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허난설헌)] [목차] [clearfix] == 개요 == 蘭雪軒詩集. [[조선]] 중기의 여류문인 [[허난설헌]]의 작품들을 모아 1608년에 간행한 시문집. 현재 [[강릉시]] 오죽헌 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조선 [[선조(조선)|선조]] 41년인 1608년에 허난설헌의 작품들을 모아 편찬한 시문집으로, 원래 시가에 있던 허난설헌의 작품들은 그녀가 사망할 때 남긴 유언에 따라 모두 소각되었으나 훗날 동생 [[허균]]이 친정에 보관되어 있던 작품들을 찾아내어 편찬할 수 있었던 것이다. 1500년대 후반 허난설헌이 지었던 오언고시 15수, 칠언고시 8수, 오언율시 8수, 칠언율시 13수, 오언절구 24수, 칠언절구 142수 등 약 210여수의 시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몽유광상산시서(夢遊廣桑山詩序), 광한전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樓上梁文) 등의 산문들이 수록되어 있다. 그 외에 문집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작품으로 [[지봉유설]]에 독서강사(讀書江舍)와 채련곡(采蓮曲) 2수, [[동양여시선]]에 빈녀음(貧女吟) 1수, [[고금가곡]]에 봉선화가(鳳仙花歌) 1수 등이 남아 전하고 있다. == 주요 작품 == === 광한전백옥루상량문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4386&cid=46644&categoryId=46644|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광한전백옥루상량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145&cid=41708&categoryId=41711|국어국문학자료사전 : 광한전백옥루상량문]] 난설헌시집에 수록되어 있는 산문으로 허난설헌이 8살에 지은 것이다. 명문으로 유명하며 조선의 수많은 선비들에게 허난설헌이 신동으로서 그 이름이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 유선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9354&cid=46644&categoryId=46644|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유선사]]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3319&cid=41708&categoryId=41711|국어국문학자료사전 : 유선사]] 허난설헌의 대표 칠언절구시. 87수의 연작시(連作詩)로 무려 2,436자에 이르는 선시어(仙詩語)로 묘사된 대작이다. == [[허난설헌/논란|표절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허난설헌/논란)] == 기타 == 한국고전종합DB에서 난설헌시집 원문을 열람할 수 있다.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M&url=/itkcdb/text/bookListIframe.jsp?bizName=MM&seojiId=kc_mm_a276&gunchaId=&NodeId=&setid=250063|난설헌시집(蘭雪軒詩集)]]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2670&cid=46644&categoryId=46644|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난설헌집]]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58&cid=41708&categoryId=41711|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난설헌집]]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4698&cid=40942&categoryId=32868|두산백과 : 난설헌집]]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240000,32|문화재청 홈페이지 : 난설헌시집목판초간본 (蘭雪軒詩集木板初刊本)]] >『난설헌시집』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류시인 허난설헌(1563∼1589)이 남긴 210여수의 작품을 모은 시문집으로, 이를 동생인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이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 >허난설헌의 본명은 초희(楚姬)이며, 난설헌은 호이다. 아버지인 허엽과 형제인 허성, 허봉, 허균은 ‘초당오문장(楚堂五文章)’이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문장가의 가문이었다. > >선조 22년(1589) 허균이 27세라는 젊은 나이로 숨진 누이 허난설헌이 남긴 원고 모아 『난설헌고』를 편집하여 오언고시 15수, 칠언고시 8수, 오언율시 8수, 칠언율시 13수, 오언절구 24수, 칠언절구 142수를 싣고 부록으로 「광한전 백옥루 상량문」 과 「한정일첩」, 「몽유광상시서」와 「오언고시」1수를 실었다. > >책의 간행기록이 없어서 언제 발간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허균의 발문으로 보아 선조 41년(1608)에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분류:허난설헌]][[분류:강원도의 유형문화재]][[분류:조선시대 여성의 저서]][[분류:강릉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