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신 타이거스 감독)] [include(틀:오릭스 버팔로즈 감독)]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신 나카무라 카츠히로 감독.jpg|width=100%]]}}} || ||<-2> '''{{{+2 나카무라 카츠히로}}} [br]中村勝広 | Katsuhiro Nakamura''' || || '''출생''' ||[[1949년]] [[6월 6일]] || || '''사망''' ||[[2015년]] [[9월 23일]] (향년 66세) || || '''출신지''' ||[[치바현]] [[산부군]] [[쿠주쿠리마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학력''' ||치바현립 나루토 고등학교-[[와세다대학]] || || '''신체''' ||177cm, 65kg || || '''투타''' ||[[우투우타]] || || '''포지션''' ||[[2루수]], [[1루수]] || || '''프로입단''' ||1971년 드래프트 2순위 || || '''소속팀''' ||'''[[한신 타이거스]] (1972~1982)''' || || '''지도자''' ||[[한신 타이거스]] 2군 감독 (1983~1987)[br][[한신 타이거스]] 작전, 수비·주루 코치 (1988)[br][[한신 타이거스]] 1군 감독(1990~1995.7)[* 1995년 시즌 도중인 7월 23일 사임. 잔여 경기는 [[후지타 타이라]]가 감독 대행을 맡았으며 시즌 종료 후 곧바로 후지타가 후임 감독으로 취임했다.][br][[오릭스 버팔로즈]] 감독(2006) || || '''프런트'''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블루웨이브-버팔로즈]] GM (2003~2005)[br] [[한신 타이거스]] GM (2012~2015)[* 재임 도중 사망.]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전 야구선수 및 지도자, 프런트. 선수로는 [[한신 타이거스]]에서만 뛰면서 나름대로 족적을 남겼으나, 감독으로서는 영 아니었다.[* 그래서 [[2ch]]에서는 '그 분' 아니면 마케히로('''負'''広)로 통했다. 이름인 카츠히로('''勝'''広)와 달리 십중팔구 진다고 했다.] == 프로입단 전 == 치바현 출신으로 나루토 고교에서는 3번 타자 유격수로 팀을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 본선까지 진출시키는 데 공헌했으나, 프로 지명을 못 받고 [[와세다대학]] 진학을 택했고 대학에서도 [[2루수]] [[베스트나인]]을 한 차례 수상하는 등 나름대로 활약을 이어갔다. 대학 졸업시즌인 1971년 드래프트에서 [[한신 타이거스]]의 2순위 지명을 받고 프로로 진출했다. == 한신 선수 시절 == 데뷔 시즌인 1972년 개막전부터 1번 타자-[[2루수]]로 선발 출장하는 등 한신 구단에서도 의욕적으로 나카무라를 신예 스타로 밀어주었으며, 팬투표 선출로 [[올스타전]]에 출전하기도 했다. 첫 시즌부터 81경기를 출전하며 타율은 .175로 낮았으나 3홈런 4도루 9타점을 기록하며 나름대로 가능성을 보였다. 1974년부터 본격적으로 기량이 만개, 이 해 100경기 이상을 출전하면서 11홈런을 기록하며 타석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냈다. 1975년엔 전경기 출장에 처음으로 규정 타석을 넘기면서 타율 .280/OPS .828, 16홈런[* 이 중 선두타자 홈런이 6개로 이는 한신 구단 기록이다.] 43타점으로 커리어하이를 찍으며 타선에서의 중심을 잘 잡아줬다. 이후 첫 풀타임 시즌만큼의 성적을 찍진 못했지만 1978년 시즌까지 매 100경기 이상씩 출전하며 10홈런 이상을 기록하는 장타력을 겸비한 [[2루수]][* 당시만 해도 [[2루수]]나 [[유격수]]의 덕목은 수비였고, 덕분에 [[우노 마사루]]처럼 거포+막장 수비라는 정반대 사례가 있긴 했어도 수비만 잘하면 타석에선 똑딱이 이하여도 납득이 가능했다. 21세기 이후로는 2루수에서도 [[야마다 테츠토]] 같은 거포들이 등장하면서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됐다.]였다. 수비에서도 [[골든글러브(일본프로야구)|골든글러브]] 수상 경력은 없었지만 견실한 수비력을 보여주며 1975년 일본 기록인 단일 시합 11보살을 수립했으며, 1978년에는 당시 일본 기록이었던 [[2루수]] 수비율 .995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2020년 [[키쿠치 료스케]]가 [[2루수]] 수비율 1.000로 절대 깨질 수 없는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1979년 시즌부터 [[1루수]]로 전향했으나 이때부터 출전 기회가 서서히 줄어들었고, 결국 1982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 자신의 후임 감독이 되는 [[후지타 타이라]]보다 늦게 데뷔해 빨리 은퇴한 셈이다. == 지도자 시절 == 은퇴 후 곧바로 한신에서 2군 감독을 맡아 1987년까지 유망주 육성에 힘쓰다가 1988년 1군으로 승격하여 작전 코치 겸 수비, 주루 코치를 역임했다. 1989년엔 잠시 팀을 떠나 평론가 생활을 했다. 1990년부터 한신 타이거스 감독이 됐다. 취임 첫 2년간은 구단 사상 첫 2년 연속 최하위라는 굴욕을 겪었으나[* 그래도 자신이 한신 2군 감독을 할 때 육성했던 [[야기 히로시]]나 [[와다 유타카]] 등이 이 시기에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다.] 1992년엔 모처럼 시즌 막판까지 선두싸움을 했다. [[한신 타이거스/1992년/9월/11일|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장시간 경기]] 당시에도 감독으로서 팀을 지휘했으며, [[한신아재]]들의 난장판에 몰수패 위기에 몰린 상황에서도 선수단을 모은 후 이 말을 남겼다. >みんな、何とか受け入れてほしい。ただ、この試合は絶対に落とせない。力を合わせて戦ってくれ >얘들아, 어떻게든 받아들였으면 한다. 하지만 이 시합을 놓칠 수는 없다. 힘을 합쳐 싸워다오. 상술했듯, 1992 시즌만 한신이 잘 나갔고, 그 외의 시즌은 계속 하위권을 전전하는 게 일상이었다. [[4466566664]]의 제일 앞 3자리를 만든 사람이 나카무라 카츠히로였다. 그럼에도 저 1992시즌 하나 때문에 결과적으로 나카무라 감독의 임기는 길어졌고, 암흑기도 같이 따라오게 되었다. 결국 계속되는 팀의 침체를 버티지 못한 채 나카무라는 1995년 7월, 최하위 전락에 책임을 지고 명목상의 휴양 선언과 함께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 [[감독 대행]]은 [[후지타 타이라]]가 맡았다. 단일 임기 기준으로는 5년 7개월로 역대 한신 타이거스 최장기간 감독이었으나[* 임기가 2번 이상인 감독까지 합치면 [[요시다 요시오]]의 8년(1975~77, 1985~87, 1997~98)이 최장 기록이다.], 상술했듯 [[명선수는 명지도자가 될 수 없다|감독으로서는 영 좋지 못했다.]] 리빌딩 시도는 좋았으나, 지나치게 젊은 선수들 위주로 기용했었다. 1992 시즌 도중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메이지진구 구장]] 대결에선 동점 상황 9회 역전 찬스에서 베테랑 [[오카다 아키노부]]를 빼 버리고 신인 [[카메야마 츠토무]][* 나카무라 본인이 감독하던 때부터 가능성을 보이던 유망주. [[도톤보리 강]] 구이다오레 인형이 이 선수를 닮은 것으로도 유명했다.]를 기용한다든지 하는 모습을 보였고, 결국 이는 팀 내 불화로 연결되기도 했다. 비록 1992 시즌엔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공동 2위로 마감하면서 [[비밀번호(스포츠)|비밀번호]] 작성은 일단 면했으나, 팀 만들기의 방향성이 보이지 않았다는 비판도 받아야 했다. 그리고 1993년부터 팀은 [[4466566664|446...]]을 찍으며 망했다. 이후 잠시 [[오릭스 버팔로즈]]의 GM을 하다가, 2005시즌 종료 후 고령의 [[오기 아키라]] 감독이 심각한 건강문제로 감독직 수행이 불가능해지자[* 이미 [[폐암]] 투병 상태에서 감독직을 수행했고 시즌 중에도 계단을 오르지 못하는 등 힘에 부쳐하는 모습이 자주 보였다. 결국 오기 감독은 오프시즌 중 타계하게 된다.] 2006년 1시즌에 한해 감독을 했다. 그러나 오릭스는 승률 4할에도 못 미치는 5위를 찍으며 처절하게 망했다. 결국 한 시즌 만에 감독직에서 내려왔다. == 프런트 시절 == 이후 또 당분간 평론가 생활을 하다,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블루웨이브]] GM으로 2003~2005 3시즌을 활동했다. 이후 상술한 대로 오릭스 감독을 했다가 사임하고, 2012년 다시 한신 타이거스의 GM으로 들어왔다. 오릭스 GM 시절에는 [[가네코 치히로]]를 지명하여 팀의 주축 투수로 만들었으며, 한신 시절엔 [[후쿠도메 고스케]], [[니시오카 츠요시]], [[오승환]] 등의 영입에 성공했다. 나카무라가 영입했던 선수들은 [[2014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에 공헌하였으나, 정작 [[2014년 일본시리즈]]에서는 영 좋지 못했다. === 사망 === 2015년 9월 22일, 나카무라 카츠히로는 [[도쿄돔]]에서 열리는 [[전통의 일전]]을 참관하기 위해 선수단과 같이 도쿄로 이동했다. 첫 경기를 관람한 후 다음 날, 호텔 방에서 급성 심부전이 발생해, 그대로 향년 66세의 생을 마무리하고 말았다.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일본의 야구감독]][[분류:한신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쿠주쿠리정 출신 인물]][[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1949년 출생]][[분류:2015년 사망]][[분류:1972년 데뷔]][[분류:1982년 은퇴]][[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우투우타]][[분류:내야수]][[분류:야구 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