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0년 노래]][[분류:록]][[분류:발라드]] [목차] [clearfix] == 개요 == ||<-10> [[파일:Flying Of Eagle 앨범 자켓.jpg]] || ||<-3> '''앨범''' ||<-7> Flying Of Eagle || ||<-3> '''트랙''' ||<-7> 8 || ||<-3> '''아티스트''' ||<-7> [[예레미]] || ||<-3> '''작사''' ||<-7> 조필성 || ||<-3> '''작곡''' ||<-7> 조필성 || [[2000년]] 발매된 [[가스펠 메탈]]/[[프로그레시브 메탈]] 밴드 [[예레미]]의 3집 Flying Of Eagle의 수록곡. 기타리스트 조필성과 보컬리스트 모정길의 조화가 아주 아름다운 명곡으로 꼽힌다. == 가사 == || '''{{{+4 남겨진 나날들}}}''' || || 너무도 짧을 나의 시간을 위해 내 고향은 나를 위해 슬피우네 하루에 한번 나의 가여운 손가락이 난 너무도 두려워 내가 움켜쥐고 갈구할 나의 단 한번의 새벽이 나를 위해 잠들지 마라 나의 새벽을 찾아 떠나야 해 새벽아 널 사'''{{{#blue 랑해ㅡ}}}''' '''{{{#orange 나의 어}}}'''두운 절망을 거둘 '''{{{#red 빛}}}{{{#orange 을}}} {{{#blue 비}}}{{{#gold 춰}}}{{{#blue 줘}}}''' '''{{{#blue 새}}}'''벽아 널 사'''{{{#blue 랑해ㅡ}}}''' '''{{{#orange 다시 사}}}'''랑할 나를 위해 '''{{{#red 날}}}{{{#orange 개를}}} {{{#blue 펼}}}{{{#gold 쳐}}} {{{#blue 보}}}'''여'''{{{#blue 줘ㅡ}}}''' 난 내가 삶에 배 고프리라 미쳐 생각진 못했지 내게 주어진 시간들이 이토록 슬피 울지는 몰랐어 희망아 널 사'''{{{#blue 랑해ㅡ}}}''' '''{{{#orange 나의 절}}}'''망의 포기를 거둘 '''{{{#red 날}}}{{{#orange 개를}}} {{{#blue 펼}}}{{{#gold 쳐}}}{{{#blue 줘}}}''' '''{{{#blue 희}}}'''망아 널 사'''{{{#red 랑해ㅡ}}}''' '''{{{#red 나의 마}}}'''지막 몸부림의 '''{{{#red 노}}}{{{#orange 랠 불}}}{{{#FF00FF 러줘}}}{{{#red ㅡ}}}'''[*코러스 희망아 널 사랑'''{{{#blue 해}}}'''[br]희망아 널 사랑'''{{{#purple 해}}}{{{#FF00FF ㅡ}}}{{{#red ㅡ}}}{{{#FF00FF ㅡ}}}'''] 희망아 널 사'''{{{#blue 랑해ㅡ}}}''' '''{{{#orange 나의 절}}}'''망의 포기를 거둘 '''{{{#red 날}}}{{{#orange 개를}}} {{{#blue 펼}}}{{{#gold 쳐}}}{{{#blue 줘}}}''' 희망'''{{{#blue 아ㅡ}}}''' '''{{{#orange 나의 마}}}'''지막 몸부림의 '''{{{#red 노}}}{{{#orange 랠}}} {{{#blue 불}}}{{{#gold 러}}}{{{#blue 줘}}}''' || || 2옥타브 라#(A#4) 구간은 '''{{{#blue 파란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gold 노란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orange 주황색}}}''' 3옥타브 레#(D#5) 구간은 '''{{{#red 빨간색}}}''' 3옥타브 파(F5) 구간은 '''{{{#FF00FF 마젠타색}}}''' 3옥타브 파#(F#5) 구간은 '''{{{#purple 보라색}}}''' ㅡ(으) 표시는 길게 끄는 구간을 의미한다. || == 난이도 분석 == * 조성: Dbm(내림라단조) * 최고음: '''3옥타브 파(F5)/코러스 포함 3옥타브 파#(F#5)''' 위의 가사 표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아주 살벌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어느 정도냐, 그 어렵다는 '''[[낯설어]]나 [[아름답게 사랑하는 날까지]]보다 어려운 수준[* 평균 음역대 자체도 더 높고(낯설어는 3옥타브 도가 주를 이룬다) 헬구간이 끝난 뒤에는 잠시 2옥타브 중후반대에 머무르다 3옥타브 파를 잠깐 찍고 내려오는 낯설어와 달리 3옥타브 레#을 길게 끈 뒤 3음절을 내고 3옥타브 파로 도약한 후 길게 3옥타브 레#을 끌기 때문에 더 어렵다는 평이 많다.]'''고 보면 될 정도. 고음의 빈도도 빈도인데, 고음을 매우 길게 끌어야 하는 구간이 많은 점이 난이도를 폭증시킨 주요한 원인이다. 1절에서는 그나마 자비롭게도 3옥타브 레# 이상의 초고음을 길게 끌어야 하는 구간이 등장하진 않지만, 절대 그게 쉽다는 말은 아니다. 1절에서부터 어지간한 발라드의 최고음인 '''3옥타브 도#(C#5)'''를 길게 끌며 연타해야 하는 구조로, 이미 어지간한 고음 발라드의 하이라이트 구간보다도 어려운 난도를 자랑한다.[* 딱 [[그대 그대 그대]]의 3절이 이것과 '''비슷한''' 수준의 난도를 지니고 있다. [[M.C The Max]]의 곡 중에서도 상당히 어려운 축에 들어가는 삼그대조차도 이것보단 쉽다는 것이다.] 음역도 음역인데, 일단 후렴구 진입할 때부터 터져나오는 [새벽아 널 사'''랑해''']에서 단 한 번도 끊지 않고 '''2옥타브 라#(A#4)'''이란 상당한 고음을 5초 동안 끌어야 하고 이후 구간에서 2옥타브 후반 ~ 3옥타브 초반을 끌면서 어려운 발음을 내야 한다. 이후 2절은 1절보다 난도가 더 올라가서 '''3옥타브 레#(D#5)'''의 초고음을 5초가 넘게 끌어야 하는 것은 물론 음들이 더 올라간다. 그리고 하이라이트인 [노랠 불러줘]에서는 '''3옥타브 파(F#5)'''까지 급도약한 후 또 3옥타브 레#을 '''12초''' 동안 길게 끌면서 내려와야 한다. 부르다 보면 폐가 두 개라도 모자랄 지경이다.