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4566|{{{+1 '''NGC 4566'''}}}]][br]큰곰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1 ←}}} ||<:> {{{#000000 {{{+1 ''' NGC 4567'''}}}[br]처녀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 {{{+1 →}}} ||<:> [[NGC 4568|{{{+1 '''NGC 4568'''}}}]][br]처녀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 [[NGC 4567|{{{+1 '''NGC 4567'''}}}]][br]처녀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1 ←}}} ||<:> {{{#000000 {{{+1 ''' NGC 4568'''}}}[br]처녀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 {{{+1 →}}} ||<:> [[메시에 90 | {{{+1 '''NGC 4569'''}}}]][br]처녀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3><:> {{{#FFFFFF {{{+3 '''NGC 4567/4568'''}}}}}} || ||<-3> [[파일:NGC_4567_&_4568.png|width=100%]][br][* 위쪽이 NGC 4567, 아래쪽이 NGC 4568이다.]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2h 36m 34.3s || || {{{#FFFFFF 적위}}} || +11° 36′ 17″ || || {{{#FFFFFF 별자리}}} || [[처녀자리|{{{#3366aa 처녀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SA(rs)c형 [[정상나선은하|{{{#3366aa 정상나선은하}}}]][br]SA(rs)c형 [[정상나선은하|{{{#3366aa 정상나선은하}}}]] || ||<-2> {{{#FFFFFF '''거리'''}}} || 5940만 [[광년|{{{#3366aa 광년}}}]][br] 1820만 [[파섹|{{{#3366aa 파섹}}}]] || || {{{#FFFFFF '''운동'''}}} || {{{#FFFFFF 시선속도}}} || 2222km/s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10.9 || ||<-3> {{{#FFFFFF '''규모'''}}} || ||<-2> {{{#FFFFFF '''지름'''}}} || [[광년|{{{#3366aa 광년}}}]][br] [[파섹|{{{#3366aa 파섹}}}]] || ||<-2> {{{#FFFFFF '''겉보기 크기'''}}} || 4.6' x 2.1'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4567,[[NGC|{{{#3366aa NGC}}}]] 4568, UGC 7776/7, PGC 42064/9, VV 219,KPG 347, --샴쌍둥이 은하-- || [목차] == 개요 == {{{+3 NGC 4567, NGC 4568}}} 나비 은하를 이루는 NGC 4567, 4568은 [[처녀자리]]에 위치한 두 [[정상나선은하]]이다. == 상세 == 나비 은하는 [[처녀자리 은하단]]의 일원이며, [[메시에 58]], [[메시에 59]] 등의 은하와도 가까이 있다. NGC 4567과 NGC 4568 은하는 충돌 중이며 충돌의 초기 단계에 있어 [[더듬이 은하]]와 같이 물질들이 뒤섞이는 일은 아직 발생하지 않은 상태다. 그 때문에 충돌이 시작된 부분에서는 폭발적인 항성 형성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충돌 전면 부분의 분자운[* 현재 특정 구역에 밀집되어 존재하는 4개의 분자운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직경이 100광년에 달하고 질량은 각각 100만 태양질량인 것으로 밝혀졌다.] 내부에 위치한 필라멘트[* 길이가 5,870 광년, 폭이 1,140 광년인 거대한 필라멘트로 분자운과는 서로 중력으로 묶여있는 상태라고 한다.]의 속도분산이 충돌부분의 반대쪽보다 오히려 낮아 아직 활발한 별 형성은 시작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두 은하는 대략 20,000 광년 떨어져 있으며 향후 수백만년내에 두 은하의 중심이 서로 충돌해 격렬한 별 형성이 일어날 것이며 이후 5억년 내에 [[타원은하]]로 변모할 예정이다. 과거에는 [[샴쌍둥이]] 은하라고도 불렸지만, 2020년 8월 5일 NASA는 해당 용어의 차별성을 들어 [[에스키모 성운]]과 함께 더 이상 그 명칭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1990년, 2004년, 2020년에는 초신성이 관측되기도 했다.[* 각각 SN 1990B, SN 2004cc, SN 2020fqv라고 불린다.] == 관련 문서 == *[[NGC]] *[[처녀자리]] *[[처녀자리 은하단]] *[[정상나선은하]] [[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분류: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