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2년 노래]][[분류:보이즈플래닛/노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보이즈플래닛)] [include(틀:보이즈플래닛)] [include(틀:플래닛시리즈 공식 주제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3d3cc3, #2f1d81, #aa37d4)" {{{+3 '''{{{#fff 난 빛나 (Here I A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3d3cc3, #2f1d81, #aa37d4)" '''[[보이즈플래닛/음반#s-2.1|{{{#fff 보이즈플래닛 시그널 송}}}]]'''}}}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YS PLANET - 난 빛나 (Here I Am).jpg|width=100%]]}}}|| || '''발매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3년]] [[1월 5일]] || || '''가수''' || [[보이즈플래닛/참가자|BOYS PLANET]] || || '''작사''' || [[PAPERMAKER]] ([[WWWAVE]], 위한아), 진리 ([[Full8loom]]), [[조윤경(작사가)|조윤경]], BOYS PLANET || || '''작곡''' || [[PAPERMAKER]] (Freez, [[WWWAVE]], TENZO, RUIMUI, Hallem Hura, RUNY, ZUNGWOO) || || '''편곡''' || [[PAPERMAKER]] (Freez, RUIMUI, [[임수호]], N!ko) || || '''장르''' || 하이브리드 [[일렉트로닉]] [[대중음악|팝]] || || '''기획사''' ||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 || '''유통사''' || [[지니뮤직]] || || '''재생시간''' || 4:04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1월 5일 발매된 [[보이즈플래닛]]의 시그널 송이다. == 앨범 소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3d3cc3, #2f1d81, #aa37d4)" '''{{{-2 {{{#fff 당신의 심장을 뛰게 할 전 세계 98명의 소년들이 찾아온다! 글로벌 팬덤이 직접 만들고 데뷔시키는 K-POP 보이그룹 메이킹 프로젝트 'BOYS PLANET’의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 '난 빛나 (Here I Am)'! ‘난 빛나 (Here I Am)’는 Progressive House와 Tech House가 함께 어우러진 Hybrid Electro Pop 장르로, 다이내믹한 트랙 구성과 중독성 있는 멜로디 라인이 완벽한 조화를 이뤄 파워풀한 에너지를 엿볼 수 있는 곡이다. 곡 작업에는 Wanna One (워너원)의 ‘Beautiful’을 탄생시킨 프로듀서 TENZO를 필두로 한 프로듀싱팀 PAPERMAKER와 진리 (Full8loom), 조윤경 작가의 참여로 기대감을 더욱 높였다. ‘난 빛나 (Here I Am)’는 "맞물린 시선 속에 너를 읽었어", "웃게 해줄게 널 지켜줄게" 등의 가사로 소년들의 감성적이면서도 자신감 있는 모습을 그려냈으며, “난 빛나, 우린 빛나”라는 외침을 통해 첫 무대를 마주한 소년들의 긴장과 설렘의 마음을 담았다. 이 무대에서 빛날 주인공은 바로 내가 될 것이라는 뜨거운 다짐과 항상 팬들과 함께 하겠다는 간절한 꿈의 약속을 힘껏 외치는 곡이다. 새로운 변화의 시작, 새로운 스타의 탄생! }}}}}}'''}}} ||}}} === 가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folding [ 가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23c, #2a4a9d, #3645b8, #261b77, #2f1d81, #421a8a, #120243)" {{{#fff '''〈난 빛나 (Here I Am)〉'''}}}}}} || {{{#373a3c,#ddd 모른 척 이대로 지나칠 수 없어 맞물린 시선 속에 너를 읽었어 그 표정 그 눈빛 분명 본 적 있어 난 너야 안녕 나야 봐 Yes me, Yes me All day All night long 숨 쉬듯이 원할 테니 내게 맡겨 봐 눈부신 Your heart 내 손을 잡아 둘이 더 좋잖아 Me + You 나와 닮은 너와 함께 우리라는 이름 안에서 웃게 해줄게 널 지켜줄게 불을 켜줘 우리의 Showtime 우린 빛나 나, 너라서 빛나 난 빛나 꿈꿔왔던 만큼 난 빛나 더 높은 곳에서 난 빛나 빛나 WOW 빛나 빛나 빛나 빛나 빛나 YO 빛나 난 빛나 우린 빛나 빛나 난 빛나 빛나 난 빛나 빛나 난 빛나 빛나 난 빛나 Nonstop Nonstop 자각하기 시작한 마음은 Nonstop 숨을 불어넣어 감정들은 피어나고 우린 서로의 이유가 되고 뜨거워질 거야 깊어질 너와 나 Me + You 나와 닮은 너와 함께 우리라는 이름 안에서 웃게 해줄게 널 지켜줄게 불을 켜줘 우리의 Showtime 우린 빛나 나, 너라서 빛나 난 빛나 꿈꿔왔던 만큼 난 빛나 더 높은 곳에서 난 빛나 빛나 WOW 빛나 빛나 빛나 빛나 빛나 YO 있잖아 나라는 상처투성이 괜찮아 꼭 안아줄 네가 있어서 고마워 오직 난 널 위해 나 여기 있어 있잖아 여기 있잖아 있잖아 있잖아 있잖아 있잖아 여기 있잖아 여기 있잖아 여기 있잖아 있잖아 여기 있잖아 있잖아 있잖아 있잖아 있잖아 나 있잖아 온통 너뿐인 나 있잖아 항상 네 편인 나 있잖아 어깨를 내어줄 나 있잖아 바로 Oh 여기 내가 여기 내가 있잖아 나, 너라서 빛나 난 빛나 꿈꿔왔던 만큼 난 빛나 더 높은 곳에서 난 빛나 빛나 WOW 빛나 빛나 빛나 빛나 빛나 YO 빛나 난 빛나 빛나 난 빛나 빛나 난 빛나 빛나 난 빛나}}} }}}}}} ||}}} === Performance 영상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jr47ikehQE)]}}} || || '''{{{#fff 개인 직캠}}}'''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jUVzlcpeN4TqrYXZiIIYcLr5Ww5ujTe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 || * 개인 직캠은 '조회수 + 좋아요 수 X 100’ 합산을 통해 방송 내 연습생들의 평가용으로 반영되고, 해당 결과는 1차 경연의 팀원과 곡을 먼저 고를 수 있는 베네핏으로 적용되었다. 평가 기간은 2022년 12월 30일 오후 9시부터 2023년 1월 7일 오전 10시까지였다. == 여담 == * 2022년 12월 29일 [[엠 카운트다운]]에서 최초 공개되었으며, 센터는 [[성한빈/보이즈플래닛|성한빈]](K그룹), [[장하오/보이즈플래닛|장하오]](G그룹)가 담당했다. 2차 등급 심사 결과 K그룹이 G그룹보다 더 많은 스타를 획득하며 단독 킬링파트는 [[성한빈/보이즈플래닛|성한빈]]이 맡았다. * 앨범 커버에 등장한 두 소년의 뒷모습은 해당 시리즈 참가자들이며, 왼쪽은 [[마징시앙/보이즈플래닛|마징시앙]](G그룹)과 오른쪽은 [[김규빈/보이즈플래닛|김규빈]](K그룹)이다. * 무대 연출과 전체적인 음악 스타일이 기존 [[프로듀스 101 시리즈]]로 회귀했다. [[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에서는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누었어도 무대 위치가 동등한데다가 후반부에는 모든 참가자가 하나가 되어 [[매스게임]] 형식의 군무를 선보인 것에 비해 이번 시그널 송은 프로듀스 시리즈처럼 1티어 참가자들의 오프닝 → 1절 후반과 2절 사이 사이드에서 2티어 참가자 등장 → 브릿지 및 댄스 브레이크 후 나머지 참가자 등장 → 센터 엔딩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이전 시즌에서는 센터였던 참가자들이 비록 데뷔는 했지만 최종 순위가 [[프로듀스 X 101]] 다음으로 낮았던 만큼 센터의 카메라 비중이 증가하고 [[_지마 (X1-MA)]]처럼 추가 안무를 하는 등 센터에 집중된 연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 프로듀스 시리즈 시그널송 안무들을 차용하여 변형한 부분들이 있다. [[PICK ME]], [[나야 나 (PICK ME)|나야 나]], [[내꺼야 (PICK ME)|내꺼야]]의 여러 안무 요소를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대표적으로 나야 나와 내꺼야는 후렴구, PICK ME는 댄스 브레이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만 [[프로듀스 X 101]]의 시그널송 [[_지마 (X1-MA)|_지마]]는 투표 조작 여파가 워낙 큰 시즌이라서 차용하지는 않았다.] * 기존 프로듀스 시리즈의 공식 시그널송 퍼포먼스 영상들은 도입 부분에 진행자 역할인 국민 프로듀서 대표가 나와 프로그램과 참가자들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장면이 들어갔고,[* [[프로듀스 101]] - [[장근석]], [[프로듀스 101 시즌2]] - [[보아]], [[프로듀스 48]] - [[이승기]], [[프로듀스 X 101]] - [[이동욱]]. 더 넓게는 해외판인 [[PRODUCE 101 JAPAN]] [[PRODUCE 101 JAPAN SEASON2|시리즈]]의 나인티나인도 포함된다.] 포맷을 이어 받은 플래닛 시리즈도 전작 [[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에서 동일한 포지션에 해당되는 플래닛 마스터 [[여진구]]가 [[O.O.O (Over&Over&Over)]] 99인 버전 공식 풀영상 도입부에 등장했으나, 이번엔 이런 진행자의 출연없이 바로 참가자들의 퍼포먼스가 시작되면서 시리즈 최초로 엠넷 아이돌 서바이벌의 전통을 깨게 되었다.[* 보이즈플래닛은 한 사람이 계속 진행을 맡는 게 아닌, 여러 사람들이 미션마다 진행자가 바뀌는 '''스타마스터'''로서 출연하기 때문이다.] * 공개 이후 틱톡 및 인스타 혹은 유튜브 릴스 챌린지가 유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