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하는 세포/등장인물]] || [[파일:original Naive Killercell10.jpg]] [[파일:original Naive Killercell.jpg|width=200]] || [[파일:naive t.png|height=250]] [[파일:effect t.png|height=250]] || || {{{#ffffff 원작}}}[* 위는 평상시, 아래는 이펙터 T 세포로 진화된 모습.] || {{{#ffffff TV 애니메이션}}} || || '''{{{#ffffff 이 름}}}''' || '''ナイーブT細胞''' / '''エフェクターT細胞'''[br]'''나이브 T 세포''' / '''이펙터 T 세포'''[br]'''Naive T Cell''' / '''Effecter T Cell''' || || '''{{{#ffffff 종 류}}}''' || 림프계 면역세포 || || '''{{{#ffffff 1인칭}}}''' || [[보쿠]](僕) || || '''{{{#ffffff 성 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타무라 무츠미]]/[[노무라 켄지]](활성화)[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이다은]]/[[시영준]](활성화)[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로라 스탈]]/[[크리스 탈리아페라]](활성화) || [목차] == 개요 == 만화 [[일하는 세포]]의 등장인물. == 특징 == 검정색 전투복을 입고 있으나 경험이 적은 세포. == 작중 행적 == 겁 많고 어리버리한 이미지 때문에 선배 T 세포들과 백혈구 종이 인플루엔자와 싸우는 것을 보고 난 할 수 없다며 도망가다가 수지상세포에게 --선배들의 흑역사를 꺼낸-- 위로를 받고 이펙터 T 세포로 각성하여 작화가 죠죠스럽게 바뀌고(...) 북두의 권 캐릭터를 닮은 마초 근육남으로 변한다.[* 이 상태로 각성해도 1인칭은 [[보쿠]]로 유지된다.] 얼마나 화끈하게 변한 건지 작중 최고 근육남 중 하나인 킬러T세포 보다도 커졌다.[* 재밌게도 이때의 목소리를 맡은 성우인 [[노무라 켄지]]는 [[그래플러 바키]]에서 '''[[한마 유지로]]'''를 맡았다.] 애니판은 제작사 때문인지 [[죠죠의 기묘한 모험]]과 비슷하게 되었다.[* 3화에서 정말로 "오라! 오라! 오라!" 대사를 치면서 바이러스를 날려버린다. ~~정작 죠죠 TVA에서 [[쿠죠 죠타로|원조 오라오라]]를 담당한 [[오노 다이스케|성우]]는 다른 T세포 역할을 맡았다.~~ 참고로 동년도 다음 분기에 죠죠 5부 TVA가 방영되는데, 선행공개된 5부 작화와 상당히 유사하다. 이펙터 T세포 일때의 성우인 [[노무라 켄지]]가 죠죠에서 맡은 캐릭터가 [[산타나(죠죠의 기묘한 모험)|누군지]]를 생각하면 기묘한 부분. 덤으로 북미 성우인 [[크리스 탈리아페라]]도 죠죠에 참여한 성우다. 물론 배역이 오라오라와는 다른 인물이지만...] 이 때의 이름은 에펙터 T 세포. 허나 A형 인플루엔자에게 죽빵을 맞고[* A형 인플루엔자는 변이가 쉬우며 때문에 변이한 인플루엔자의 항원이 없어 속수무책으로 당한거다.] 다시 나이브 T 세포로 되돌아간다.[* 사실 T세포는 특이적 면역 세포라 항원을 제시받지 못한 감염세포는 제거할 수 없다. 작중 초동 대응을 호중구들이 맡고, 이후에서야 T세포들이 등장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즉 이후 다른 킬러 T 세포들도...] 이후 킬러 T세포들이 모여있을 때마다 활성화한 모습으로 가끔 재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완전히 각성한 듯하다. == 인물 관계 == * [[킬러 T 세포(일하는 세포)|킬러 T 세포]] 나이브 시절 자신을 자주 갈구던 선배들. * 수지상 세포 도망쳐 나온 그를 활성화 시켜준 인물. == 기타 == [[닥터프렌즈]] 리뷰 영상에 따르면 나이브 T 세포가 한번 활성화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지 못한다고 한다. 아무래도 작중에서 다시 나이브 T 세포로 돌아가는 것은 개그성 연출인듯. 나이브 T 세포가 한번 활성화 되면 돌아가지 못하는 것은 맞다. 성숙과정을 거쳐서 T 셀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퇴화할 수 없다. 작중에서는 굉장히 겁이 많고 어리숙한 캐릭터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흉선에서 성숙되는 과정에서 95%가 죽기 때문에 상위 5% 경쟁을 뚫고 올라오는 세포다. 작중에서는 약 2~3%만이 살아남는다고 나오는데 자기 몸을 적으로 인식하는 세포들은 다 죽기 때문이다.[* 작중에서는 탈락으로 순화했다.--[[오징어 게임|탈락은 곧 죽음인 어느 드라마가 생각난다.]]--] 킬러 T 세포와 헬퍼 T 세포의 과거 스토리에서 마지막 관문으로 감염된 세포와 멀쩡한 세포를 구분해서 공격하는 미션이 나오는게 바로 이걸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세포가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닥터프렌즈]]에서는 이 세포를 대기업에 입사한 신입사원으로 비유했다. 모바일 게임에선 에펙터T세포 상태에선 전위 속성으로 13코스로 내보낼 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하는 세포/등장인물, version=1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