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나주시)] [include(틀:나주시의 교통)] [목차] == 철도 == [[전라도|호남권]]에서 보기 드문 철도 초강세 지역[* [[광주광역시|광주]][[전라남도|전남]]에서는 나주를 제외하면 [[장성군]] 정도만 철도가 강세고, 나머지 지역은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가 철도와 비슷하게 경쟁하거나([[여수시]], [[순천시]], [[목포시]] 등) 아예 시외교통의 주를 이룬다([[광주광역시]], [[광양시]], [[화순군]] 및 철도가 없는 다수 지자체). 장성은 나주보다 한 술 더 떠서 철도가 버스를 압살하는 수준이다. [[전라북도]]에서는 [[정읍시]], [[익산시]], [[김제시]], [[남원시]] 등에서 철도가 버스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어 [[전라남도]]보다는 철도 우위 지역이 많다.]이자 전국적으로 보아도 손꼽히는 철도 우세 지역에 속한다. === 일반철도 및 고속철도 === [[호남선]]이 나주시를 관통한다. 전통적 양대 도심인 구 나주읍과 영산포읍의 중간 지역이자 나주시청 소재지인 송월동에 [[나주역]]이 있으며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 덕에 정차 횟수도 꽤나 많아 이용이 편리하다. [[KTX]]는 일 15왕복[* 서대전 경유 1왕복 포함 및 4000번대 임시열차 제외], [[SRT]]는 일 9왕복 정차한다. [[무궁화호]]는 양방향으로 일 6회[* 상행은 용산행 #1402, #1404, 부전행 #1952, 익산행 #1470, 광주행 #1982, #1474 열차가 정차하며, 하행은 목포행 #1981, #1401, #1951, #1473, #1469, #1403 열차가 정차한다.] 정차하고, [[ITX-새마을]]은 일 2회[* 상행은 용산행 #1062와 #1064, 하행은 목포행 #1061과 #1063 열차가 정차한다.], [[ITX-마음]]도 일 2회[* 상행은 용산행 #1162와 #1164, 하행은 목포행 #1161과 #1163 열차가 정차한다.] 정차한다. 다시면 소재지에 [[호남선]] [[다시역]]이 있으며, [[무궁화호]]가 하루에 상행 3회, 하행 4회 정차한다.[* 상행은 부전행 #1952, 용산행 #1404, 광주행 #1982 열차가 정차하며, 하행은 목포행 #1981, #1951, #1473, #1469 열차가 정차한다.] 이외의 [[호남선]] 역으로는 노안면에 [[노안역]], 다시면에 [[고막원역]]이 있지만 모두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영산포역]]은 호남선 복선전철화 및 이설 과정에서 [[나주역]]과 통합되어 [[폐역]]되었다. [[남평읍]]에는 [[경전선]] [[남평역]]이 있으나 [[2011년]]에 한 번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이후 2013년 9월 27일부터 [[남도해양관광열차]] 정차역으로 선정되면서 여객업무를 잠시 재개했었다가 2014년 6월 1일 S-train 운행구간 변경으로 다시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고, 2023년 현재는 여객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여객열차 정차 당시에도 서부경전선 구간이라 매우 느린데다가 남평읍 시가지와 많이 떨어진 산골짜기에 있기 때문에 남평 지역 주민조차 잘 이용하지 않았다.[* 그나마 [[경전선]] [[광주광역시]] 구간 이설 전에는 [[남광주역]], [[광주역]] 등이 광주 시내에 있어 이용객이 어느 정도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경전선]]이 [[효천역]]과 [[서광주역]]만 거치도록 이설된 후에는 서부[[경전선]] 여객수요 자체가 크게 감소했고, [[남평역]]도 이를 피해갈 수는 없었던 것이다.] 2014년 8월 경 [[전라남도]]지사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호남고속철도]] [[광주송정역]] - [[목포역]] 구간이 [[나주역]]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국토부에 건의하겠다고 하였다. 이후 [[호남고속철도]] [[광주송정역]] - [[목포역]] 구간의 노선이 [[광주송정역]] - [[고막원역]]까지 [[호남선]]을 공용하기로 결정되어 [[나주역]]을 거치게 되면서 철도 강세 경향이 더욱 심화될 듯하다. 차후 [[경전선]] 개량 시 호남고속철도 [[광주송정역]]과의 분기역을 나주시 죽림동 구 [[나주역]] 근처에 위치시켜서 혁신도시를 거쳐 [[부산광역시]] [[부전역(동해선)|부전역]]으로 보낸다는 계획이 있다. 해당 노선까지 완공되면 [[나주시]]는 [[광주광역시]]를 제치고 [[광주광역시|광주]][[전라남도|전남]]의 철도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관련 떡밥은 [[경전선#s-4.3|경전선 문서의 해당 문단]] 참조. 그와 별개로 1990년대 전라남도가 '''[[http://www.wan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202|나주-완도간 철도]]'''를 지으려고 한 적은 있었지만 경제성이 없어서인지 [[강진광주고속도로|광주 - 완도 간 고속도로]] 공사로 대체되었다. === 광역철도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상무역]]에서 대촌동, [[남평읍]],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를 거쳐 [[나주역]]을 잇는 [[광주-나주 광역철도]]도 계획되고 있다. == 버스 == === 시내버스 ===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 이후로 광주와 나주를 잇는 광역버스, 나주 시내 간선 역할을 하는 시내버스, 읍면 지선버스 역할을 하는 마을버스의 3단계 체계와 혁신도시와 원도심을 빠르게 잇는 급행버스까지 총 4종류의 버스로 세분화되었다. [[시내버스]] 회사로는 [[나주교통]]이 있다.[* 기존에는 [[광신고속]]이 [[나주 버스 160|160번]]과 [[나주 버스 1160|1160번]]을 운행하였으나 자회사인 [[나주교통]]에 시내 노선을 모조리 넘겼으며,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 이후 1160번은 폐선되고 161번이 신설되었다.] 광역버스는 구 [[광신고속]] 노선인 [[나주 버스 160|160번]]과 [[나주 버스 161|161번]]은 [[영산포공용터미널|영산포]]-[[나주버스터미널|나주]][*160]/[[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161]-[[광주송정역]]-[[광주광역시|광주시내]] 축선을 기본으로 하며, 구 [[나주교통]] 노선의 공통 구간을 빼서 신설한 [[나주 버스 997, 998, 999|999번]]대 노선[* [[나주 버스 997, 998, 999|997번, 998번]]을 포함하나, [[나주버스터미널]]은 경유하지 않는다.]은 [[영산포공용터미널|영산포]]-[[나주버스터미널|나주]][*999]/[[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997&998]-[[남평읍|남평]]-[[광주광역시|광주시내]]의 [[1번 국도]] 축선을 기본으로 한다. --혁신도시를 지나는 광역버스는 하나같이 배차간격이 거지같은 것은 덤-- 시내버스는 전반적으로 시내(나주 및 영산포)에 집중되어 있으며, 동부 일부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빛가람동]]과 [[남평읍]]이 중심이 되어 운행한다. 마을버스는 주로 각 읍면 중심지에서 자연마을 깊숙히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모든 시간대에 비슷한 번호대의 시내버스와 시간표가 연계되어 있다. 급행버스는 공식적으로는 혁신도시에서 나주로 가는 [[나주 버스 급행01|급행01번]]과 영산포로 가는 [[나주 버스 급행02|급행02번]]이 있으며, 비공식적으로 나주~영산포간 차량 이동 시에 운행하는 [[나주 버스 급행03|급행03번]]도 있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는 [[광주 버스 좌석02]](빛가람동), [[광주 버스 진곡196]](동신대학교, 노안면), [[광주 버스 대촌170]](남평, 도래마을) 노선이 나주시 관내로 들어오며, [[영암군]] 소속 영암교통, 낭주교통 농어촌버스 노선([[영암 버스 110, 111|110, 111]], [[영암 버스 112|112]], [[영암 버스 113, 114|113, 114]], [[영암 버스 116|116번]])도 [[나주터미널]]과 [[영산포터미널]]에 들어온다. 이외에는 [[화순군]] 농어촌버스 [[화순 버스 218|218번]] 및 [[화순 버스 318|318-1번]] 중장터/행산 노선이 다도면 방산리, 도동리를 거쳐가고, [[함평군]] 농어촌버스 [[함평 버스 100|100번(함평-사거리-동강)]] 노선은 [[나주시]] 동강면 소재지에서 회차한다.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 시내버스]] 항목 참조. ===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 [[화순군]], [[담양군]] 등과 비교하면 훨씬 낫지만, 옆동네의 대도시인 [[광주광역시]]에 호남지역 버스교통 끝판왕인 [[유스퀘어]]가 있어서 노선망부터 매우 빈약하며, [[호남선]], [[호남고속선]] 철도 때문에 시외버스는 거의 없는 수준이다.[* 나주시를 지나는 고속도로 역시 [[무안광주고속도로]] 하나인 데다가 나들목의 위치도 애매하고 [[호남고속도로]]와 바로 연결되지도 않아서 [[함평군]]과 [[무안군]] 방면을 제외하면 도로교통의 경쟁력이 매우 떨어진다. [[목포시]]마저도 국도와 지방도를 타는 것이 훨씬 낫다. 그나마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 후에는 (여전히 시 경계를 넘어야 하기는 하지만) [[광주광역시]]의 막히는 시내도로를 경유하지 않아도 고속도로로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접근성이 조금 나아졌다.] [[나주시]]를 지나는 [[고속버스]] 노선은 [[고속버스 서울호남-영산포|서울 ↔️ 나주 ↔️ 영산포]] 고속버스 노선 폐선 이후 전혀 없다.[* [[시외버스 서울호남-장흥|혁신도시를 경유해 서울로 가는 노선]]은 혁신도시 출발 이후로는 정차지가 없이 직통으로 서울까지 가긴 하지만 엄연히 [[시외버스]]이며 [[정안알밤휴게소]] 환승도 안 된다.] [[시외버스]]는 구 나주읍 지역의 [[나주버스터미널]], 영산포의 [[영산포공용터미널]], 다시면의 다시공영버스터미널 및 혁신도시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출발/경유 노선이 있다. 2022년 이전에는 서울 [[센트럴시티]] 노선이 [[나주터미널]]과 [[영산포터미널]]에서만 출발했지만, 2022년 4월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경유로 바뀌고 나서는 시내의 두 터미널에는 '''서울행 버스가 없다.'''[* 다시공영버스터미널에는 원래 없었으므로 논외. 이쪽은 다시면을 지나는 시내버스와 완행 시외버스용 정류장에 가깝다.] [[시외버스 나주·광주-부산사상|부산사상 방면 시외버스]](일 5회)는 아직 [[나주버스터미널|나주터미널]]을 경유하지만, 해당 노선은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도 경유한다. 반면 [[영산포공용터미널|영산포]]는 장거리 시외버스가 완벽하게 '''멸종'''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철도와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방향은 [[시외버스 서울호남-장흥|서울 ↔️ 장흥]] 시외버스 노선이 겨우 일 3회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혁신도시]]를 지나는 게 전부이며,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천안시]]를 비롯한 충청권 노선은 아예 없다. 그나마 2022년 [[시외버스 나주·광주-부산사상|나주 ↔️ 광주 ↔️ 부산사상]] 시외버스 중 일부 편[* 초기 개통 시에는 일 4회였으나, 수요가 많았는지 일 5회로 증편되었다.]이 나주로 연장 운행을 시작해 [[부산광역시]] 및 주변 지역 방향은 일 1회에 [[나주역]]~[[부전역(동해선)|부전역]] 5시간 51분이라는 입이 벌어지는 소요시간을 자랑하는 [[경전선]] 철도보다 일 5회에 3시간 55분이 소요되는 시외버스 노선이 확실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나주혁신도시 시외버스 정류장]]의 경우 2015년 [[서울남부터미널]]행 시외버스 노선이 1일 1회 운행을 시작하는 등 그럭저럭 명맥을 이어갔으나,[* 초기에는 [[고금도]]를 출발하여 영암, 나주혁신도시를 경유하는 노선이었으나 이후 영암으로 단축되었다가 [[코로나 19]]로 폐지되었다. [[금호고속]] 측에 문의해 본 결과 원래도 각 공기업에서 운행하는 전세버스 덕에 수요가 그리 많지 않던 노선인데 코로나 여파로 승객이 더 없어져 운행을 중지했다고 한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대부분 노선이 감회되거나 폐지되면서 한때 [[유스퀘어|광주]]와 [[완도공용버스터미널|완도]]행 버스만 남으면서 파리만 날렸다. 그러다 2022년 [[시외버스 서울호남-장흥|서울 가는 시외버스 노선]]이 [[나주버스터미널]]과 [[영산포공용터미널]] 대신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를 경유하게 되었고, [[시외버스 나주·광주-부산사상|부산사상 방면 시외버스 노선]] 일부가 광주에서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나주혁신도시]]를 거쳐 나주까지 연장운행하면서 이용객이 크게 늘어났다. [[나주시]]를 경유하는 시외버스 노선은 모두 [[금호고속]]에서 운행한다. == 도로 == === 국도 및 지방도 === 주요 도로로는 [[1번 국도]], [[13번 국도]], [[23번 국도]], [[49번 지방도]], [[55번 지방도]], [[58번 지방도]], [[60번 지방도]], [[801번 지방도]], [[817번 지방도]][* 잠시 다도면 유치도암로(방산리)를 지나간다.]. [[818번 지방도]], [[820번 지방도]], [[821번 지방도]], [[822번 지방도]], [[825번 지방도]]가 통과한다. 국도는 대부분 왕복 4차로인데, 세부 상황은 다음과 같다. * [[1번 국도]]: [[함평군]] 학교면에서 넘어와서 다시면을 경유한 뒤 나주 시내를 남쪽으로 크게 우회하여 혁신도시와 금천면, 산포면, 남평읍을 거쳐 [[광주광역시]]로 넘어간다. 광주 - 나주 - 함평 - 무안 - 목포 간선상에 위치한 도시이니만큼 1번 국도의 통행량도 많았으나 [[무안광주고속도로]] 개통 이후 나주를 거쳐가는 수요는 많이 줄었다. 그래도 광주를 향하는 수요가 워낙 큰 만큼 통행량은 적지 않은 편. * [[13번 국도]]: [[영암군]] 신북면에서 올라와 세지면, 왕곡면, 영산포를 경유하여 나주 시내를 관통한 뒤 [[광주광역시]] [[송정동(광주)|송정리]] 방면으로 넘어간다. 이 도로 역시 과거 광주 - 나주 - 영암 - 해남 - 완도로 이어지는 축에 위치하여 통행량이 꽤 되며, 아직 고속도로가 없어 [[영암군|영암]], [[해남군|해남]], [[강진군|강진]], [[완도군|완도]] 지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이 도로를 꼭 필수이다. 2026년 [[강진광주고속도로]]가 개통이 되면 넘겨받을 예정이다. * [[23번 국도]]: 나주의 간선축에는 벗어나 있다. [[영암군]] 금정에서 올라온 도로가 세지를 거쳐 영산포 찍고 공산, 동강을 거쳐 무안으로 넘어간다. 이 도로는 나주 중에서도 시골만 지나가는 국도이기 때문에 통행량이 적어 영산포 - 동강 구간과 세지우회도로 구간만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다. 다만 [[49번 지방도]]가 [[남악신도시]]에서 올라와 동강면에서 23번 국도에 합류하기 때문에 [[남악신도시]]를 비롯해 [[목포시]] 남부로 가기에는 오히려 [[1번 국도]]보다 이 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편해졌다. 이 외에도 [[49번 지방도]]를 통해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지구, [[상무지구]], [[수완지구]] 및 [[장성IC|장성 나들목]]을 거쳐 [[호남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남광산IC|남광산 나들목]]을 거쳐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로도 연결되어 있다. 이 도로는 나주 시내가 아니라 [[광주전남혁신도시]]를 연결해 주는 도로이다. [[55번 지방도]] 및 [[58번 지방도]]를 통해 [[화순군]] 방면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나 아직 노선지정 및 확장이 되어있지 않다. === 고속도로 === [[무안광주고속도로]]([[나주IC|나주 나들목]], [[문평IC|문평 나들목]])가 있지만 시내에서 가깝지는 않고 북쪽을 긁고 지나가서 접근성이 썩 좋지가 않다. 특히 [[광주광역시]] 이북 지역을 왕래하는 경우에 [[나주IC|나주 나들목]]을 이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호남고속도로]] - [[남장성JC|남장성 분기점]] -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 [[남광산IC|남광산 나들목]] - [[49번 지방도]]로 접근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 2022년 12월 20일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남장성JC|남장성 분기점]] - [[남광산IC|남광산 나들목]] 개통 이전까지는 [[호남고속도로]] [[북광산IC|북광산 나들목]]에서 진출해 [[무안광주고속도로]] [[운수IC|운수 나들목]]~[[서광산IC|서광산 나들목]]을 추가로 경유하거나, [[호남고속도로]] [[장성IC|장성 나들목]], [[고창담양고속도로]] [[장성물류IC|장성물류 나들목]]으로 진출해 [[49번 지방도]]를 이용하거나, 아예 광주에서 [[1번 국도]]나 [[13번 국도]]를 이용해야 했다.] 2026년 개통 예정인 [[강진광주고속도로]] [[동나주IC|동나주 나들목]], [[남나주IC|남나주 나들목]]이 생기면 [[광주광역시]][* [[광주제2순환도로]]를 이용하면 [[광주광역시]] 대부분 지역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는 [[담양군]]과 [[화순군]] 북부도 포함된다.]와 [[전라남도]], [[경상남도]] 남해안 및 [[부산울산권]] 지역에서 접근성이 좋아질 전망이다.[* 추가로 [[광주제2순환도로]] [[문흥JC|문흥 분기점]]을 이용하면 [[곡성군]], [[순창군]], [[남원시]] 및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방향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택시 === * [[https://www.naju.go.kr/www/field_info/traffic/taxi|나주시 택시 요금]] > * 택시요금은 미터기에 의한 요금으로 나주시 전역에서 사용하며 '''미터기에 의하지 않은 요금은 수수할 수 없다.''' > * '''기본운임''' > * '''2km'''까지 : '''3,300원''' > * '''거리/시간운임''' > * 거리운임적용 : '''2㎞ 초과 주행 시''' 주행속도에 관계없이 주행거리에 따라 거리운임 적용 ('''134m당 140원''') > * 시간운임적용 : 15㎞/h 이하 주행 시 '''소요시간에 따라''' 운임 적용 ('''32초당 140원''') > * '''할증요금의 적용''' > * 심야 할증 : '''심야 00:00 ~ 04:00 사이'''에 운행한 요금에 '''20% 할증''' 적용 > * 시계외 할증 : '''나주시 외의 지역'''을 운행시 요금에 '''35% 할증''' 적용 > * 심야 할증과 시계외 할증 중복 적용시 '''40%''' 적용 > * '''호출료 : 1,000원''' > * 미터기는 택시 승차 지점에서 사용한다. > * 사업구역 밖으로 운행하는 경우 '''귀로시에는 할증을 적용하지 아니한 미터기요금으로 수수'''한다. > * 택시요금은 미터기 요금에서 100원 미만은 절사하고 수수하되 '''미터기에 의하지 않는 요금은 수수할 수 없다.''' 여느 농어촌 지역이 으레 그렇듯 [[나주시]] 역시 버스터미널([[나주버스터미널]], [[영산포공용터미널]])과 기차역([[나주역]] 등) 근처에는 택시가 줄을 서서 승객을 기다리고 있으나, 터미널과 기차역을 제외하면 택시를 잡아 타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콜택시가 활성화되어 있다. 콜택시를 호출할 경우 호출료 1,000원이 추가로 부과된다.[* 단, 찾아보면 호출료가 따로 없는 콜택시도 있다.] 휴대폰 앱으로 택시를 부를 때에는 [[카카오 T]]는 손쉽게 이용이 가능하나 [[우티]]는 사용하는 택시가 별로 없어 불편하며 [[티머니onda]]는 서비스 지역이 아니다. == 항공 == 나주시계 안쪽은 아니지만 차로 1시간 이내 거리에서 [[광주공항]](국내선) 및 [[무안국제공항]](국내선 및 국제선)을 이용할 수 있다.[* [[2022년]] 기준으로 [[광주공항]]에서는 [[제주국제공항|제주]],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행 여객기를, [[무안국제공항]]에서는 [[제주국제공항|제주]],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수완나품 국제공항|방콕(수완나품)]]행 등의 여객기를 이용할 수 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코로나 19]] 여파로 [[무안국제공항]]의 국제선 여객 영업이 전면 중단되었었으며, [[2023년]] 일부 노선 복항을 시작으로 국제선 운항이 차차 재개되고 있다.] [[광주공항]]의 경우 [[나주 버스 160|160번]], [[나주 버스 161|161번]],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을 타고 [[공항역(광주)|공항역]]에 내려서 5~10분 정도만 걸으면 된다. 그러나 [[무안국제공항]]의 경우에는 자가용이 없다면 [[나주 버스 160|160번]]이나 [[나주 버스 161|161번]],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 [[광주 버스 진곡196|진곡196번]]을 이용해 [[광주송정역]]으로 가서 [[무안국제공항]]행 [[금호고속]] 시외버스를 시간 맞춰 이용해야 한다. 추후 [[호남고속선]] [[광주송정역]] ~ [[목포역]] 구간이 [[무안국제공항]] 경유로 결정됨에 따라 [[나주역]]에서 [[KTX]]와 [[SRT]]를 이용해 [[무안국제공항]]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2년]] [[11월 21일]]부터 [[시외버스 나주·광주-부산사상]] 노선이 일 4회 [[나주버스터미널]] 착발 및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경유로 개통하였는데, 도착지인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은 [[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바로 옆이기 때문에 사상역에서 [[부산김해경전철]]을 타고 3정거장만 가면 [[김해국제공항]]까지 손쉽게 도착할 수 있다. [[김해국제공항]]은 [[무안국제공항]]보다 국제선 노선이 월등히 많기 때문에 [[나주시]]에서의 국제선 이용이 한층 편리해졌다. 버스편이 나주에서는 아침 8시부터, 서부산에서는 오후 4시까지 있기 때문에 오후 3시 이후 출발편 및 오후 2시 이전 도착편이라면 넉넉하게 비행기를 탈 수 있다. [[2020년]]~[[2021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국내 항공사들이 국내선 요금을 대폭 인하하고 기존에 취항 중이던 [[아시아나항공]] 외에도 [[진에어]], [[제주항공]] 등에서 잇따라 [[광주공항|광주]]~[[김포국제공항|김포]] 노선에 취항하면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로 인해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방향 교통 수요가 많은 [[나주시]] 특성상 공항 이용객도 많이 늘어났으며, 공항으로 가는 [[나주 버스 1160|1160번]] 버스의 수요도 덩달아 증가했다. 그러나 [[2022년]] 이후 코로나 상황이 차츰 진정되면서 항공 수요와 운임이 다시 증가함에 따라 [[김포국제공항|김포]]행 승객이 줄어 [[제주항공]]과 [[진에어]]는 [[김포국제공항|김포]] 노선을 단항했고, 나주에서 광주공항을 이용하는 승객도 줄어들었다. 물론 [[제주특별자치도]]로 가는 경우에는 아직까지 [[광주공항]]으로 가는 수요가 [[무안국제공항]]으로 가는 수요보다 월등히 많다. 이 외에 금천면 및 남평읍 인근에 [[광주공항]] 비상활주로가 자리하고 있다. [[분류:나주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