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프로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미모치.png|width=330]]}}}|| || 본명 || || || 링네임 || 宮城 もち[* 미야기 모치] [br] '''夏実 もち'''[* 나츠미 모치] || || 별명 || 女子プロレス界の佐々木希[* 여자 프로 레슬링계의 [[사사키 노조미]].] [br] マッド マテリアル[* 머드 마테리얼.] || || 생년월일 || [[1986년]] [[7월 21일]]([age(1986-07-21)]세) || || 출생지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미야기현]] [[시바타군]] [[시바타마치]] || || 신장 || 157cm || || 체중 || 65kg || || 피니쉬 무브 || 메타볼릭 샌드[* メタボリックサンド. 스타일스 크러쉬와 동형.] [br] '''리버스 스플래시''' [br] '''다이빙 길로틴 드롭'''[* [[불 나카노]]에게서 계승한 피니쉬 기술.] [br] '''타나카라 보타모치'''[* 棚からぼたもち. 프로그 스플래쉬.] [br] 모치 클러치[* ずんだ餅クラッチ.] [br] 모치 바디시저스[* もっちりバディシザース. ] [br] 우스 DON[* うすDON. 변형 유러피안 클러치.] [br] 우스 DON2 || || 주요 커리어 || 인터내셔널 아이스리본 태그팀 챔피언 4회 [br] 소제 프로레슬링 태그팀 챔피언 1회 || || 테마곡 || || == 개요 == 미야기현 출신의 여성 프로레슬러. [[사쿠라 에미(프로레슬러)|사쿠라 에미]]의 제자. == 커리어 == 프로미넨스 소속. 데뷔전 헤어스타일리스트로 데뷔를 앞두고 있던 연습생 나가노 도라미가 부상때문에 데뷔가 연기된 영향도 있어 아이스리본 연습생이 된지 불과 20일이라는 단기간에 데뷔하면서 모치와 미야기 사투리를 살린 독특한 캐릭터를 발휘하며 휴장 중이던 [[호시 하무코]]의 구멍을 메우는 존재가 됐다. '''미야기 모치'''라는 링네임으로 시작해 시모우마 카즈미를 상대로 첫 경기를 가지나 패하고, 호시 하무코가 복귀하면서 같이 틈일 이뤄 마코토 & 토미야 치이를 상대하지만 패한다. 미야기 모치는 데뷔 후 파워파이터로 성장했고, 베테랑들과도 경기를 가지며 초기라서 패하고 다니다가 2011년에 [[나루미야 마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연패에서 탈출한다. 스승인 사쿠라 에미와의 경기에선 사쿠라 에미가 계속 양보하지 않아 패할 수 밖에 없었고, 호시 하무코와 팀을 이뤄 다니기 시작하며 사쿠라 에미 & 레이를 꺾고 인터내셔널 아이스리본 태그팀 챔피언에 처음으로 등극했다. [[시다 히카루]], [[후지모토 츠카사]], [[마츠모토 히로요]]같은 선수들과도 경쟁하고, 아이스리본에서만 경기를 갖다가 다른 단체에서도 경기를 가지기 시작하면서 JWP, FREEDOMS, WAVE, Marvelous, 센다이 걸스, 디아나에도 경기를 가지고 잠시 [[키즈키 아오이]]와 팀으로 다니다가 호시 하무코와 다시 팀으로 다니고, REINA를 포함해 OZ 아카데미, [[전일본 프로레슬링|AJPW]]. [[대일본 프로레슬링]](BJW)에도 출연하다가 아이스리본에서 처음으로 하드코어 매치까지 가지며 [[후지타 아카네(프로레슬러)|후지타 아카네]]와 팀을 이뤄 [[마츠모토 미야코]] & [[카사이 준]]을 상대하나 패한다. 2017년 7월에 아킬레스건 파열로 장기 을 하게 되고, 복귀 후로는 통산 2회 태그팀 챔피언을 기록한 이후로 한동안 챔피언십 매치에서 패하고만 다니던 나츠미 모치는 후지타 아카네와 같이 [[히이라기 쿠루미]] & [[마루코(프로레슬러)|나가사키 마루코]]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소제 프로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며 새로운 경력을 만들고, 호시 하무코와 다시 팀을 결성해서 [[유키히 마야]] & [[세라 리사]]를 꺾고 통산 3회 인터내셔널 아이스리본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컬러즈 행사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오자키 마이카]] & [[큐리(프로레슬러)|큐리]]에게 패하며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잃고, 2019년엔 SEAdLINNNG에 처음으로 출연해 호시 하무코 & 요시코와 팀을 이뤄 후지모토 츠카사 & [[나카지마 아리사]] & [[이로하 타쿠미]]를 상대하지만 패한다. 하드코어 경기 가지는 일이 늘어나고, 2020년에 히이라기 쿠루미와 같이 후지모토 츠카사 & 츠쿠시를 꺾고 통산 4회 인터내셔널 아이스리본 태그팀 챔피언에 오른다.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계속 방어하다가 유키히 마야 & 오자키 마이카에게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고, 아이스 리본에서 활동중인 선수들을 상대로 싱글 및 태그팀 경기를 벌이지만 챔피언십 매치에선 패하고 다니고 싱글 타이틀을 하나로 따지 못했다. 2021년부터는 12월 1일에 연내로 아이스 리본을 퇴단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12월 말에 세라 리사, 히이라기 쿠루미, 후지타 아카네, 스즈키 스즈와 함께 아이스 리본을 퇴단 발표하며 5명이서 데스매치나 하드코어 매치를 중심으로 한 유닛 프로미넨스를 결성한다. 2022년부터는 [[DDT 프로레슬링]], [[스타덤]]에도 출연하며 여러단체에 등장하고 있고, 4월부터 '''나츠미 모치'''로 링네임을 변경한다. == 기타 == * Mr. Children 육상 관전 좋아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프로미넨스)] ||<-5>
<#000000><:> {{{#FFFFFF '''프로레슬링 웨이브 캐치 더 웨이브 포스트 토너먼트 어워드 올해의 테크니션'''}}} || ||<:> 이이다 미카[br](2015 & 2016) ||<:> {{{+1 → }}} ||<#FFFFA1><:> '''{{{#000 미야기 모치 [br](2017)}}}''' ||<:> {{{+1 → }}} ||<:> [[VENY|아스카]][br](2018) || [[분류:여성 프로레슬러]][[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86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분류:시바타정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