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장쑤성의 지급시]][[분류:국가역사문화명성]][[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장쑤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000,#ddd 장쑤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南通, ruby=Nántōng)][ruby(市, ruby=Shì)]}}}'''[br]난퉁시 | Nantong City}}} || ||<-3> [include(틀:지도, 장소=南通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장쑤성]] 난퉁시 충촨구 스지다다오6호[br]江苏省南通市崇川区世纪大道6号 || ||<-2> '''{{{#ffff00 지역}}}''' || [[화둥]] || ||<-2> '''{{{#ffff00 면적}}}''' || 8,544.1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3구 3현급시 1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7,726,635명 ^^(2018)^^ || ||<-2> '''{{{#ffff00 인구밀도}}}''' || 904명/km² || ||<-2> '''{{{#ffff00 HDI}}}''' || 0.800 ^^(2016)^^ || ||<-2> '''{{{#ffff00 서기}}}''' || 왕후이(王晖) || ||<-2> '''{{{#ffff00 시장}}}''' || 우신밍(吴新明)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758억 8,989만 ^^(2020)^^ || || '''{{{#ffff00 1인당}}}''' || $22,764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국화]] || || '''{{{#ffff00 시목}}}''' || [[태산목]] || ||<-2> '''{{{#ffff00 차량번호}}}''' || '''苏F'''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通'''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32'''06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513''' || ||<-2> '''{{{#ffff00 우편번호}}}''' || '''226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JS-06''' ||}}}}}}}}} || ||<-3> [[http://www.nantong.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동남부 [[장쑤성]]의 [[지급시]]. [[상하이]]에서 서북으로 80km, [[쑤저우]]에서 동북으로 70km 떨어져 있는 인구 750만 명의 공업 도시이자 항구 도시이다. == 역사 == 난퉁은 고대의 해안선에서는 바닷가였고, 따라서 작은 어촌에 불과하였는데, 중세부터 목화 재배로 성장하여 958년에 통주(通州)로 승격되었다. 통주는 강 하구에 위치한 도시라는 뜻. 1368년에 통주는 재차 [[양저우]] 관할이 되었다가 1724년에 [[화베이]] 지방의 통주와 구분하기 위해 남통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채로 떨어져 나와 현재의 이름을 얻었다. 20세기 초의 기업가 장젠 (张謇)은 난통 대학교를 설립하는 등 도시의 현대화를 이끌었다. 1984년, 난퉁은 중국의 개방 도시 증 하나가 되어 더욱 발전할 수 있었다. 시내에는 송나라 대에 지어진 사원과 남송 대의 충신 [[문천상]]의 묘, 1905년에 세워진 난퉁 박물관 등이 있다. 그외에 1557년에 [[왜구]]와 싸워 이긴 것에 대한 기념관도 있다. == 교통 == 시가지는 창장 강 북안에 형성되어 있는데, 시내 동북쪽에 난퉁 싱둥 공항이 있고, [[난퉁-자싱 고속선]]으로 [[강남(중국)|강남]] 지방과 연결되어 있다. 중국 국무원이 2019년 발표한 '창장 삼각주 통합 개발 계획'에 따라 상하이시와 장쑤성 난퉁시 당국은 난퉁 싱둥 공항 인근 퉁저우구 일대에 연간 4000만명이 수용가능한 상하이 제3공항을 신설하기로 하고 2023년 11월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http://kpenews.com/View.aspx?No=2729333|#]] [[난퉁 궤도교통]]이 2022년 11월 개통하였다. == 여담 == 여담으로 이곳 중국어 사투리가 매우 독특하다. 이 지역의 중국어는 [[표준중국어]] 장화이 방언(江淮官话)의 일파인 난퉁화(南通话)를 사용하는데, [[오어]]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오어의 형질이 크게 나타난다. == 출신인물 == *[[딩쉐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