 서술이 금지됩니다.(동아리는 [[#s-6.4|'''기타 학교 내의 단체 및 시설''']]의 규정을 적용받습니다.) [각주] === 한국 기타 학교 관련 문서의 서술 === 해당 규정은 '''대한민국 내에 소재하면서''' 6.2항의 적용범위에 있지 않는 학교들에 적용이 되는 규정입니다. * 기본 정보 및 위키 문법을 제외한 내용이 500자 이상이어야 합니다. * 학교 명칭의 리다이렉트는 통상적인 줄임말, 공식 영문 약칭, 언론에도 사용될 만큼 인지도 있는 약어까지만 허용합니다. *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타 학교에 대한 언급은 금지합니다.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은 금지합니다.[* 예: (A대학, B대학, C대학이) 탑3다, 탑5다, 업계에서 인정받는 대학이다, A대학보다 낫다, B대학이 강세이다, 학교 이름의 첫글자를 따서 몇 개씩 묶어 부르는 행위 등.] *단, 대학교 서열화라는 사회 현상 자체에 대한 문서, SKY(대학교) 문서는 예외적으로 작성을 허용하며, 이 두 경우에도 문서 내에 있는 학교 간의 우열이나 서열을 비교하는 내용의 서술은 금지합니다. *단, 대학평가기관[* 예: 중앙일보 대학평가, 정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 등.]이 발표한 순위, 등급 등의 평가 결과 소개는 허용합니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타 학교에 대한 언급은 금지합니다.[* 예: 다른 학교의 순위를 같이 언급하며, 학교 간 순위를 비교하는 서술 등.] 또한, 해당 서술은 평가 결과 소개에 그쳐야 하며, 서술자의 주관적인 평을 덧붙여서는 안 됩니다.[* 예: 대학평가기관이 발표한 순위를 소개한 뒤, '따라서 A대학은 삼류 대학이다', '따라서 A대학이 B대학보다 낫다고 할 수 있다.', 'A대학, B대학, C대학을 탑3라고 보면 된다.' 등의 평을 덧붙이는 행위.] * 학교 내의 특정 학생·교직원에 대해서는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s-4|인물 등재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서술이 가능합니다. * 학교 내에서 일어난 사건·사고에 대해서는,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이 가능합니다. 단, 꼭 학교 이름이 실명으로 보도된 경우가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 기타 학교 내의 단체 및 시설의 서술 === * 학교 내의 교내 학생 단체(구성원의 대부분이 재학생인 단체로, 동아리나 학생회 등을 포함합니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할 시에만 서술이 가능합니다. 단, 조롱·비난을 위한 서술은 어떠한 경우에도 불가합니다. * 학교 공인 단체로서 학교 홈페이지, 학내 언론 등을 통해 외부인이 공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작성된 공식 대회 등에 수상 실적이 있는 경우 * 해당 학교 공식 행사 중 전교생이 참가하는 행사에 정기적으로 참가하는 경우 * 언론에 보도되거나 교과서에 소개된 적이 있는 경우 * 비판을 위한 서술의 경우, 토론 합의 후에 서술이 가능합니다. * 교내 학생 단체, 시설 등 관련 하위 개별문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언론에 보도되거나 교과서에 소개된 것 이여야 합니다. * 개별 문서가 아닌 경우 기본적인 정보만 300자 이하로 간략히 서술해야 하며, 유머 목적을 위한 서술 등 사적인 서술은 금지됩니다. * 이 때 기본적인 정보는 교내 학생 단체의 경우 해당 단체의 명칭, 해당 단체가 주로 하는 활동, 해당 단체의 운영 형태 등을 의미합니다. 시설의 경우 시설의 명칭, 용도나 위치 등을 의미합니다. * 국내에 존재하는 학교 내의 시설 및 그에 대한 정보는,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해야 서술할 수 있습니다. * 교과서, 언론 보도, 학교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 교내 시설이라도 원칙상 외부인의 출입에 어느 제재도 없는 경우 * 학생이나 교원이 거주하기 위한 용도로 쓰이는 시설의 내부에 관한 정보가 아닌 경우 === 해외 학교 관련 문서의 서술 === 해당 규정은 대한민국 이외에 소재하는 학교에 적용이 되는 규정입니다. * 기본 정보 및 위키 문법을 제외한 내용이 1000자 이상이어야 합니다. * 학교 명칭의 리다이렉트는 통상적인 줄임말, 공식 영문 약칭, 언론에도 사용될 만큼 인지도 있는 약어까지만 허용됩니다. *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타 학교에 대한 언급은 금지합니다. * 학교 내의 특정 학생·교직원에 대해서는 인물 등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서술이 가능합니다. * 학교 내에서 일어난 사건·사고에 대해서는,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이 가능합니다. 단, 학교 이름이 실명으로 보도될 필요는 없습니다. * 해외에 존재하는 학교 내의 시설 및 그에 대한 정보는,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해야 서술할 수 있습니다. * 교과서, 언론 보도, 학교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 학생이나 교원이 거주하기 위한 용도로 쓰이는 시설의 내부에 관한 정보가 아닌 경우 [각주] == 공동 주택 분야 == * 개별 공동 주택의 명칭은 [[대연혁신지구]] 문서와 같이 토론에 의한 별도의 합의가 없는 한 기본적으로 [[http://www.minwon.go.kr/main?a=AA020InfoCappViewApp&HighCtgCD=A02002003&CappBizCD=15000000098|건축물대장]]에 등재된 명칭으로 합니다. 그러나 동일한 사업[* 하나의 재개발 지구를 2개 이상의 아파트 단지로 분리하는 등]으로 건설되었거나 동일한 입주자대표회의 또는 관리 시스템을 공유하는 공동 주택의 경우 하나의 공동 주택으로 취급합니다. * 관련 문서에는 기본 정보[* 주소·세대수·층수 등] 및 위키문법을 제외한 내용을 500자 이상 작성해야 합니다. * 개별 공동 주택 명칭의 리다이렉트는 최대 3개까지만 허용됩니다. * 직접적인 관계[* 같은 브랜드의 아파트 등]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타 공동 주택에 대한 언급은 금지합니다. * 개별 공동 주택의 부동산 가격 정보를 제시하거나 그것을 암시할 수 있는 내용 등으로 공동 주택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하고자 하는 서술 및 그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서 작성은 금지합니다. * 공동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에 대해서는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s-4|인물 등재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서술이 가능합니다. * [[공동 주택]]을 서술하는 모든 문서에는 [[틀:공동주택]]이 사용되어야하며 개별 [[공동 주택]] 문서를 작성할 때에는 되도록이면 [[템플릿:공동주택]]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각주] == 인터넷 분야 == === 인터넷 사이트 === * 기본 정보와 위키 문법을 제외하고 문서의 내용이 500자 이상이어야 합니다. * 관련 문서에는 일반적으로 공개되어 접근할 수 있는 정보만을 사용해서 서술하여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공개된 정보는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혹은 검색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정보' 등을 말합니다. 단, 여기서 개인 매체(블로그, 트위터 등)는 사전 토론을 거치지 않은 경우 제외됩니다. * [[나무위키:기본방침]]의 '[[나무위키:기본방침#s-2.3.1|이해관계가 얽힌 서술]]' 문단에 의해, 인터넷 사이트 등에 대한 홍보성 서술, 그리고 타 인터넷 사이트와의 분쟁 등에 대한 '근거 없는 고발성 서술' 등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성향 따위의 특정한 이유로 대립 관계에 놓여 있는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 간의 비교 서술은 제한하며, 단순한 기능을 비교하는 정도의 서술에 한해서만 비교 서술을 허용합니다. === 인터넷 사건 사고 === * 인터넷 사건 사고는 인물에 대한 서술이 아닌 사건 및 인물의 행동을 중심으로 기술해야 합니다. *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s-4.2|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인터넷 유명인]]에 대한 모욕, 비난, 협박적인 내용은 토론으로 이의가 걸릴 경우 합의 하에만 등재가 가능합니다. [각주] == 철도 분야 == === 철도역 관련 문서 === * 철도역 역명에 붙는 '역'은 앞 단어와 붙여 씁니다. * ex) 패링던 역(X) 패링던역(O) * 공식표기에는 취소선 등의 유머성 서술을 적으면 안 됩니다. * 공식표기로 정한 것들 * 문서 상단에 위치하며, 글자 크기 강조가 된 공식 역명 표기 * 우측 역 기본 정보에 관한 표 * 문서 상단의 넘겨주기 안내 멘트가 담긴 것 * 문서 내에서 공식 표기 이외의 부분에 있는 유머성 서술은 다른 문서의 취소선 관련 규정을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 동음이의어인 철도역 === * 기본적으로 개별 [[철도역]] 문서는 반드시 분리되며 두 개 이상의 철도역 명칭이 서로 동음이의어인 경우에는 개별 문서의 제목에 [[가야역(가야선)]] 문서와 같이 괄호를 붙입니다. * 복수의 간선 철도 노선이 접속하는 역에 괄호를 붙일 때에는 [[부산진역(부산)]] 문서와 같이 해당 [[철도역]]이 소재하는 도시명을 괄호 안에 넣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구포역(경부선)]] 문서와 같이 해당 노선의 명칭을 괄호 안에 넣습니다. *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는 괄호를 붙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경부선]] [[용산역]], [[대구역]], [[동대구역]], [[부산역]] 및 [[호남선]]/[[경전선]] [[광주송정역]] 문서 * 동음이의어 관계인 두 개 이상의 [[철도역]] 중 '''단 하나의 철도역'''만이 다음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고 나머지는 이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우선 순위는 번호가 작은 순부터입니다.] 1. [[대한민국]]에 존재함[* [[덕천역]], [[만덕역]] 등의 문서가 이에 해당합니다.] 1. 폐역처리되지 않음[* [[신평역]], [[초량역]] 등의 문서가 이에 해당합니다.] 1. 여객을 취급함[* [[부산진역]], [[범일역]] 등의 문서가 이에 해당합니다.] [각주] === 일본 철도 관련 고유명사 및 표제어 === *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는 합의[* [[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외래어표기합의]]] 로 인해 수정 또는 이동된 문서는 발효 전 시점으로 되돌린다. 1. 표제어를 변경할 때에는 기존 표제어를 리다이렉트 처리한다. 2. 기존의 나무위키에서 통용되는 표기법이 명백히 틀리지 않은 이상[* 한자를 잘못 읽은 경우,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표기인 경우('ま'를 '미'로 표기한 경우 등)], 이를 존중하여 표기한다. 2-1. 기존의 표제어를 본 지침에 따라 변경하는 경우, 기존의 표기가 명백히 틀리지 않은 이상 기존의 표제어에 사용된 표기를 따른다. * 오마치역(치바현) : 오마치역(치바) * 코토다이 공원역 : 코토다이코엔역 * 키누가와 온천역 : 키누가와온센역 2-2. 명백히 틀리지 않은 표제어를 변경하려는 경우[* 단, 3, 4항을 적용하여 변경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나무위키:편집지침/모든 문서#s-1.3]]의 '1.3. 기존 문서의 표제어 변경만을 목적으로 하는 토론의 경우' 의 1항을 '신규 표제어의 구글 검색 결과가 1000건 이상이며 기존 표제어와 검색 결과 수가 4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로 변경하여 적용한다. 2-3. 2-2항과 3, 4항 및 하위 항들의 충돌이 있을 경우, 3, 4항을 따른 경우를 기존 문서로 보고 2-2항을 적용한다. 2-4. 철도 회사의 한국어 역명 표기는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정의한 명칭'에 해당하지 않는다. 3. 일본어로 된 보통명사는 그에 대응하는 우리말을 사용한다. 단, 역명 등에 들어간 보통명사는 고유명사로 본다. * 上磯駅: 카미이소역 * 中央本線: 츄오 본선 * 船の科学館駅: 후네노카가쿠칸역 3-1. 역명의 丁目, 条는 "초메(또는 쵸메), 조(또는 죠)"로 표기한다. 또한 한자로 표기된 숫자는 한글로 음차하여 표기한다. * 하네다 공항 제1빌딩역 * 니시4쵸메역 * 기온시조역 3-2. 한국어로 뜻을 유지한 상태에서 번역할 수 있는 역명은 우측 템플릿 맨 위에 한국어 번역 역명을 병기한다. * 原爆ドーム前停留場(겐바쿠도무마에정류장) : 원폭돔앞 정류장 3-3. 貨物駅는 화물역으로, 貨物ターミナル駅는 화물터미널역으로 표기한다. * 京都貨物駅: 교토 화물역 * 新潟貨物ターミナル駅: 니가타 화물터미널역 3-4. 공항(空港), 항(港)에 대하여는 상기 규정의 적용을 추가 토론이 있을때까지 유예하고 범용성을 따져 표기한다. * 羽田空港国内線ターミナル駅: 하네다 공항 국내선 터미널역 [* 2항에 의해 하네다쿠코코쿠나이센타미나루역이 된다.] 4. 가타카나로 적는 부분이 일본어의 영어 조어이거나 영어가 아닌 외국어를 일본어로 옮긴 경우 원문을 음차하여 표기한다. * ユーカリが丘駅: 유카리가오카역[* 역명에 식물 학명 Eucalyptus의 일본식 분류명이 들어감] * ハウステンボス駅: 하우스텐보스역[* 역명에 네덜란드어 Huis Ten Bosch가 들어감] 4-1. 영어를 단순히 일본어로 옮긴 경우 영어 원문을 음차하여 표기한다. * テレコムセンター駅: 텔레콤센터역 * 東京ディズニーランド・ステーション: 도쿄 디즈니랜드 스테이션 4-2. 역명의 로마자는 그대로 표기한다. * YRP野比駅: YRP노비역 * JR総持寺駅: JR소지지역 5. 동음이역의 경우 소재 현을 기준으로 하여 적되, 같은 지역에 존재할 경우 운영사를 나누어 적는다. 5-1. 이름이 같은 역들은 도도부현을 따져 표기한다. 이 때에는 현을 생략한다. * 칸다역(도쿄), 칸다역(후쿠오카) 5-2. 만약 이 역들이 같은 도도부현에 속한다면 운영하는 철도회사를 따져 표기한다. * 우지역(케이한), 우지역(JR) 5-3. 철도회사가 같거나, 철도회사가 다르더라도 비슷한 이름의 역이 많은 경우 시정촌을 따져 표기한다. 이 경우 반드시 행정단위까지 표기한다. * 모토야마역(타카마츠시), 모토야마역(미토요시). [* [[모토야마역]] 참고.] 5-4. 동음이역이 생기는 경우 문서를 생성한 뒤 [[일본 철도 정보/역 관련 정보/동음이역]]에 기록한다. [각주] === 일본 철도역 템플릿 넓이 지침 === * 일본 철도역 문서의 템플릿은 최대 350px로 한다. == 스포츠 분야 == === 야구 관련 문서 === (KBO 리그의 경우) * 경기 내용 정리 이외의 논평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볼드, 글씨 크기 및 색깔 변경 등은 금지합니다. * 경기의 결과에 함몰되어 지나치게 감정에 치우치는 서술은 금지합니다. ==== [[KBO 리그/사건사고]] 관련 문서에 대해 ==== * 제도권 언론[*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s-4.1.1|이하에 따른다.]]]과 해당 언론 산하 스포츠신문, 그리고 포털 사이트 칼럼에 언급된 사건에 한해서 등재가 가능합니다. * 훌리건 문서에 사건 사고 내용을 기록하지 않습니다. ==== 야구선수 문서 ==== * 언론사 뉴스에 나오는 야구 선수 별명이면 리다이렉트 처리 가능합니다.[* 비하의 의미라도 가능] === [[리그 오브 레전드]]의 [[e스포츠]] 관련 문서 ===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관련 문서들은 현재 진행형 틀이 달려 실시간으로 수정되므로, 기본적으로 라이브 방송 도중에는 취소선과 볼드체가 난립하는 것을 허용하되, 해당 경기가 끝난 뒤에 취합하여 사후 수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또한 수정 근거는 [[편집지침]], [[나무위키 가독성 프로젝트]]의 제안 등에 따라 문서의 가독성 및 모바일 편의성을 우선합니다. * 각 항목별 [[취소선]] 드립의 최대량은 4개로 제한합니다. (경기 전 예상, 각 세트별 분석, 결과 정리 및 총평 등에 모두 공평하게 제한) * 댓글성 대화체 드립 및 물음표형 드립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본문으로 넣을 수 있는 취소선 드립은 본문으로 평문화하여 넣습니다. * 각주로 분리할 수 있는 취소선 드립은 각주로 평문화하여 넣습니다. * 해설진들의 주요 멘트를 취소선 드립으로 인용할 경우, 롤 관련 데이터베이스 사이트에서 인용되었거나 팬덤에서 개념글로 올라가는 등 나무위키 외부적으로 팬덤에서 최소한의 인정을 받은 경우를 우선합니다. === [[오버워치]]의 [[e스포츠]] 관련 문서 === * 모든 오버워치의 e스포츠 대회[* [[오버워치 리그]],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등]에서 경기가 진행된 과정을 표 형식으로 나타낼 때에는 [[템플릿:오버워치/경기 진행]]을 사용해야 합니다. * 단순히 경기 결과만 표시하거나, 경기 진행 과정을 글로만 작성할 경우에는 템플릿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 [[템플릿:오버워치/경기 진행]]을 사용할 경우에는 [[템플릿:오버워치/경기 진행/설명 문서]]를 따라야 합니다. * [[템플릿:오버워치/경기 진행/설명 문서]]를 수정해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그 문서에서 토론을 연 다음 합의해야 합니다. [각주] == 전자기기 분야 == ===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 === * 파생 모델의 경우 본가 모델 문서에 작성을 하며 이후 한국 출시가 될 때 별도의 문서로 분리합니다. * 정식 발매명을 공유하나 기기의 컨셉이 다른 경우[* [[갤럭시 S4]]-[[갤럭시 S4 mini]](소형화), [[갤럭시 S5]]-[[갤럭시 S5 Active]](러기드), [[LG G3]]-[[LG G3 A]](이통사 요청) 등] 파생 모델로 취급하며, 이동통신에 의해 파생된 모델이나 기기의 컨셉은 동일한 경우[* [[갤럭시 S5]]-[[갤럭시 S5 광대역 LTE-A]], [[갤럭시 노트4]]-[[갤럭시 노트4 S-LTE]], [[LG G3]]-[[LG G3 Cat.6]] 등] 본가 모델과 동일한 것으로 취급합니다. * 기기가 공개되었을 때 동일한 목적과 성격을 지닌 둘 이상의 모델로 나왔을 경우[* [[갤럭시 S6]]-[[갤럭시 S6 엣지]], [[iPhone 6s]]-[[iPhone 6s Plus]], [[엑스페리아 Z5]]-[[엑스페리아 Z5 컴팩트]]-[[엑스페리아 Z5 프리미엄]] 등](이하 '형제 모델'), 한국 출시가 이루어진 경우 단독 문서를 허용하나, 한국 출시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메인 모델의 정식 발매명을 제품군으로 지칭해서 문서를 개설합니다.[* [[엑스페리아 Z5(제품군)]], [[알카텔 IDOL 4(제품군)]], [[Lumia 950(제품군)]] 등] * 다만, 형제 모델은 메인 모델과 동등한 위치에 있기에 파생 모델로 취급하지는 않습니다. * 형제 모델의 정식 발매명은 리다이렉트 문서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엑스페리아 Z5 컴팩트]], [[엑스페리아 XA]], [[Lumia 950 XL]] 등] *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s-7.1|스마트 디바이스 관련 등재 기준]]에 의해 조건부 작성이 허용된 경우, 해당 루머를 주장하는 기사를 년/월/일까지 명확히 명기하고 해당 루머에 대해 간단히 서술합니다. * [[템플릿:스마트 디바이스 문서]]를 기본 가이드 라인으로 잡습니다. * 해당 기기가 실제로 공개될 시, {{{[[(기기 정식 발매명)/공개 전 루머]]}}}로 문서를 분리합니다. * 다음과 같은 경우, '공개 전 루머' 문서가 존재하는 스마트 기기 문서에서 공개 전 루머를 삭제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 해당 기기가 속한 라인업에서 해당 기기의 직계 후속작이 나온 경우 * 해당 기기가 속한 라인업의 해당 기기의 직계 후속작이 해당 기기 공개일 기준, 18개월 이상 공개되지 않는 경우 * iOS 기기의 표에 OS 버전을 넣을 때는 최초 버전과 가장 최신 버전은 필수적으로 기재하며, 메이저 업데이트가 되는 경우 업데이트를 거쳐간 각각의 메이저 버전을 기재합니다. 이 때 가장 최신의 마이너 패치 버전을 표시하며, 마이너 패치 버전은 버전 코드의 x.y.z중 y까지만을 반영합니다.[* 단 여기서 합의된 사항 중 일부는 [[https://namu.wiki/topic/60741|이 토론]]에 따라 적용되지 않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기 박스 패키징 구성의 서술은 원칙적으로 금지합니다. * 다만, 한국어 위키인 나무위키의 특성 상, 한국 내수용 기기에 한해서는 "한국 출시" 문단을 통해 박스 패키징 구성에 대한 서술을 허용합니다. 이 때, 출처는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 공식 채널만을 근거로 참고합니다. * 만약, 기기 박스 패키징 구성으로 이슈가 발생했을 때, 각 기기 문서의 토론을 이용해 박스 패키징 구성 서술에 대한 논의를 진행합니다. 그 결과, 작성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날 경우, 출처는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 공식 채널만을 근거로 참고합니다. * 나무위키 내에 번들 이어폰에 대한 문서가 작성되었을 때, 2번 예외 규정은 무시하고 번들 이어폰에 대한 이슈는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보다는 각 번들 이어폰 문서를 통해 내용을 서술합니다. === micro SDXC 규격에 대한 표기 === * 전자 기기가 지원하는 micro SD 카드 규격을 표기할 때, micro SDXC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 표기를 다음과 같이 합니다. * 해당 규격은 SD 카드의 규격을 제정하는 [[https://www.sdcard.org/developers/overview/capacity/index.html|SD 카드 협회의 공식 자료]]에 의해, 최대 2 TB까지 지원합니다. 하지만, 제조사 공식 사이트 표기에는 이보다 적은 규격을 지원한다 표기하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micro SDXC (규격 상 2 TB, ??? GB 공식 지원)'''이라 표기합니다. * ???는 제조사 공식 사이트에 나온 최대 지원 용량을 표기합니다. ex) 64 GB, 128 GB, 200 GB 등 * 제조사 공식 사이트에서 2 TB 지원이라 표기된 경우, '''micro SDXC (2 TB 공식 지원)'''이라 표기합니다. === 신형 모바일 AP 정보를 추가할 때 === * 모바일 AP에 대한 정보를 서술할 때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습니다. * 신형 모바일 AP가 공개되었을 경우, 모바일 AP 제조사 공식 채널에서 나온 정보를 1차적으로 참고합니다. * 모바일 AP 제조사 공식 채널에서 나온 정보가 없을 경우, 다음 순서대로 정보를 참고합니다. 1. 해당 모바일 AP를 탑재한 완제품(ex.스마트 디바이스 등) 제조사의 공식 채널. 1. 해당 모바일 AP가 공개되었다고 보도한 언론 보도자료 1종과 해당 모바일 AP로 측정된 Geekbench 3 및 GFX벤치 기기 시스템 정보. 1. 해당 모바일 AP가 공개되었다고 보도한 언론 보도자료만 존재할 경우, 언론 보도일 기준으로 14일 이후 각 모바일 AP 문서의 토론 스레드로 추가에 대한 토론을 진행. [각주] == 교육 및 수능 분야 == * 이 지침은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그 하위 문서(모든 수험 영역), 모든 연도별 수능 서술 문서에 적용됩니다.[* 20XX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수학 영역]], [[영어 영역]], [[사회탐구 영역]], [[과학탐구 영역]], [[한국사 영역]], [[제2외국어/한문 영역]] 등이 해당됩니다.] * 단, 관련 [[MPOV]] 문서를 생성 시 이 지침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견]]) * 작성자들의 소견이나 가치 판단, 추측 서술[* '~인 듯하다, ~인 게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 ~일 수도, ~인지' 등], 독단적인 난이도 논평이나 총평은 서술될 수 없습니다. * 성적표가 통지된 이후의 기사만 링크할 수 있습니다. [각주] == 밀리터리 분야 == === 총기 관련 문서 === * 기본적으로 (회사명 제품명) 방식을 채용해서 문서명을 정하되 한글로 회사명을 정하고, FN 같이한글로 쓰기 곤란하거나 H&K, S&W 같은 공식 약자가 있는 경우는 그 약자를 우선한다. 회사명을 앞에 붙이는건 두개 이상의 회사가 개발했거나 혹은 xx 식이거나 개인이 제작한 총기는 예외로 친다. * 파생형이 많은 총기는 그 파생형 총기가 저명성 혹은 서술한 내용이 많지 않다면. 제품명/파생형 문서를 만들어서 거기에 넣는다. * 모델/프로 이런건 M/P 같은걸로 통일한다. == 특수 문서 분야 == === 틀 === * 틀은 둘러보기 틀과 둘러보기 틀이 아닌 틀로 구분합니다. 둘러보기가 아닌 틀을 편의상 이하 '일반 틀'이라고 칭합니다. * 일반 틀은 생성 시 토론 합의를 거쳐야 하며, 명확한 삽입 기준이 필요합니다. * 경고성, 권고성, 경각심을 주는 용도의 일반 틀은 생성, 서술 불가능합니다. * 틀에 넣은 이미지와 각주 때문에 토론이 발제됐을 때 이미지와 각주를 존치하자는 쪽에게 우선적인 입증 책임이 부여됩니다. * 여러 개의 일반 틀이 합쳐져서 최상단 화면을 가린다면 일부 틀을 문서에서 삭제하거나, 틀이 화면을 전부 가리지 않도록 수정해야 합니다. * 일반 틀이 모든 문서나 그에 준하는 방대한 양의 문서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포괄적일 경우 삭제/개정하며, 해당 틀이 포괄적인지는 토론 합의를 통해 결정합니다. * 일반 틀은 지나치게 세부적인 분류로 있어서는 안 되며, 상위 틀이 그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면 삭제해야 합니다. ==== 일반 틀의 삽입 기준 ==== * 아래의 삽입 기준은 일반 틀을 삽입할 때 따라야 하는 지침일 뿐이며, 틀 자체의 존치 여부와는 연관이 없습니다. * [[틀:토론 중]]은 토론이 열린 문서에만 달 수 있습니다. 만약 닫히지 않은 토론이 있더라도 48시간 동안 아무 발언이 없으면 이 틀을 달 수 없습니다. 최상단 혹은 토론에서 문제로 삼은 부분에 달아야 합니다. * [[틀:스포일러]]는 스포일러가 포함된 문서에만 달 수 있습니다. 이 틀은 되도록 해당 작품 내에서 중요한 반전이나 결말을 설명하는 부분 외에는 달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이 틀을 달 때, 틀 위나 아래에 2줄 이상의 공백을 넣지 않아야 합니다. * 이 틀이 달린 문서에는 다른 스포일러 경고문을 게재할 수 없습니다. * 이 틀은 한 문서에 오직 한 개만을 달 수 있습니다. * [[틀:운행중단]], [[틀:폐선]], [[틀:미개통]], [[틀:미개통역]], [[틀:폐역]], [[틀:계획취소]], [[틀:미개통(버스)]], [[틀:폐선(버스)]], [[틀:폐쇄(정류장)]]는 철도 및 도로 노선 & 철도역 & 버스 노선 문서에 적합한 틀을 선택해서 문서 최상단에만 달아야 합니다. * [[틀:성적요소]]는 3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다음, 네이트 및 구글 중 하나라도 19금으로 지정한 단어를 표제어로 삼은 문서에만 달아야 합니다. * [[틀:의학]]은 오로지 질병, 약, 치료법, 그리고 의학 용어 문서에만 달아야 합니다. 단순히 의학 관련 요소를 포함했다고 해당 틀을 달 수는 없습니다. 마약 역시 해당 외입니다. * [[틀:법률]], [[틀:불법]]은 대한민국의 헌법, 법률, 대통령령, 조례 등의 문서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틀은 같이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둘러보기 틀 ==== * 둘러보기 틀이란 특정 분야의 문서를 분류하고, 서로 연결할 목적으로 표 형식을 사용해서 작성한 틀을 의미합니다. * 삽입된 둘러보기 틀 때문에 가독성, 문서 접근성 및 위치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판단 기준은 아래의 '편집 분쟁 시 해결 지침' 문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최상단에 배치할 시 접기 문법을 사용. * 해당 틀을 최하단으로 이동. * 단, 최하단이 아니더라도 편집자의 재량에 따라 연관성이 가장 큰 문단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해당 틀의 배치와 디자인을 수정. * 문서 내에서 삭제. * 단일 문서 내에 최상단 둘러보기 틀을 두 개까지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초과해서 삽입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초과한 틀을 다른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 단, 해당 틀들의 분류가 동일하며, 동일한 서열을 가짐을 입증할 경우 예시와 같이 편집해서 단일 틀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이 틀은 단일 틀로 취급됩니다. || {{{ ||<:> {{{#!folding 제목 [include(틀:A)] [include(틀:B)] }}} || }}} || ||<:>
{{{#!folding 제목 ||<-4> ABCD || || ABCD || ABCD || ABCD || ABCD || || EFGH || EFGH || EFGH || EFGH || || IJKL || IJKL || IJKL || IJKL || || MNOP || MNOP || MNOP || MNOP || || QRST || QRST || QRST || QRST || ||<-4> ㄱㄴㄷㄹ || || ㄱㄴㄷㄹ || ㄱㄴㄷㄹ || ㄱㄴㄷㄹ || ㄱㄴㄷㄹ || || ㅁㅂㅅㅇ || ㅁㅂㅅㅇ || ㅁㅂㅅㅇ || ㅁㅂㅅㅇ || || ㅈㅊㅋㅌ || ㅈㅊㅋㅌ || ㅈㅊㅋㅌ || ㅈㅊㅋㅌ || || ㅍㅎㅍㅎ || ㅍㅎㅍㅎ || ㅍㅎㅍㅎ || ㅍㅎㅍㅎ || }}} || ===== 편집 분쟁 발생 시의 해결 ===== * 접기 문법을 사용하자는 측과 위치를 변경하자는 측 사이의 편집 분쟁이 일어날 시에는 접기 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접기 여부와 관련된 분쟁에서 접기를 사용하지 말자는 쪽이 다음을 입증하지 못하는 경우 접기 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문서의 특성상 틀을 펼쳐야 하는가? * 해당 틀이 정보 과잉이 아닌가? * 해당 틀이 단일 문서 내의 목록을 넘어서 여러 문서를 잇는 용도로 반드시 필요한가? * 최상단 배치 여부와 관련된 분쟁에서 최상단 배치 측이 다음을 입증하지 못하는 경우 최상단에서 문서의 다른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 해당 틀의 내용이 해당 문서의 주요한 상위 분류인가? * 특정 이용자들의 편리성만 고려되고 있지는 않은가? * 디자인의 수정 여부와 관련된 분쟁에서 디자인의 수정 여부를 입증하지 못하는 경우 디자인을 수정해야 합니다. * 해당 틀이 실용성보다 미관을 추구하고 있지는 않은가? * 삭제 여부와 관련한 분쟁에서 존치 측이 다음을 입증하지 못하는 경우 삭제해야 합니다. * 둘러보기 틀이 문서와 주요한 연관이 있는가? * 둘러보기 틀의 내용이 분야를 벗어날 정도로 포괄적이지는 않은가? * 이 경우 세부적인 틀을 만들어 다시 추가할 수 있습니다. [각주] === 리다이렉트 === 리다이렉트 문서는 '''1)검색 및 하이퍼링크의 편의성 2)원 문서명 대체 가능성 3)보편성''' 3가지를 만족시켜야 합니다. 이 3가지 중 검색 및 하이퍼링크의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 검색 및 하이퍼링크의 편의성 * 특정 명칭에 대한 줄임말, 또는 문서명의 문장 부호[* ",", "!", "?" 등]를 모두 뺀 것 등이 이 경우에 해당합니다. * 리다이렉트의 문서명은 다음의 경우가 아니면 본 문서(항목)명보다 간단해야 합니다. * 본 문서(항목)명이 외국어일 경우의 한국어 번역 또는 공식 명칭 * 외국 창작물의 원어 '''공식''' 명칭 * 이음동의어 *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별명 * 원 문서명 대체 가능성 * 리다이렉트 문서명은 본 문서(또는 항목)명을 대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보편성 * 리다이렉트 문서명은 일정 수준 이상의 보편성을 가져야 합니다. 보편성을 판단하는 기준엔 구글의 검색 결과 수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리다이렉트 문서의 지나친 생성을 지양합니다. 따라서 한 문서로 연결되는 리다이렉트는 4개 이하로 제한됩니다. 다만, 토론을 통한 합의가 이루어질 경우 더 늘릴 수 있습니다. * 리다이렉트 수와 관련된 토론이 이뤄질 때, 중재자가 판단하기에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다수결로 결론을 낼 수 있습니다. 이 때의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재자가 시점을 정하고 24시간 안에 토론에 참여한 유저들이 다수결로 인한 합의로 편집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다수결로 합의가 나온 문서는 1주일간 같은 논제의 발제가 제한됩니다. * 해당 다수결 합의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 중재자는 합의를 무효화할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에서는 역링크 기능을 통해 리다이렉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서 리다이렉트 안내 문구는 문서 내에 어떤 형태로든 삽입될 수 없습니다. * 단, 문단 리다이렉트는 역링크 기능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안내가 허용되며 반드시 틀:넘겨주기(문단)을 사용해야 합니다. ==== 리다이렉트 문서 생성의 제한 ==== 다음의 경우는 특별한 토론 합의가 없는 이상 리다이렉트 문서 생성이 제한됩니다. * '''검색 편의성 증가보다 감소 효과가 큰 경우''' 한 문서로 연결되는 유사한 리다이렉트가 지나치게 많이 생성될 경우, 자동 완성[* 자동 완성이란, 찾는 문서가 없을 경우 나타나는 검색 결과가 아니라 글자를 검색 칸에 입력했을 때 검색 칸에 미리 뜨는 목록을 보여주는 검색 기능을 뜻합니다.] 목록에서 다른 문서들이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자동 완성은 10개로 한정되어 있는데 어떠한 동일 문서를 가리키는 유사 명칭이 자동 완성을 가득 채워버리면 다른 문서로 접근하고자 하는 이의 입장에서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으며 문서의 유사 명칭이 동일 문서인지 다른 문서인지 헷갈리므로 보는 이의 입장에서도 난해할 수 밖에 없습니다.][*예시1 [[5.18 민주화운동]] 문서에서의 "5.18 민주화 운동" 리다이렉트는 "5.18 사적지 목록", "5.18 북한개입설 보도사건"과 같은 문서에 대한 자동완성 접근성을 떨어뜨립니다. [[5.18 민주화운동]] 문서에서의 "5.18 민주화 운동" 리다이렉트는 문서에 이미 "5.18" 리다이렉트가 존재하므로 [[5.18 민주화운동]] 문서에 대한 접근성에 불편이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리다이렉트입니다.][*예시_설명 "5.18" 리다이렉트가 존재하므로 [[5.18 민주화운동]] 문서에 대한 접근성에 불편이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로, 5.18만 입력하여도 바로 [[5.18 민주화운동]] 문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 모바일에서나 PC에서나 5.18이 자동완성의 첫번째로 즉시 출력됩니다. 셋째로, [[5.18 민주화운동]]이 상위에 뜨기 때문에 5.18 띄어쓰고 민주화 띄어쓰고 운동까지 입력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이 경우는 검색 편의성 증가보다 감소 효과가 큽니다. 따라서 아래 두 가지 조건에 모두 걸리는 경우 리다이렉트 문서 생성이 제한됩니다. * A. 리다이렉트를 생성하려는 문서의 표제어가 2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 B. 생성하려는 리다이렉트와 문서 표제어간 '첫글자부터 연속으로 일치하는 부분'[*예시2 5.18 광주민주화운동.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민주화 운동, 5/18 민주화운동. 5.18 광주민주항쟁은 '''5.18광주'''라는 부분이 공통적으로 일치.]에 의한 자동 완성으로 접근할수 있는 문서가 10개를 넘기지 않을 경우. [* '오'라고 입력했을 경우에는 오, 오 나의 귀신님, 오나의 여신님... 오메달까지 이렇게 열 개가 뜨는데 '오'로 시작하는 문서가 너무 많아 그 뒤로 '오 명예 드높은 독일이여'를 비롯해 '오 베이베', '오사다하루', '오 솔레 미오' 등이 밀려나 문서에 따라서는 자동 완성에 의한 접근이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자동 완성 기능에 의한 접근이 불가할 수 있어 그 경우의 리다이렉트의 편의성은 인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10개를 넘어가면 자동 완성 기능이 미미해지기에 리다이렉트를 삭제할 근거가 부족해집니다.] * 단, 해당 리다이렉트 문서를 존치하자는 토론 합의가 존재할 경우, 그 리다이렉트 문서는 A, B 조건에 모두 걸리더라도 존치가 가능합니다.[*예시3 "6.25 전쟁" 문서에 있어 리다이렉트 "6.25"는 "6.25 전쟁"을 대체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렇게 합의된 경우에는 리다이렉트로서의 문서 "6.25" 존치가 인정됩니다. 마찬가지로 문서 "5.18"의 경우도 "5.18" 그 자체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의미와 쓰임을 대체할 수 있다는 토론 합의가 있다면 존치됩니다. 반면에 "5.18 민주"나 "5.18 광주민주화"와 같은 리다이렉트의 경우는 이에 근거하여 "5.18 민주화운동" 자체를 대체하는 단어로 쓰이지 않는다는 이유 등으로 생성을 막을 수 있게 됩니다.] * '''[[이모지]][* 정확히는 유니코드의 U+10000~U+1FFFF에 해당되는 문자에 해당합니다.] 리다이렉트''' 이모지 리다이렉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모지가 다수의 커뮤니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는 것에 대한 토론 합의가 이뤄져야 합니다. [각주] ==== 특수한 경우 ==== ===== 비하적, 모욕적 표현을 사용하는 리다이렉트 ===== * 비하적인 의미가 포함된 리다이렉트는 생성이 가능하나, 가급적 생성하지 않기를 권장합니다. * 존치하기로 토론에서 합의되지 않은 비하적 리다이렉트의 삭제는 자유롭습니다. 존치 여부를 놓고 [[수정전쟁]]이 발생할 경우 토론으로 해결해야 하며, 존치 측은 해당 리다이렉트의 필요성을 입증해야 합니다. * 존치가 가능한 비하적 리다이렉트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의 경우에 해당하는 비하적 리다이렉트 존치 여부에 대한 토론이 열릴 경우, 삭제측에서는 '단순히 비하적 표현이다' 이외의 근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 비하적인 항목에 대한 비하적인 리다이렉트 * 비판이나 문제점 등, 특정 항목의 부정적인 면을 서술하는 관련 문단 및 관련 문서에 리다이렉트 하는 경우. * 인물이나 단체의 경우, 본인이나 해당 단체가 특정 비하적 용어 사용을 용인했다고 볼 수 있는 경우 * 중범죄를 저지른 범죄자에 대한 리다이렉트의 경우. 단, 예외적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힌 사건사고의 원인인 경우엔, 범죄에 대한 판결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선행 등재가 가능합니다. * 리다이렉트로서 쓰이는 별칭의 보편성이 단순히 항목 존치에 필요한 정도의 수준이 아니라, 문서를 대표할 수 있는 용어로서, 정식 명칭에 준하거나 그 이상의 보편성을 지닌 명칭으로서 기능하는 경우 * 비하적이지 않은 목적으로도 사용되는 용어이며, 비하적인 용례보다 비하적이지 않은 용례가 사용빈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경우 * 특정 비하적 리다이렉트의 존치 여부에 대한 토론 합의가 존재하는 경우, 규정보다 그 토론 합의가 우선시됩니다. ===== 원어 리다이렉트 ===== * 원어 리다이렉트의 생성과 삭제는 자유롭습니다. 존치 측과 삭제 측의 [[수정전쟁]]이 발생할 경우 토론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 원어 리다이렉트의 생성에는 다음과 같은 제한이 있습니다. * 원어 리다이렉트는 "원어 '''공식''' 명칭"만이 허용됩니다. [[반각]], [[전각]] 문장부호 등 사소한 차이로 인한 원어 리다이렉트의 무차별 생성을 막기 위함입니다.[* [[학교생활!]]의 경우 "がっこうぐらし!"는 공식 명칭이고 "がっこうぐらし", "がっこうぐらし!"는 공식 명칭이 아닙니다.] *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게임, 음악, 라이트노벨 등 창작물의 제목의 경우, 해당 창작물이 탄생한 국가의 언어로 된 리다이렉트만을 허용합니다.[* [[학교생활!]]의 경우 일본의 창작물이므로 일본어 공식명칭인 がっこうぐらし!는 리다이렉트로서 존치가 가능합니다. [[클로저스]]의 경우 한국의 창작물이므로 일본어 명칭인 クローザーズ는 리다이렉트 생성이 불가능합니다.] * 창작물의 제목이나 고유명사가 아닌 경우 원어 리다이렉트의 생성이 제한됩니다.[* [[랜섬웨어]]의 경우 창작물도 아니고 고유명사도 아닌 일반명사이므로, 특별한 토론 합의가 없는 이상 勒索软件(중국어 명칭), ランサムウェア(일본어 명칭) 등의 리다이렉트 생성이 불가능합니다.] * 특정 원어 리다이렉트의 존치 여부에 대한 토론 합의가 존재하는 경우, 규정보다 그 토론 합의가 우선시됩니다. [각주] ===== 접두접미사 신조어 리다이렉트 ===== * 접두접미사 신조어는 원단어에 접두사 및 접미사(갓~, 킹~, ~느님 등)를 붙여 새롭게 만들어진 단어를 의미합니다. *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별명이라 하더라도, 접두접미사 신조어는 리다이렉트 처리를 금합니다. * 해당 지침은 "비하적, 모욕적 표현을 사용하는 리다이렉트" 관련 지침과는 다릅니다. 리다이렉트 허용 여부를 따질 때는 각 지침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 접두접미사 신조어는 다음의 경우에 한해 리다이렉트를 허용합니다. * 해당 단어 자체에 고유의 의미가 있음을 증명할 수 있을 경우. 단어의 탄생 경위가 단순한 접두접미사를 이용한 파생어 생성 형태가 아니어야 하며, 탄생 및 확산 배경이 구체적인 근거로 제시되어야 합니다. * 해당 인물, 물건, 단체가 아이디, 브랜드명 등으로 해당 신조어를 사용하는 경우. ===== 학술 용어의 로마자 리다이렉트 ===== * 학술 용어에 한정해 로마자 명칭을 리다이렉트할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대문자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단, 아래의 경우를 예외로 합니다. * 고유 명사의 경우 첫 글자에 대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축약어(예:IFRS, cAMP, iBT)의 경우, 소문자를 섞어서 사용하는 관행/규칙이 있을 경우 그 쪽을 따릅니다. 나머지 경우는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여야 합니다. * 그 외의 경우 대문자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원어를 그대로 읽는 리다이렉트(예를 들어 topology -> 토폴로지)는 그 단어가 널리 쓰이는 경우로 한정합니다. === 분류 === * 기본적으로 나무위키 이용자들은 자유롭게 분류 문서를 작성/수정하고, 임의의 문서를 적절한 분류 문서에 배속시킬 수 있습니다. * [[나무위키:편집지침#s-3|나무위키:편집지침/모든 문서]]의 "3. 비하적, 모욕적 표현에 대해"에 근거하여, 나무위키 이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는 분류 문서는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분류 문서를 작성할 때, 개별 분류 문서는 고립된 상태가 아니어야 합니다.[* 개별 분류 문서는, 나무위키 분류 시스템의 최상의 분류인 분류:분류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상위 분류에 배속되어야 합니다.] * 성별을 제외한 신체 사항[* 키, 체중, 혈액형 등.]과 관련된 분류로 인물을 분류하는 것은 제한합니다. * 일반 문서에서 분류 문서의 삽입은 해당 문서의 최상단, 동음이의어 문서에서는 각 문단의 최상단에, 위아래로 최대 한 칸씩만 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근거에 입각한 분류 문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분류 문서 재활용 목적의 이동은 자신이 생성한 분류 문서에 한해서만 할 수 있습니다. ==== 분류 문서의 존치 ==== * 분류 문서 안에 문서나 하위 분류가 전혀 없을 경우, 토론 없이 해당 분류 문서를 지울 수 있습니다. * 이에 대해 토론이 발생할 시엔 존치를 주장하는 쪽에서 먼저 존치를 해야 하는 이유를 입증하여야 합니다. * 꼭 토론이 아니더라도 분류 문서 안의 서술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해당 분류에 해당하는 문서를 작성할 것이라는 등의 다양한 이유.] * 만약, 토론이나 존치 가능한 근거 없이 입증되지 않은 경우엔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존치 가능한 근거[* 분류 문서의 존치에 참고할 만한 특성.] ===== * 체계성 - 체계적이어야 한다.[* 상하위 문서나 관련 문서와의 체계성이 있어야 합니다. 예시: 국적_직업, 국적_성별_직업 형식의 분류 등. 예: [[:분류:그리스 남가수]].] * 포괄성 - 나무위키 내에 해당 문서의 존재와는 별개로, 나무위키의 등재 기준에 부합되는 복수 이상의 것들을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 * 상징성 - 하위 문서나 분류를 상징할 수 있어야 한다. * 실존성 - 나무위키 내에 해당 문서의 존재와는 별개로, 나무위키의 등재 기준에 부합되는 실존하거나 실존했던 것들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 필요성 - 이 문서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 * 활용성 - 활용적이거나 활용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 파일 분류 ==== * 파일 분류란 분류:파일/~ 형식의 분류 문서를 말합니다. * [[:분류:파일|파일 분류]]에서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릅니다. * 생성은 4단계까지만 합니다.[* 예시: [[:분류:파일/상징]] - [[:분류:파일/깃발]] - [[:분류:파일/국기]] - [[:분류:파일/국기/변형]].] * 파일 분류 문서를 생성할 때는 토론을 열어 명백한 근거에 입각한 해당 분류 문서의 존재 이유를 입증해야 합니다. * 이를 거치지 않을 경우, 해당 분류 문서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정식 파일 분류 문서의 형식인 분류:파일/~ 형태가 아닌 분류:~/파일 형태의 경우 이에 해당되지 않으며, 이는 일반 분류 문서로 간주합니다. ==== 계통분류학 ==== * [[:분류:계통분류학|계통분류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릅니다. * 계통분류학에 따른 분류 문서는 계통분류학에서의 정식 명칭을 따릅니다. * 단, 역, 계, 문, 강, 목, 과, 족, 속 외[* 아목, 하목, 상과, 아족 등.]의 분류군은 대중적인 명칭을 따르며[* 예: 수각아목 -> 수각류.], 종 분류는 해당 문서명을 따릅니다. * 하위 문서나 분류가 둘 이상일 때, 분류 문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다만, 속 분류의 경우 나무위키 내 문서의 존재와는 별개로, 해당 속에 속한다고 밝혀진 종이 둘 이상일 때 생성할 수 있으며, 위와는 무관하게 그 상위 분류들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만약, 속 분류에 속하는 하위 문서가 나무위키 내에 전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분류 문서를 임시 삭제할 수 있습니다. [각주] == 기타 분야 == === 특정 사건 및 사고 관련 문서 === * '특정 사건 및 사고 관련 문서'란 사건 및 사고 관련 정보에 등재된 문서나 [[:틀:사건사고|사건사고 틀]]이 달린 문서, [[:분류:사건사고|사건 사고 분류]]에 포함된 문서 중에서 현재 논란 중인 전쟁, 테러, 범죄, 인명피해, 자연재해, 정치적인 분란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 '특정 사건 및 사고 관련 문서'에는 사실관계와 정보의 정확성, 정보의 전달성을 우선시하는 서술을 해야 합니다. * 나무위키에서 흔히 쓰이는 유머 목적의 취소선과 합의가 되지 않은 암묵의 룰 및 기타 유머성 서술은 금지됩니다. * 비하적 표현, 모욕적 표현, 지나친 비난 등으로 타인에게 거부감을 주는 내용은 금지됩니다. 비하적, 모욕적 표현의 정의는 편집지침 내의 '비하적, 모욕적 표현에 대해' 규정을 따릅니다. *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해야 하며 서술에 대한 출처나 근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출처나 근거가 제시되지 않은 내용이나 유언비어는 토론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https://namu.wiki/topic/28458|토론]]에 따라 사건 및 사고 관련 문서에는 문서명에 '''사건 및 사고'''를 사용합니다. 즉, 합의 전에 쓰이고 있던 '사건사고'와 그 다른 표현들을 '사건 및 사고'로 통일합니다. === 규정토론 관련 문서 === * 규정토론 중 규정안 메모를 위해 나무위키:연습장의 하위문서[* 나무위키:연습장/***]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단, 규정토론이 합의되어 완료되거나 폐기되는 등 더 이상 논의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 해당 규정토론에서 만든 나무위키:연습장의 하위문서를 무의미 문서로 이동하여 폐기해야 합니다. [각주] === 미래의 년도 관련 문서 === * 2101년 ~ 3000년(22세기~30세기)에 해당하는 내용은, 각 세기([[22세기]], [[23세기]], ...) 문서 또는 [[제3천년기]] 문서에 서술하며 3001년(31세기) 이후에 해당하는 내용은 [[제4천년기 이후]] 문서에 서술해야 합니다. * 다만, 특정 년도에 대한 내용이 길어져 항목의 분리가 필요할 경우 토론을 통해 합의가 될 경우 단일 년도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다음 년도에 대한 카운트다운은 반드시 목차 바로 위에만 작성해야 하며, 형식은 {{{ '''20xx년까지 앞으로 [dday(20xx-01-01)]일'''}}} 과 같이 합니다. 단, 남은 날짜뿐만 아니라 남은 시간까지 계산해주는 문법이 개발될 경우, 해당 문법으로 dday 문법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분류:나무위키 연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